신문고

1 申聞鼓

조선 초기 1401년(태종 1년) 대궐 밖 문루에 청원과 상소를 위해 매달았던 북으로 초기에는 등문고(登聞鼓)라고 불렸다.

본디 중국 나라의 제도를 모방한 것으로써, 이미 법제화되어 있던 상소, 고발 제도의 보완책으로써 항고, 직접고발 시설 중 하나로 신문고를 설치되어 임금이 직접 억울한 사연을 접수하고 처리하도록 하였다. 즉, 억울함을 호소하려는 자는 서울에서는 주장관, 지방에서는 관찰사에게 신고하여 사헌부에서 이를 해결하도록 하였는데, 이 기관에서 해결이 안 되는 경우에는 신문고를 직접 울리게 하였다.

이 제도는 조선에서 백성의 목소리가 임금에게 닿게 하는 제도 중 대표적인 것이었으나 임금은 한 나라의 지존하신 분이었기 때문에, 당연히 신문고를 울려 상소하는 데에도 제한이 있었으며 오직 종사(宗社)에 관계된 억울한 사정이나 목숨에 관계되는 범죄, 누명 및 자기에게 관계된 억울함을 고발하는 자에 한해 상소 내용을 접수하여 해결해 주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조건에도 불구하고, 사건 해결에 신속성을 얻기 위하여 신문고를 무질서하게 이용하는 현상이 초래되었다.[1] 그 후 신문고는 사용 제한이 보다 엄격해졌고, 실질적으로 일반 백성이나 노비, 또 지방에 거주하는 관민에게는 별다른 효용이 없었으며 오직 양반들만 신문고를 울려 댔다. 그 후 연산군 대에 이르러 없어졌다가 오랜 시간이 지난 후 1771년(영조 47년) 11월에 부활[2]되었으며 병조에서 주관하였지만 이또한 지켜지지 않아 사실상 순조 이후에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1.1 현재

국민신문고.
대공무원최종병기
현재에도 억울한 일을 당했다고 생각하는 경우 이 사정을 널리 알리기 위해 편지를 보내거나 (인터넷) 게시물을 올릴 수 있는 장소를 지칭하는 명사로 쓰인다. 현 정부에서도 국민신문고라는 이름의 사이트를 운영하여 1의 뜻으로 사용한다. 주민등록증의 발급일자를 통해 인증이 가능한 등 정부 사이트 중 얼마 없는 Active X 및 관련 exe를 깔지 않아도 정상이용이 가능한 사이트기도 하다.

가장 명심해야 할 점은, 나무위키를 포함한 모든 위키 사이트들은 절대 신문고가 아니다. 물론 그렇다고 반대로 위키 사이트가 송덕비라는 것 또한 아니다.

2 인터넷 사이트

2.1 출판사

[1]
대한민국의 시사종합지 전문 출판업체.

2.2 인터넷 언론

[2]
대한민국의 인터넷 언론, 위의 출판사와 마지막 도메인(com과 net의 차이)이 다를 뿐, 사이트 이름(shinmoongo) 같아 종종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3 TV조선의 프로그램

2013120209195928748440760978513.png
홈페이지
종합편성채널 TV조선에서 2013년 10월 21일부터 동년 12월 5일까지 방송된 전 교양 프로그램이다. 매주 월요일 밤 11시에 1시간 동안 방송되었다. 신문고라는 이름은 신(新)민상담소라는 뜻이라고 한다.
박미선이 진행을 맡는다. 연예인 패널들로는 왕종근, 성대현, 이성미 등이 출연한다.

방송에 자주 등장하는 각종 건강비법과 노하우의 부작용을 중심으로 다룬다. 부작용을 겪는 실제 사례자의 경험담을 듣고 전문가 패널들의 이야기를 듣는다. 포맷은 종합편성채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집단 토크쇼 프로그램이다.
  1. 이는 조선 초기에 관리들의 권력 남용으로 인한 백성들의 고통을 나타낸다고도 볼 수 있다.
  2. 하였으나 제대로 된 부활이 아닌 전시행정 적 모습이라고 현대 에 들어 까이기도 한다. 궁궐내에 설치를 해두었는데 정작 백성들은 궁궐에 출입을 할수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