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애

  • 다른 뜻: '응애'는 아기의 울음 소리를 뜻하는 의성어이기도 하다.

Mite

1 개요

아~ 응애예요~!!

응애는 거미강 진드기목 응애과에 속한 동물의 총칭으로, 점박이, 차, 차먼지 응애 등을 포함한 대다수의 응애들이 식물 줄기나 잎에 침을 꽂아 세포액을 빨아먹어 식물의 생육을 방해하기 때문에 농업해충에 속한다.

그밖에도 진딧물과 비슷한 생태 때문에 혼동하는 사람도 있지만 진딧물은 곤충강 노린재목 진딧물과이고, 응애는 거미강 응애과에 속한 동물이다. 즉, 이 둘은 전혀 같은 동물이 아니다.

2 특징

생김새는 대체적으로 거미와 비슷하며, 감각기능을 가진 털이 나있고, 거미와 마찬가지로 거미줄을 치지만 이동 능력이 떨어지기에 주로 흡즙하는 서식지 주변이나 인근 가지에다 그물처럼 쳐 식물에서 떨어지지 않으면서도 건너편으로 가기 위한 안전 로프 용도로 쓴다. 그리고 때때로 바람이 불면 거미줄을 길게 뿜어 건너편 가지나 다른 숙주 식물로 건너가기도 한다.[1]

응애는 성충 크기가 보통 0.2~1mm 크기로 비슷한 생태의 진딧물보다도 작다. 그리고 무성생식으로 하루에 0.14mm 크기의 알들을 5~10개 정도 산란하고 고온 건조한 환경과 숙주 식물이 받쳐준다면 7일 이내에 성충까지 자란 뒤 주변에 알을 깔 정도로 번식력이 왕성하다. 그리고 화초나 작물의 잎자루 근방에만[2] 혹은 잎 전체에 거미줄을 치고는 흡즙하여 군데군데 갈색으로 변하게 만드므로 이를 단서로 발견하는 방법도 있다. 다만 잎 전체가 갈변하면 이미 먹을거 다 먹고 알 다 낳고 싱싱한 잎으로 이동한 상황이며, 주로 잎의 뒷면(햇빛을 받지 않는 면)에서 흡즙 하므로 자주 뒤집어 확인하거나 (농약 등을) 분사하는 것이 좋다.

3 피해


응애로 인해 죽어가는 식물

응애는 보통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 달라붙어서 식물 세포액을 빨아먹으며 산다.[3]

개미꿀벌등의 곤충에 기생하는 응애도 있다. 양봉업자들과 개미 매니아한테는 그야말로 주적. 기르던 개미에 한번 응애가 퍼지면 그 사육장은 매우 깨끗이 세척하거나 버려야한다. 꿀벌은 몸에 응애가 달라붙으면 더 이상 군체에 응애가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벌집에서 멀리 떨어져서 죽음을 맞이한다고.

그리고 응애를 잡아먹는 육식성 응애도 있는데, 칠레이리응애, 오이이리응애 등이 대표적이다.

가정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건 화초 말고도 장마철 쌀독, 현미, 콩 등 곡식을 보관중인 통에서도 볼 수 있다. 처음에는 하얀 가루처럼 보이는데 입으로 불어도 좀처럼 날아가질 않아서 자세히 들여다보면 흰 가루들이 자발적으로 발발발 기어서 쌀독 안을 종횡무진 하는 모습을 볼수있다. 시골 곡창에서는 상당히 흔하게 볼 수 있는 해충인데 처음에는 가루곰팡이로 착각할정도로 흰가루와 유사한 모양새이다.

곡식창고 안에 응애가 퍼지면 박멸이 거의 불가능하며, 박스 테이프로 먼지 떼듯 하나 하나 수작업으로 없애거나, 곡창내에 난방을 올려서 건조를 시키거나, 쌀독의 쌀을 모두 꺼내서 건조시키거나 곡식을 죄다 꺼내서 냉동실에 얼려버리는것 외에는 거의 박멸수단이 없다. 그래도 물로 세척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응애가 씻겨나가며 설령 이 난리통에서도 살아남은 응애가 있다고 쳐도 곧바로 가열하면 이조차도 사멸하므로 덤으로 단백질도 먹을 겸 큰 문제는 없다.

4 방제

가장 좋은 방법은 살응애제를 골고루 뿌려주는 것으로 용법대로 희석한 다음 식물 전체[4]와 화분 흙 위[5]가 흠뻑 젖을 정도로 골고루 뿌려주면 된다. 보통 이렇게 5일에 한 번씩 3~4번 뿌려준다. 다만 응애 자체가 그 번식력 만큼이나 해당 약에 대한 내성을 단기간에 갖기 쉬워 완전 박멸을 원한다면 한차례 살포 후 그 다음은 다른 농약, 그리고 또 다른 농약을 뿌려주면 좋다. 다만 너무 옅거나 어중간하게 뿌리면 뿌리니만 못하니 이왕 뿌릴거면 제대로 전체에 뿌리자.

친환경 농약이나 비오킬도 효과가 있지만 독성이 약한 만큼 내성이 쉽게 생겨 퇴치가 잘 안 되더란 이야기가 많아 결국 저독성 농약[6]이나 응애 전문으로 개발된 농약[7]을 쓰는 사례도 많다.

약을 구입하기 귀찮거나 약의 유해성이 걱정이라면 난황유[8] 또는 비슷하게 노른자/식용유가 들어간 마요네즈를 물에 0.5%로 희석해서 식물 전체에 듬뿍 뿌려줘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난황유는 여러 응애나 진딧물 방제 민간요법 중에서도 실제로도 그 효능이 검증된 것으로 어느 자료에 따르면 난황유가 장미 기준 약 83.0~93.9%의 점박이응애 방제 효과가 있다고 한다. 단, 난황유의 문제점은 살비제, 즉 전문 살응애제와 달리 살충력이 100%가 아니며, 살란력, 즉 응애의 알을 죽이는 효과는 제로라고 봐도 좋다. 즉, 완전 박멸은 안 된다.

의외의 방법으로 주방세제를 물에 타서 뿌리거나 응애가 창궐중인 가지나 식물 상단 전부를 10여분 정도 담가줘도 효과가 좋다. 계면활성제가 살충 작용을 한다고 하지만 이는 숙주 식물에게도 마찬가지라 해당 시간이 경과해 재빨리 물로 씻기더라도 식물 버릴 각오는 해야 한다.

5 관련 항목

  1. 이 와중에 사람이나 짐승에게 들러붙어 그걸 타고 이동하는 경우도 있다.
  2. 일반 거미는 넓게 친다.
  3. 진드기와 비슷하다고 피를 빨아 먹는다고 오해를 받기도 하지만 응애는 식물의 수액을 먹을 뿐이다. 다만 몸에 붙어 기어다니면 간지럽거나 가렵거나 하는데 염증이나 상처가 나는 것도 너무 긁어서(...) 다. 아기가 있는 집에서 아기가 자꾸 발버둥 치거나 긁어대면 집안에서 키우고 있는 화초 중에 거미줄과 함께 응애가 창궐(...)한 게 있는지 철저히 확인하는 것도 좋다.
  4. 이유인 즉슨, 항상 거미줄에만 머무르지 않고 가지줄기를 따라 이동하는 개체도 있다.
  5. 이 역시 본의아니게 이동하다 밑으로 떨어진 개체 때문.
  6. 파발마나 피라니카
  7. 꿀벌 등에는 거의 무해한 쇼크 등.
  8. 계란 노른자 1개와 약간의 물을 믹서기로 갈아준 후, 거기에 식용유 100mL을 넣고 다시 3~4분 정도 갈아주면 된다. 그런데 이렇게 만들어서 0.5% 비율로 희석하려면 물이 총 20L나 필요한게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