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규

1 단어

絶叫. 무언가를 절절하게 부르짖는 모습을 뜻하는 한자어.

오덕계 쪽에서 간혹 열혈적인 묘사에서 소리치는 것과 혼동될 때가 종종 있는데, 힘차게 소리치는 것과 성우 성대가 찢어지도록 절절하게 절규하는 것은 분위기상 좀 다르다.

2 그림


1893년 완성된 시리즈 첫 작품.

영어: The Scream
노르웨이어: Skrik

오 마이 갓!! 꺄악! 아이스크림항목과는 관계가 있을수도 있다.

2.1 개요

노르웨이 출신 화가 에드바르트 뭉크(Edvard Munch, 1863~1944)가 그린 작품으로 19세기 말쯤에 그려진 작품이다. 공포스러우면서도 놀라는 표정과 흘러가는 듯한 붉은 배경을 그려 내어 지금도 여러 모로 회자되고 패러디되는 뭉크의 간판 작품이기도 하다.

2.2 그림에 대해

이 그림이 엄청난 인기를 끄는 이유에 대해 많은 사람들은 보편적인 경험 멘붕을 묘사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즉, 이 그림에는 일상생활의 긴장과 스트레스가 담겨있다고 한다.

또한 이 그림에서 나타난 해골바가지같은 얼굴에 대해서는 에드바르드 뭉크가 박물관에 전시된 고통스러운 표정의 미라[1]를 보고 영감을 얻어 그렸다는 설이 있으나 확실한 증거는 아니다.

우선 뭉크는 이전에도 끔찍한 공황발작을 일으키게 되었고 그 일을 계기로 충격파처럼 인물의 얼굴을 원초적 두려움의 모습으로 변형시키는 일련의 요동치는 선을 통해 절규를 묘사하였다. 또한 자신의 뒤에 걸어오는 두 명의 인물을 아무렇지도 않게 그림으로써 이 효과를 강조하였으며 결국 이 트라우마는 외부세계에서 온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마음에서 기인했음을 암시하고 있었다.

뭉크는 자신이 크리스티아니아(현 오슬로) 교외에서 산책하고 있었을 때 이 증상이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다음과 같이 묘사하였다, "어느 날 저녁, 나는 친구 두 명과 함께 길을 따라 걷고 있었다. 한쪽에는 마을이 있고 내 아래에는 피오르드가 있었다. 나는 피곤하고 아픈 느낌이 들었다. ‧‧‧ 해가 지고 있었고 구름은 피처럼 붉은색으로 변했다. 나는 자연을 뚫고 나오는 절규를 느꼈다. 실제로 그 절규를 듣고 있는 것 같았다. 나는 진짜 피 같은 구름이 있는 이 그림을 그렸다. 색채들이 비명을 질러댔다."[2]

실제로 뭉크는 어린 시절부터 계속 자라나면서 자신의 부모에게 엄격하게 교육받고 살아왔으며, 매질을 당하고 호되게 혼나는 것이 부지기수였다고 한다. 게다가 어릴 적부터 어머니가 결핵으로 인해 피를 뿜고 세상을 떠나는 두렵고 슬픈 장면까지 보게 되었다. 게다가 그는 성장하면서 결핵 등의 병을 안고 살아갔고, 그의 여러 작품에서 보이는 와류같은 흐름이나 붉은 묘사 등은 그의 트라우마나 슬프고 암울하게 살아온 인생에서 기인한 것이라고도 한다. 절규 역시 그러한 그의 인생을 표현한 작품 중 하나였으니 그의 그림에서 두려움, 슬픔, 피 같은 묘사가 보이는 것도 예외는 아니다.[3]

후에 뭉크는 이 그림의 모사작에 연필로 "미친 사람만이 그릴 수 있는 것이었다" 라고 적어놨다.

여담으로 저 핏빛 배경이 화산 폭발을 형상화했다는 주장이 있다(!) 몇몇 과학자들은 인도네시아 크라타카우 섬에서 폭발한 화산에서 뿜어져나온 화산재가 대기권을 타고 유럽으로 건너가서 하늘을 붉게 만들었다고 주장을 하는데 절규의 제작시기와 크라타카우 화산의 폭발시기가 1883년으로 같다는 점을 보면 사실일지도...

2.3 한 장만 그린게 아니다?

절규는 연작품으로 총 4연작인데 첫 작품은 위의 이미지인 원작이고 두번째 작품은 1895년 완성된 석판화형태의 절규이다. 3번째 작품은 1910년 완성된 템페라 화법[4]으로 그려진 절규이다.

파스텔로 그린 4번째 절규는 유일하게 민간인이 소장하고 있던 작품으로(나머지 1,2,3연작은 노르웨이 오슬로 국립박물관 전시) 2012년 6월 이 작품이 소더비 경매장에 등장했다. 그리고 그 절규는 사상 최고가인 1억 1990만달러(1355억원)에 낙찰되었다.

석판화 형태의 두번째 절규가 2014년 7월 3일부터 10월 12일까지 예술의 전당에서 열리는 에드바르드 뭉크전을 통해 한국에 온 적이 있다.

2.4 원본 그림들이 당한 수난

이상하게도 전시된 유명 그림들 중에서도 유난히 자주 도난당했다가 되찾은 그림이다. 국립박물관에 전시된 절규 중 한 그림은 1994년 도둑맞았다가 3달만에 겨우 되찾았으며 또 지난 2004년 8월 22일 무장괴한 2인조에게 도난당했다가 2년만인 2006년에 노르웨이 경찰이 되찾았다.

2.5 의외의 필수요소

이 그림은 직관적이면서도 강렬한 작품인 탓에 전세계적으로 패러디 대상이 되었다. 절규 패러디라는 구글 자동완성 검색어도 있다. 영문 검색어로는 더 많이 뜬다.

물결모양으로 변형된 사람의 얼굴의 포스가 여러 공포 소재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스크림의 마스크가 절규에서 모티브를 가져온 것이라 알려져 있다. 닥터 후에 등장하는 외계 생명체인 사일런스의 얼굴의 모티브도 이 절규로, 드라마 내에서 기억은 못 하지만 유달리 섬뜩한 얼굴 중 하나로 꼽힌다.

일본 애니메이션에서도 패러디 되는 대상. Fate Zero카리야이걸 패러디 당했다.[5] 또한 슬레이어즈 TRY에서도 패러디가 나온다.[6]

캐나다 웹툰 로맨티컬리 아포칼립틱에서도 스니피가 패러디당했다(...). 아악... 스니피... 뒤에 웨딩복장을 하고 서 있는 캡틴파일럿과 엄청 대비된다(...). 영원히 고통받는 스니피

여담으로 스트리트 파이터 2에서 마이크 바이슨의 기절 상태의 얼굴이 이 작품의 주인공을 닮았다고 해서 뭉크의 바이슨이라고 불리기도 했었다.

영상물등급위원회의 심의 결과에서 '공포' 요소로 비슷한 그림이 사용되기도 한다.
  1. 잉카나 마야 지역의 남미 미라라고 한다
  2. 그런데 뭉크가 묘사한 내용대로라면 그림의 인물은 절규하고 있는게 아니라 자연의 절규를 듣고 있는것이다.
  3. 출저: 라이프 사이언스 라이브러리(Life Science Library) 한국어 번역판. 한국어 번역판은 한국일보 타임라이프에서 출판하였으며, 26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과학전집의 심리에 대한 파트(The Mind)에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들의 그린 그림에 대한 묘사와 뭉크의 과거가 수록되어 있음.
  4. 달걀 노른자, 벌꿀, 무화과즙 등을 접합체로 쓴 투명 그림 물감 및 그것으로 그린 그림을 칭한다고 한다.
  5. Fate/Zero 만화책이 연재되고 있는 잡지 영 에이스 부록으로 마스터들 올누드 포스터(...)를 실었는데 올누드인것도 충분히 약빨았다고 볼 수 있는데 한술 더 떠서 명화를 패러디(...)했다. 사실 전에 이미 서번트들 세미누드 포스터로 여러가지 의미로 크게 주목을 받은 전적이 있었다(...) 그런데 명화를 패러디한 마스터들 포스터는 정말 무슨 마약을 했길래 이런게 튀어나올까 싶을 정도로 보는 이의 정신을 안드로메다로 보내는데(부녀자들도 어이를 상실했다고...) 카리야가 패러디 당한 뭉크의 절규 표정이 포스터를 보는 이의 심정을 대변해주는 것 같다는 평을 들었다(...)
  6. 지라스의 계략으로 빛의 검을 빼앗기고 멘붕 상태가 된 리나가우리의 표정이 딱 뭉크의 절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