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하이저 모멘텀 2.0

square_louped_MOMENTUM_II_AE_Ivory_sq-01-sennheiser_.jpg

1 개요

젠하이저에서 내놓은 모멘텀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이전 모멘텀에서 지적되었던 문제점을 많이 개선하였다. 제품명은 이전과 같은 모멘텀이나 차별을 위해 한국에서는 2.0또는 2세대 제품으로 표기 하였다. 2015년 3월 28일부터 여러 온라인샵에서 판매를 예고하였고, 2015년 3월 30일 한국에 공식적 발매하였다. 수입된 양이 넉넉치 못하였는지 몇몇 헤드폰 판매 사이트에서는 화요일에 등록만하고 실제 물량은 목요일날 소량으로 입고될 정도로 재고가 부족하였다. 첫 발매라 색상이 다양하지 못하다. 블랙과 아이보리뿐이며 블랙도 이전 처럼 케이블이 붉은 색이 아닌 그냥 검정색이다. 추후 다른 색상이 추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2 특징

본 제품의 특징은 젠하이저 모멘텀 2.0 오버이어 제품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기본 디자인 베이스는 이전 모멘텀과 동일하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차이가 많은 편이다 먼저 유닛 크기가 이전 모멘텀보다 좀더 커졌으며 겉 디자인이 반짝이 코팅 마감을 하였다. 헤드폰 상단에 턱트가 좀더 커졌다. 저음의 개선이 기대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헤드폰 유닛 케이블 꼽는 위치가 바뀌었다 이전엔 모든 헤드폰이 암묵적으로 하였던 왼쪽 유닛이었으나 이번 2세대 제품에서는 오른쪽으로 바뀌었다. 마치 HD25와 동일한 오른쪽 유닛으로 위치가 바뀐 것이다. 젠하이저 모멘텀 온이어 디자인을 참고하였는지 유닛과 패드 연결부분에 스텐레스 비슷한 고팅을 하여 고급스러워졌으나 전체적 디자인은 이전보다 사이즈가 커져버려서 모던스러운 맛이 있었던 모멘텀과 다르게 디자인이 부담스러워졌다.

헤드유닛을 접을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휴대 보관에 용의하게 되었다.
패드가 달라졌다 이전 패드는 겉 가죽과 내부 천으로 마감되었는데 이번엔 전체적으로 가죽으로 처리되었으며 패드를 좀더 두툼하게 처리하여 착용감이 매우 편해졌는데 소니의 MDR-1A시리즈에 3D 패드 기술이 비슷하게 적용되어서 인지 매우 편해졌다. 압박감이 없으며 내부 공간을 넓게 잡아 귀에 걸림도 없고 차음성도 매우 좋아졌다. 다만 내부 헤드유닛 보호하던 천에서 보풀이 많이 일어 나는 천으로 바뀌다 보니 보풀이 많이 일어나는 점이 흠이다.

케이블이 리모콘 케이블 하나만 제공하며 플러그가 이전 회전식 돌리는 방식의 간지형 플러그에서 그냥 일반 L플러그로 바뀌었다. 즉 이전 모멘텀보다 퀄리티가 떨어진다. (...) 안드로이드용과 아이폰용으로 나눠있으며 덕분에 제품구매할때도 안드로이드/아이폰 호환제품 둘로 나눠서 판매하고 있다. 그렇기에 구입시 주의가 필요하다. 당연히 리모콘에는 마이크 기능을 제공한며 기존 모멘텀 케이블과 호환된다. 젠하이저 공식몰에서 케이블만 따로 팔고 있으니 단선/호환기종 변경시 구입하면 된다. 뒷부분에 젠하이저 마크가 도장찍혀있는데 홀로그램으로 되어 있다.아마도 짭퉁이 많다보니 그런듯하다.

케이블이 기존엔 왼쪽에 달려있었는데 HD25-ii처럼 오른쪽으로 변경되었다. 이게 무슨 문제가 있나 싶어도 헤드폰을 여러개 가지고 있는 경우 은근 헛갈린다. 대부분은 왼쪽에 달려있기 때문.[1]

이전 하드케이스만 제공했던 모멘텀 1세대와 다르게 모멘텀 온이어만의 특혜였던 헤드폰 주머니를 모멘텀 2세대에서도 제공한다.
포장이 매우 꼼꼼하게 되어 있다. 가죽 패드가 물리지 않도록 헤드유닛에 아예 충격방지용 폼을 넣어 버린 것이 큰 특징이며 케이블만해도 케이블에 비밀 포장에 내부 리모콘도 또 비닐포장으로 2중으로 되어 있다.

이전 모멘텀과 동일하게 중국에서 제조되었다. 원가절감 스마트폰 리모콘용 케이블만 제공하고 5.5파이 오디오 플러그는 제공하지 않는다. 케이블은 젠하이저 스토어에서 따로 파니 단선되면 해당 케이블을 구입하거나 이전에 모멘템을 구입한 유저라면 모멘텀에 케이블을 그대로 써도 무방하다. (호환가능)

3 음성향

이는 작성자 개인의 '감상'이며, 제품의 특징을 말해주지는 않습니다. 공학적으로 측정된 특징이 궁금하시다면, 측정치를 직접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저음이 부드러운 편이었던 기존 젠하이저와 대동소이한 음색이며 높은 고음역대가 약간 빠진 음향이다. 기존 모멘텀과 비교하자면 극저역이 빠진덕에 깔끔하긴 한데, 반대로 극저역 재생기능이 떨어진 탓에 오히려 성능감소가 아니냐는 비판도 받고 있다.

온이어 버전의 경우 오버이어 버전보다 저음이 좀더 강화 되었으며 분리도도 향상되었다. 특히 출력도 개선되어서 조금 더 높게 출력 된다.

그외 전체적 성능은 기존 젠하이저 모멘텀과 동일하다. 해당 항목에가서 참고하자.

4 여담

젠하이저 모멘텀 2세대가 나오고 나서 모멘텀 오버이어의 가격이 확 내려갔는데 최대 25만이하 내려가 극적인 가성비를 가지게 되었다.

음색에 변화는 기존 모멘텀을 이퀄라이저로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큰 변화는 없다. 문제는 너무 음질을 개선하려고 크게 유닛을 만들고 패드도 더 두껍게 입체적으로 만들다보니 포터플로 사용하기엔 부담스러운 사이즈가 되었으며 여름엔 모멘텀 2.0은 포기해야 할 정도이다. 여름에 오버이어 헤드폰을 쓰고 밖에 나가는 시도자체가 영...

헤드 유닛 패드를 열어 내부를보면 패드 갈색 보풀먼지가 상당히 많이 뭍혀 있음을 획인할 수 있다. 지저분하다고 느껴질만큼 심한데 패드 갈색 보풀에 먼지를 제거하지 않고 결합한 것 같은데 품질을 중시하는 모멘텀에 유일한 흠이 되는 부분이다.

사용자가 고의로 고장낸 사례가 많았는지 모멘텀과 2.0의 헤드유닛 내부나사에 비닐로 봉인하였다.

초반 판매에 불량이 많이 발견되었다. 특히 밸런스 불량이 심한편이다. 이걸 빨리 발견하여 교환하면 괜찮지만 늦게 발견해서 젠하이저 코리아에 보내면 유닛교체로 가며 부품을 수급해서 수리하는 쪽으로 가는대 이게 워낙 원할하지 않아서 2달이 되어도 부품을 못받아 수리를 못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한다. 그러니 이부분은 매우 신중해야 한다.

당연히 빨리사면 바보 된다. 이전 모멘텀도 초반엔 40만원 하였지만 추후 이벤트등을 해서 30만원까지 훅 내려간 전적이 있으니 버티자! 싸진다! 현재 35만원까지 추석이벤트로 하락한다. 이글 반달 당했다. 젠하이저 코리아 관계자도 위키질 한단 말인가?-
  1. 때문에 재생기기를 바지나 웃옷의 왼쪽 주머니에 넣는 경우가 많은데 케이블이 오른쪽에 있으면 상당히 거슬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