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성씨

昌寧 成氏

창녕 성씨 대종회

1 소개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녕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고려시대 당시 창녕지방의 토호(土豪)이며 호장 중윤을 지낸 성인보(成仁輔)이다. 역사기록에 최초로 성씨가 등장한 것은 기원전 108년이지만 창녕 성씨와 연관성이 있는지는 알 수 없다. 고려 문종 당시 성(性)이 없는 사람은 과거를 응시할 수 없게 하여 고려 고종 당시 성을 만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족보가 조선 초기인 15세기에 출현하기 시작했는데 창녕 성씨의 족보는 그 중 대표적인 족보 중 하나이다. 족보의 경우 창녕성씨계축보(昌寧成氏癸丑譜)라 불리고 있으며 1493년(성종 24년) 성중성(成重性), 성헌(成俔) 등이 간행하였다.

한국 전근대 사회에서 과거 시험의 사회적 위상이 어떠했는가를 드러내는 전형적인 사례를 보여주는 가문이다. 특히 고려 시대에 비해서 과거 시험의 비중이 더 커지고, 음서의 범위가 축소되는 등 더욱 실력 위주 사회를 지향한 조선 시대에 있어서 과거 시험의 의미를 드러내는 사례이다. 창녕 성씨 가문과 유사한 경위를 통해서 조선 초기 발현한 가문이 광주(경기도 광주) 이씨 가문을 들 수 있다. 창녕 성씨 가문은 1456년 병자원옥-소위 사육신 사건을 겪으면서도 성석용-성달생-성승-성삼문, 삼빙, 삼고 계열 외 다른 구성원들은 무사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세조, 예종, 성종, 연산군 대를 거치면서 크게 발흥하여 많은 인재들을 배출하고 15세기 문물 제도 정착에 크게 기여한다. 하지만 광주 이씨 가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산군 대에 불행하게도 크게 된서리를 맞은 가문 중 하나이다. 성현은 부관참시되고 성준은 교살되었다. 하지만 그 후 우계 성혼, 성희안 등등 여러 훌륭한 인재들이 배출되면서 영남 지방 최대 명문으로 자리매김한다.

2 조선 왕실과의 관계

정조의 후궁 의빈 성씨가 있다. 조선의 후궁들 중 유일한 창녕 성씨이다. 의빈 성씨는 정조의 맏아들 문효세자와 맏딸을 낳았는데, 아들과 딸 모두 요절하고 본인은 셋째를 임신한 상태에서 졸하였다.

3 분파

  • 판서공파와 찬성공파로 크게 나뉘었는데 판서공파에서 십파(十派)의 공파가 형성되었고 찬성공파에서 삼파(三派)의 형성되어 십삼파(十三派)가 존재한다.
    • 판서공파(判書公派)
    • 독곡공파(獨谷公派)
    • 회곡공파(檜谷公派)
    • 상곡공파(桑谷公派)
    • 낭장공파(郞將公派)
    • 판사공파(判事公派)
    • 시랑공파(侍郞公派)
    • 정절공파(貞節公派)
    • 사인공파(舍人公派)
    • 좌랑공파(佐郞公派)
    • 평리공파(評理公派)
    • 검교공파(檢校公派)
    • 지사공파(知事公派)

4 집성촌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창녕성씨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