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로몬

pheromone

1 동물들이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 발산하는 화학 물질

128133645850_20100810.JPG

본격 암내 페티쉬 강좌 [1]

한 동물의 개체 '내'에서 생명활동을 관장하는 것이 호르몬이라면, 동종의 동물 개체 '간' 집단활동[2]에 영향을 미치는 생체물질 총칭을 페로몬이라고 한다.
호르몬과 마찬가지로 종류가 무궁무진하게 다양하며, 특이적인 수용체 역시 다양하게 존재한다.
다양한 동물들은 물론 식물들도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한다. 다만 식물의 경우 페로몬이라고 하지 않고 따로 용어가 있다.

개미 같은 곤충류의 페로몬이 제일 유명하지만 간단한 단세포 생물들은 물론 복잡한 구조의 척추동물까지 모두 분비한다. 상당수의 박테리아들은 이 페로몬을 통해 서로의 수를 헤아리고 공동 사냥을 나서는 등 군체 활동을 하는 단세포 생물들도 다양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생명체의 가장 기본적인 의사소통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 역시 사용하는데 위에 나온 예시처럼 이성의 관심을 끄는 것은 물론 같은 혈연관계 확인에도 사용하여 피아 식별까지 하기도 한다고 여겨지지만 상당히 과장되어 있다. 같이 사는 여성들 간에 월경 주기가 같아지는 것[3]을 보면 확실히 존재하기는 하지만 이성을 끈다는 것은 확실히 증명되지 않았다. 즉, 인간의 생리현상에 작동하긴 하지만 역할이 작다는 것. 코 속의 비강에 페로몬을 탐지하는 기관이 있어서 흔히 페로몬을 냄새라고 여기지만 이 기관은 아무 향도 맡지 못한다. 고로 흔히 주장되는 페로몬 향수라거나 하는 건 전부 거짓말이다.

그런데 인간의 페로몬으로 추정되는 물질들을 분류하여 실험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2배나 높은 이성의 관심을 끌어 이 페로몬은 존재하는것이 확실시 되고있다. 한마디로 인체의 아직 밝혀지지 않은 비밀 중 하나.

그런데 인간의 경우 에서 페로몬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부위가 특이하게도 퇴화해 있으며 그럼에도 페로몬을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걸 보면 다른 뇌 부위에서 대신 관장하는것으로 보인다.[4]

2 하렘물 등에 등장하는 수수께끼의 물질(?)

캐릭터(주로 주인공)가 내뿜는다고 알려져 있으며 무색, 무취, 무미인 것이 일반적이다.

이 물질에 닿은 캐릭터는 페로몬 소유자에 대한 호감도가 상승하게 되며 지속적으로 접촉하면 최종적으로는 사랑에 빠질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기본적으로는 이성 캐릭터에게 작용하지만 동성 캐릭터에게 작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페로몬은 캐릭터의 외모나 스펙과는 대개 무관하지만 성격과 관련 있는 경우는 있는 듯.

...사실 하렘역하렘에서 주인공의 주변에 이성(+가끔 동성)이 잔뜩 꼬이는 것을 두고 반 농담으로 나오는 말. 그야말로 페로몬으로 끌어당기는 것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이유도 없이 잔뜩 꼬인다. 작중에서는 다들 이유가 있어서 끌리는 거라고 설명하지만(...)

2.1 페로몬을 내뿜는 캐릭터

하렘/역하렘의 캐릭터와 상당수 겹친다.

캐릭터 - 등장 작품으로 서술하며 인간관계 및 설정상 페로몬을 풍기는 모습이 강조되거나 공식적으로 언급된 경우에만 서술해주세요.

G15를 기점으로 추가된 설정이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별칭 미소년 킬러. 미소년들은 그를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하나같이 얼굴에 홍조를 띠며 부끄러워한다. 이 사람은 남자다.
매 화마다 플래그를 꽂는다. 모든 운을 연애플래그에 썼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부럽다
원더랜드의 사람은 그녀와 친해지기 쉽다고 하며 어느 루트를 타도 작중 등장 역할자 전원에게 사랑받는다(...) 문서 참조.
츤데레, 혹은 이종족이거나 그쪽 세계에 관련 있는 사람 한정.
이 쪽은 안타깝게도... 이성도 아니요, 동성도 아니고... 외계 괴생명체를 끌어들이는 페로몬을 방출한다. 덕분에 항상 생명에 위협을 느껴야 하는 비운의 캐릭터.
5자릿수를 넘은 플래그(...)
토치우드를 보면 51세기에서 왔기 때문에 페로몬이 나온다고 한다. 이성보다는 동성에게 더 잘 작용하는 듯하다. 흠좀무.
문제는 꼬이는 여자 중에 정상이 없다(...) 게다가 첫키스는 남자(...) 본인은 료우기 시키 일편단심이지만.
이쪽은 1번에 가깝다.
게임 자체가 커뮤니티가 중요한 게임이라서 어쩔 수 없을지도?
이쪽도 3와 같은 이유.
이쪽은 여성, 그것도 초등학생인데 남자는 물론이고 여자들에게도 플래그를 꽂는다.
얘의 경우는 위처럼 플래그를 꽂는단 의미가 아니라 정말로 체내에서 온갖 화학 물질을 합성해서 다양한 가스나 페로몬을 방출하는 능력을 가졌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위에 명시된 수많은 친구들과 달리 인간이 아니다(...) 사실상 여기보단 1번 항목이 더 어울리는 유형.
  1. 여기서 딸이 아빠의 체취에 거부감을 갖는 이유는 유전적으로 비슷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유전적으로 서로 다를수록 더 끌린다. 이는 병원체를 감지하는 면역 메커니즘의 다양성과 관련이 있다. 자세한 출처는 추가바람
  2. 행동적 혹은 생리적 특정한 반응
  3. 잘못된 연구라는 주장도 있음
  4. 뇌가 원래 이렇다. 특정한 부분을 담당하는 부분이 파괴되었을 경우 그 부분이 복원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아주 예외적이고 천문학적인 확률이 존재하긴 하지만) 대신 다른 부위가 그 부위의 기능을 대신하는 것. 물론 손상이 지나치게 크다면 별 수 없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