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모비행단

  • 한자: 航母飛行團
  • 영어: Carrier Air Wing/Carrier Air Group

1 개요

항모전단 소속의 해군 항공대 비행단이다. 단 비행단장준장이 아닌 대령이 보임된다.[1][2]

대한민국 해군에는 항모비행단이 없기 때문에 번역을 대충 항모전단 소속의 비행단이니 항모비행단이라고 하였다.

2 구성

항모전단항공모함에 주둔하며 인원은 적은 편이다. 항공관제나 함정관리 등을 항공모함 소속의 인원들이 맡기 때문에 실질적인 항모비행단 본부의 구성원은 단장과 부단장 등 장교 16-20명과 사병 20명 수준이다. 착륙신호관, 정보장교 등이고 나머지는 편대원인데 편대원(편대당 보통 20-30명 수준/편대당 10기 정도의 항공기를 보유한다.)도 숫자는 얼마 안 되기 때문에 부대 규모가 간소하다. 예하에 보통 휘하에 8~9개 대대(Squadron)로 구성되어 있다.

3 미 해군

Cvw-1.gif

  • 제1항모비행단(Carrier Air Wing One): 1938년에 창설된 레인저 비행단(Ranger Air Group)을 모태로 한 비행단. 현 모함은 CVN-71 시어도어 루즈벨트(Theodore Roosevelt)이다.

200px-Cvw-2.gif

  • 제2항모비행단(Carrier Air Wing Two): 1945년에 창설된 제74항모비행단(Carrier Air Group 74)을 모태로 한 비행단. 현 모함은 CVN-76 로널드 레이건이다.

200px-Carrier_Air_Wing_3_patch_%28USN%29.gif

  • 제3항모비행단(Carrier Air Wing Three): 1938년에 창설된 새러토가 비행단(Saratoga Air Group)을 모태로 한 비행단. 현 모함은 제독들의 주적 CVN-75 해리 S. 트루먼이다.

200px-Cvw-5.gif

  • 제5항모비행단(Carrier Air Wing Five): 1943년에 창설. 현 모함은 CVN-73 조지 워싱턴이다.

200px-Cvw-7.gif

200px-CVW-8_insignia.png

200px-Carrier_Air_Wing_9_logo_%282011%29.jpg

  • 제9항모비행단(Carrier Air Wing Nine): 1952년에 창설. 현 모함은 CVN-74 존 C. 스테니스이다.

200px-Carrier_Air_Wing_11_logo_%282011%29.jpg

  • 제11항모비행단(Carrier Air Wing Eleven): 1942년에 창설. 현 모함은 CVN-68 니미츠이다.

300px-Carrier_Air_Wing_17_%28US_Navy%29_patch_2013.jpg

  • 제17항모비행단(Carrier Air Wing Seventeen): 1944년에 창설. 현 모함은 CVN-70 칼 빈슨이다.
  1. 이는 미 해군의 사례이고 다른 나라를 아는 위키러의 추가바람. 미 공군은 준장이 보임되는 것이 원칙이나 실제로는 대령이 보임되는 경우도 많다. 인민해방군 해군의 경우 대교가 보임되는데 대교는 상급대령으로 타국의 준장에 상당하기도 하나 타국과의 대응관계만 그렇다는 것이지 엄연히 교관급이다. 일반적으로 항모전단 소속의 항모비행단은 당연히 육지에 전용 활주로와 기지를 두고 있는 공군의 전투비행단보다 크기와 규모가 훨씬 작을 수 밖에 없으므로 공군의 비행단장보다 항모비행단장의 계급이 낮은 게 이상한 것은 아니며, 어떤 의미에서는 계급빨로 대령 함장을 찍어누르거나 항모전단장과 지휘권 분란이 일어날 수도 있으므로 대령 선이 적절하다. 미 해군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사실 이것도 준장을 대령으로 낮춘게 아니라 중령을 임명하다가 대령으로 격을 올린 것이다. 애시당초 항모비행단의 상급부대인 항모전단과 공군의 비행단이 동급부대이기도 하고.
  2. 미군은 해병대도 자체적으로 전투기들을 운용하기 때문에 항모비행단에 1개 대대가 상시 배속되어 활동하고, 그에 따라 해병 대령이 비행단장에 보임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