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단장

대한민국 공군의 지휘관
편대장대대장전대장비행단장공군기능사령관공군작전사령관
중대장포대장방공유도탄여단장

{{틀:문서 가져옴| title=틀:공군편제단위| version=8}}

1 개요

飛行團長. Wing Commander. 공군의 편제인 비행단지휘관을 말한다. 줄여서 단장이라고 부른다. 준장이 보임된다. 당연히 100% 조종 특기들이다. 조종 특기로서 준장 진급에 성공하면, 반드시 한 번은 거치는 자리이기도 하다.[1]

단장이 부재시에는 대령인 부단장이 대리한다. 같은 대령인 전대장들이 자기 전대에서 왕 놀이 하는 동안 단본부 청사에서 단장과 아웅다웅한다.

2 특징

육군사단장, 해군전단장이 있다면 공군은 비행단장들이 주력이 된다. 비행단들의 규모는 활주로가 위치해야 하기 때문에 평지에 엄청나게 큰 규모인데다, 일부 파견대 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병력과 시설이 모두 비행단 울타리 안에 들어와 있는데, 거기서 왕고이니 거의 중세영주 분위기를 풍긴다. 다만 밑의 인원은 그리 많지는 않다. 사단이 1만명 수준이지만 비행단은 많아야 4-5천명 수준이라서 여단 수준이다. 하지만 공군이나 해군 전병력이 육군의 군단 정도인 6만을 조금 넘기기 때문에 비행단장의 휘하는 공군에선 확실히 많은 편이다.

비행단장은 총 12명이며 제38전투비행전대는 지휘관이 전대장이다.

사단장들보다 언론을 자주 타는 경향이 있는데 대부분 공군 비행단들이 일단 도시에 근접하고 있으므로 소음 문제 등으로 비행단장들은 민간과 연락해야 할 일이 많다.

미군해군 항공대, 해병대 항공대까지 따로 있기 때문에 3군 비행단이 별개로 운영되는데, 특이하게도 3군의 비행단장 계급이 다르다. 해군은 항공모함의 항모비행단장이 항모의 함장과 동급인 대령이며 함장과 함께 항모전단장의 지휘를 따르지만 공군은 대부분 비행단장이 준장이나, 대령 비행단장도[2] 꽤 있고, 해병대는 아예 지상군 사단과 격을 맞추기 위해 소장급[3]이다.

영국군이나 영국의 영향을 받은 영연방계 공군에서는 이 호칭이 중령 계급명으로 쓰인다.[4] 대령은 Group Captain, 소령은 Squadron Leader, 대위는 Flight Lieutenant. 묘하게 미 공군의 직책명과 어긋나면서도 해군삘이 나는 체계다.
  1. 물론 뒤늦게 임기제로 진급했다면 예외. 그러나 임기제로 진급한 조종 준장이 비행단장을 한 사례도 있기는 하다.
  2. 원칙적으로는 해군의 항모전단과 공군의 비행단이 동급부대라 준장을 임명하게끔 되어 있으나 준장(진) 상태의 대령을 임명한다거나 아예 별 달려면 더 기다려야 하는 대령을 임명하는 경우가 꽤 있다. 다만 우주사령부 예하의 우주비행단 같은 다른 비행단에 비해 전략적/전술적으로 중요한 비행단은 대령을 임명하는 경우가 적다. 예외적으로 의무비행단 중에는 소장이 비행단장을 맡는 곳도 있다. 한편 한국군의 제38전투비행전대가 더부살이하는 군산의 미8전비는 준장을 보내기엔 부담되지만 38전대장보다는 짬에서 앞서는 준장(진)이 보임된다.
  3. 다만 이는 미 해병대의 비행단이 공군의 비행단보다 규모가 다소 큰 이유도 한몫 한다.
  4. 영국과 미국의 차이인데 비행단-전대-대대가 미국에서는 wing-group-squadron이지만 영국에서는 group-wing-squadron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