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도다리

1 개요

학명은 Platichthys stellatus. 가자미목 가자미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동해 북부에 분포한다. 최대 길이와 무게는 각각 91cm,9kg이며 광염성 어종으로 바다는 물론이고 기수 지역이나 강하류에도 분포하기도 한다. 강도다리라는 이름도 강에서 잡히는 도다리(가자미)라는 의미에서 붙은 것.

이런 특성 때문에 양식이 쉬워서 중국에서 대량 양식된 것이 2000년대 중반부터 국내에 수입되기 시작했고 현재는 국내에서도 활발히 양식을 하는 종이다.

2 생태

겨울이 되면 더 깊은곳으로 이동하며, 어린 물고기는 기수역 근처에 서식한다. 이유는 이곳에는 염분 농도가 계속 변하여 포식자들이 많이 살지 못하기 때문이다.

3

식감 자체는 나쁘지 않다. 다만 뼈째 썰기를 할 경우 뼈가 좀 억센 경우가 많다. 기본적으로 강도다리 양식 개체들의 크기가 다소 크기 때문이다. 냄새가 좀 나는 편이라 싫어하는 사람도 많다. 회의 맛은 별다른 감칠맛도 단맛도 없는 편. 물론 가자미류기 때문에 가자미 특유의 부드러운 단 맛이 전혀 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약하다.

이 어종이 널리 퍼지게 된 이유는 대량 양식이 가능하고 생김새가 괜챦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활어를 직접 보고 고른 후 회로 먹는 문화가 발달되어 있는데 강도다리는 상당히 특이한 외양을 지니고 있다. 지느러미에는 줄무늬가 뚜렷하며 몸에는 작은 돌기들이 무수히 돋아 있어서 왠지 좀 특이한 고기라는 느낌을 익숙하지 않은 이들에게 준다. 여기서 횟집 주인장의 이빨털기 스킬이 더해지면 어느새 "요 놈 잡아주세요?" 혹은 "얼마에요?"를 시전하고 있는 자신을 보게 될 것이다.

그러나 절대로 고급 횟감도 아니고 가격적인 면에서 도다리와 동급이 될 이유는 없다. 그렇다고 아주 저급은 아니지만....업자들의 병크 때문에 인상이 나빠진 편.

4 업자들의 병크

그 특이한 외양 때문에 고급 어종인 줄가자미와 잘 혼동된다. 실제 줄가자미는 왠만한 미식가가 아니면 본 적이 없을 정도로 비싸고 귀한 어종이기 때문에 잘 속는 편이다.

심지어 어떤 업자들은 광어와 줄가자미를 믹스해 만든 신종이라는 거짓말을 하기도 한다.

이렇게 줄가자미를 엄청나게 싸게 파는 척 하면서 일반적인 횟감보다는 비싸게 파는 것. 외지인들이 들끓는 관광지 횟집에서 이런 병크를 많이 벌이는 편이다.

참고로 줄가자미는 이렇게 생겼다.

506387_386323_2927.jpg

지느러미의 모양이나 체형도 다르고 껍질의 돌기도 줄가자미가 더 많은 편이다. 절대로 속지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