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공주시 시내버스
목차
1 개요
공주시 시내버스의 노선을 정리한 문서이다.
'사진' 단락에 있는 사진은 전부 나무위키에 업로드된 사진이다. 확장자는 전부 jpg. 해당 사진은 나무위키 검색창에 파일:공주XXX.jpg를 검색하면 볼 수 있다.[1] 다른 문서로 이동되는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해 링크로 대체했다.
1.1 시내권역(100번대)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평일) | 배차간격(휴일) | 사진 |
100 | 주공4차 | 현대A - 공산성 - 산성시장 - 공주시청 - 공주교대 | 금학동(여고) | 15~20분 | 20~30분 | 참조 |
101 | 주공4차 | 현대A - 종합터미널 - 옥룡동 - 산성시장 - 문예회관 | 웅진동 | 15~30분 | 20~30분 | 참조 |
108 | 공주박물관 | 문예회관 - 공주사대부고 - 공주교대 - 공주대후문 - 송선 - 대교 | 세종 엠코타운 | 60분 | 120분 | 참조 |
125 | 신한아파트 | 공주정보고 - 종합터미널 - 옥룡주공A - 공주시청 - 산성시장 - 공산성 | 웅진동 | 17분 (종점발 15분) | 24~30분 | 참조 |
1.2 이인면, 탄천면 방면(200번대)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평일) | 배차간격(휴일) | 사진 |
200 | 종합터미널 | 공산성 - 금학동 - 태봉 - 이인 | 공주역 | 6회 | 9회 | 참조 |
205 | 갑사(동학사) | 중장 - 하대 - 신원사 - 경천 - 화헌 | 공주역 | 2회 | 7회 | |
210 | 산성동 | 금학동 - 태봉 - 이인 - 탄천 - 견동 - 대학2리 | 대학리 | 6회 | 6회 | |
211 | 산성동 | 금학동 - 태봉 - 이인 - 탄천 - 분강,유하 - 대학2리 | 대학리 | 1회 | 1회 | |
220 | 산성동 | 금학동 - 태봉 - 이인 - 탄천 - (정치/시계) | 가척리 | 5회 | 5회 | |
221 | 산성동 | 금학동 - 태봉 - 이인 - 광명 - 탄천 - 시계 | 가척리 | 1회 | 1회 | |
230 | 산성동 | 금학동 - 태봉 - 이인 - 탄천 - 덕지(건평) | 화정리 | 6회 | 6회 | 참조 |
240 | 산성동 | 금학동 - 태봉 - 이인 | 탄천 | 2회 | 2회 | |
241 | 산성동 | 금학동 - 태봉 - 이인 - 공주역 - 장마루 - 안영 - 분강,유하 - (탄천, 이인경유 순환) | 산성동 | 1회 | 1회 | |
242 | 산성동 | 금학동 - 태봉 - 이인 - 분강,유하 - 탄천 - 안영 - 장마루 - (이인경유 순환) | 산성동 | 1회 | 1회 | |
250 | 산성동 | 금학동 - 태봉 - 이인 - 공주역 - 장선 | 장마루 | 5회 | 5회 | |
251 | 산성동 | 금학동 - 태봉 - 이인 - 공주역 - 안영 - 광명 | 산성동 | 3회 | 3회 | |
260 | 산성동 | 웅진동 - 봉정동 - 검상동 | 만수 | 2회 | 2회 | |
261 | 산성동 | 금학동 - 검상동 - 만수 - 신흥 - 초봉 - 오룡 - 금학동 | 산성동 | 1회 | 1회 | |
262 | 산성동 | 금학동 - 봉정동 - 검상동 - 만수 - 신흥 - 초봉 - 태봉 - 금학동 | 산성동 | 1회 | 1회 | |
263 | 산성동 | 금학동 - 봉정동 - 검상동 - 만수 - 신흥, 운암 - 오룡 - 태봉 - 금학동 | 산성동 | 2회 | 2회 | |
264 | 산성동 | 금학동 - 오곡동 - 발양 - 만수 - 검상동 - 봉정동 - 웅진동 | 산성동 | 1회 | 1회 | |
265 | 웅진동 | 봉정동 - 검상농공단지 - 나래원 | 운암 | 3회 | 3회 | |
270 | 산성동 | 금학동 - 남월 - 발양 | 오곡동 | 5회 | 5회 | |
280 | 산성동 | 금학동 - 태봉 - 이인 - 향지 - 공주역 - 경천 - 계룡 - 기산 - 소학 | 산성동 | 3회 | 3회 | |
281 | 산성동 | 소학 - 기산 - 계룡 | 향지 | 1회 | 1회 | |
290 | 산성동 | 금학동 - 태봉 - 신흥,운암 - 오룡 - 태봉 - 금학동 | 산성동 | 1회 | 1회 |
1.3 계룡면, 반포면, 대전광역시 유성구 방면(300번대)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평일) | 배차간격(휴일) | 사진 |
300 | 산성동 | 옥룡동 - 마암 - 공암 - 박정자삼거리 - 현충원역 - 유성시장 | 충남대 | 30분 | 30분 | 참조 |
301 | 충남대 | 유성시장 - 현충원역 - 상신 - 치료감호소 - 송곡 - 반석역 - 지족역 - 유성여고 | 충남대 | 1회 | 1회 | |
302 | 차고지 | 충남과학고 - 공암 - 상신 - 송곡 - 반석역 - 지족역 - 유성여고 | 충남대 | 1회 | 1회 | |
303 | 충남대 | 유성온천역 - 지족역 - 반석역 - 송곡 - 동학사 - 공암 - 마암 - 옥룡동 | 산성동 | 1회 | 1회 | |
310 | 산성동 | 옥룡동 - 소학 - 화은 - 기산 - 계룡 - 하마루 - 경천 | 신원사 | 16회 | 16회 | 참조 |
320 | 산성동 | 옥룡동 - 소학 - 화은 - 기산 - 계룡 - 하대 - 중장 | 갑사 | 16회 | 16회 | 참조 |
321 | 차고지 | 충남과학고 - 마암 - 내흥 - 중장 | 갑사 | 2회 | 2회 | |
322 | 산성동 | 옥룡동 - 소학 - 화은 - 기산 - 계룡 - 하대 - 중장 - 갑사 - 무속촌 | 신원사 | 1회 | 1회 | |
330 | 산성동 | 옥룡동 - 소학 - 왕촌 | 구왕 | 4회 | 3회 | |
340 | 신원사 | 무속촌 - 갑사 - 중장 - 마암 - 공암 - 박정자삼거리 - 현충원역 - 유성시장 | 충남대 | 5회 | 5회 | |
341 | 갑사 | 중장 - 마암 - 공암 - 박정자삼거리 - 현충원역 - 유성시장 | 충남대 | 2회 | 2회 | |
342 | 충남대 | 유성온천역 - 지족역 - 반석역 - 송곡 - 상신 - 공암 - 마암 - 중장 | 갑사 | 3회 | 3회 | |
350 | 산성동 | 옥룡동 - 마암 - 공암 - 박정자삼거리 - 학봉 | 동학사 | 3회 | 2회 |
1.4 의당면, 장군면, 세종특별자치시 방면(500번대)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평일) | 배차간격(휴일) | 사진 |
500[2]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송선 - 장군 - 성남고교 - 세종청사 - 연기 - 봉암 | 조치원역 | 21회 | 21회 | 참조 |
501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송선 - 장군 | 성남고교 | 1회 | 1회 | 참조 |
502[3][4]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송선 - 장군 - 성남고교 - 세종청사 - 연기 - 봉암 - 조치원역 | 고려대 세종캠퍼스 | 1회 | 1회 | 참조 |
51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송선 - 장군 - 평기 | 송문 | 2회 | 2회 | |
512 | 종합터미널 | 청룡 - 송학 - 송문 - 밤실 - 장군 - 송선 - 종합터미널 | 산성동 | 1회 | 1회 | 참조 |
52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송선 - 장군 | 대교 | 7회 | 7회 | |
530 | 산성동 | 옥룡동 - 종합터미널 - 신관사거리 - 공주정보고 - 외곽도로 | 주공4차 | 1회 | 1회 | |
54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청룡 - 유계 - 송학 - 도신 - (월곡) | 덕학 | 10회 | 9회 | 참조 |
550[5] | 차고지 | 송정 | 신한아파트 | 1회 | 1회 | |
56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청룡 - 유계 - 송학 - 용현 | 용암 | 4회 | 3회 | |
570 | 종합터미널 | 월송동 - 무릉입구 - 석장리 - 금암 | 공주영상대학 | 18회 | 8회 | |
580 | 종합터미널 | 월송동 - 무릉입구 - 석장리 - 공주영상대학 | 산림박물관 | 5회 | 5회 | 참조 |
1.5 정안면 방면(600번대)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평일) | 배차간격(휴일) | 사진 |
60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청룡 - 모란 - 석송 - 정안 - 사현 | 인풍 | 6회 | 6회 | 참조 |
601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청룡 - 모란 - 석송 - 어물 - 정안 - 사현 | 인풍 | 2회 | 2회 | |
602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청룡 - 모란 - 석송 - 보물 - 정안 - 사현 | 인풍 | 2회 | 2회 | |
61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청룡 - 모란 - 석송 - 정안 - 월산 - 유룡 - 회학 | 마곡사 | 5회 | 5회 | 참조 |
611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생명과학고 - 모란 - 석송 - 정안 - 월산 - 유룡 - 회학 | 마곡사 | 1회 | 1회 | |
62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청룡 - 모란 - 석송 - 운궁 | 고성/쌍달 | 6회 | 5회 | 참조 |
63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청룡 - 모란 - 석송 - 보물 - 어물 | 광정 | 1회 | 1회 | |
631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청룡 - 모란 - 석송 - 보물 | 광정 | 1회 | 1회 | |
64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청룡 - 모란 - 화봉 | 평정 | 4회 | 3회 | |
641 | 종합터미널 | 청룡 - 모란 - 화봉 - 평정 - 상용 - 목천2구 - 생명과학고 - 종합터미널 | 산성동 | 1회 | 1회 | 참조 [6] |
642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청룡 - 두만 - 모란 - 평정 - 상용 - 목천2구 - 생명과학고 | 종합터미널 | 1회 | 1회 | |
65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청룡 - 수촌 | 두만 | 1회 | - | |
651 | 차고지 | 종합터미널 - 청룡 - 수촌 - 청룡 | 신한아파트 | 1회 | 1회 | |
66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생명과학고 - 목천2구 - 모란 - 석송 - 정안 - 월산 | 산성리 | 2회 | 2회 | |
661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생명과학고 - 목천2구 - 모란 - 석송 - 정안 - 월산 - 산성리 - (정안경유 순환) | 산성동 | 1회 | 1회 | |
662 | 종합터미널 | 생명과학고 - 목천2구 - 모란 - 석송 - 정안 - 월산 - 산성리 - (정안,어물경유 순환) | 산성동 | 1회 | 1회 | 참조 |
67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생명과학고 - 목천2구 - 모란 - 석송 - 정안 - 월산 | 내문 | 1회 | 1회 |
1.6 우성면, 신풍면, 사곡면, 유구읍 방면(700번대)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평일) | 배차간격(휴일) | 사진 |
70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상서 - 우성 - 신영 - 사곡 - 신풍 | 유구터미널 | 산성동발 24회 유구발 27회[7] | 산성동발 18회 유구발 21회[8] | 참조 |
701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상서 - 우성 - 사곡 - 화흥 - 신풍 | 유구터미널 | 1회 | - | 참조 |
71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쌍신 | 월미 | 3회 | 2회 | 참조 |
72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귀산 - 반촌 - 상서 - 우성 - 호계 - 화월 | 계실 | 3회 | 3회 | 참조 |
721 | 종합터미널 | 상서 - 우성 - 호계 - 계실 - 반촌 - 목천 - 귀산 | 종합터미널 | 1회 | 1회 | 참조 |
73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상서 - 우성 - 공수원 - 모덕사 - 안영 - 봉현 | 굴티 | 6회 | 4회 | 참조 |
74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연미산옛길 - 신웅 - 상서 - 우성 - 공수원 - 어천 - 죽당 | 오동 | 5회 | 4회 | 참조 [9] |
75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생명과학고 - 귀산 - 반촌 | 목천 | 4회 | 4회 | 참조 |
76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연미산옛길 - 신웅 - 도천 - 내산 | 한천 | 5회 | 4회 | 참조 |
761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생명과학고 - 목천 - 반촌 - 내산 - 신웅 - 연미산옛길 - 종합터미널 | 산성동 | 1회 | 1회 | |
77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상서 - 우성 - 사곡 - 고당 - 가교 | 마곡사 | 15회 | 15회 | 참조 |
1.7 신풍면, 유구읍 지선(800번대)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평일) | 배차간격(휴일) | 사진 |
800 | 유구터미널 | 창말 - 신달 - 추계 - 추동 - 문금 | 불당골 | 6회 | 6회 | |
805[10] | 유구터미널 | 문금 - 종곡 - 거산 | 외암민속마을 | 7회 | 7회 | 참조 |
810 | 유구터미널 | 창말 - 신달 - 추계 - 추동 - 문금 | 탑곡 | 3회 | 3회 | 참조 |
820 | 유구터미널 | 창말 - 신달 | 명곡 | 4회 | 4회 | |
830 | 유구터미널 | 창말 | 신영 | 2회 | - | |
840 | 유구터미널 | 백교 | 노동 | 3회 | 2회 | |
850 | 유구터미널 | 녹천 | 차동 | 2회 | - | |
860 | 유구터미널 | 구계고개 - 동해동 - 부곡 - 마곡사 - 상원골 - 구계고개 | 유구터미널 | 3회 | 3회 | 참조 |
861 | 유구터미널 | 구계고개 - 동해동 - 부곡 - 마곡사 - 가교 - 사곡 - 우성 - 상서 | 종합터미널 | 1회 | 1회 | |
870 | 유구터미널 | 만천 - 신풍 - 백룡 - 토끼울 | 쌍대 | 2회 | 2회 | 참조 |
871 | 유구터미널 | 만천 - 신풍 - 백룡 - 봉갑 | 쌍대 | 1회 | 1회 | |
880 | 유구터미널 | 만천 - 신풍 - 백룡 - 입동 | 조평 | 3회 | 3회 | 참조 |
881 | 유구터미널 | 만천 - 신풍 - 백룡 - 조평 - 봉갑 | 종합터미널 | 1회 | 1회 | |
882 | 종합터미널 | 상서 - 우성 - 사곡 - 백룡 - 봉갑 - 신풍 - 만천 | 유구터미널 | 1회 | 1회 | |
890 | 유구터미널 | 만천 - 신풍 - 백룡 - 송학 | 정산터미널 | 1회 | 1회 | |
891[11] | 유구터미널 | 만천 - 신풍 - 백룡 - 봉갑 - 쌍대 - 송학 | 정산터미널 | 1회 | 1회 |
1.8 우성면, 청양군 정산면 방면(900번대)
901번~960번 노선은 정산터미널을 기점으로 하여 청양군 지역(청양군 정산면, 청남면, 장평면)을 운행하는 노선이었지만, 경영악화에 따른 노선 구조조정에 의해 2014년 1월 1일부로 폐선되었다. 이번에 운행이 폐지된 지역은 청양군의 농어촌버스 회사인 청양교통에서 운행한다.[12]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평일) | 배차간격(휴일) | 사진 |
900 | 산성동 | 종합터미널 - 상서 - 우성 - 공수원 - 목면 - 지곡 - 백곡 | 정산터미널 | 16회 | 15회 | 참조 |
- ↑ 단, 공주300은 예외. 파일:공주300k.jpg라 검색해야 한다. 공주 740번 임시차는 파일:공주740임시.jpg 라 검색해야 한다.
- ↑ 세종시 시내버스 550번과 공동 배차하는 노선이지만 세종시 시내버스와의 환승은 불가능하다. 550번은 1일 9회 운행.
- ↑ 세종시 시내버스 551번과 공동 배차하는 노선이지만 세종시 시내버스와의 환승은 불가능하다. 551번은 1일 2회 운행.
- ↑ 청주 버스 502와는 무관하니 주의하기 바란다.
- ↑ 세종시 시내버스 550번과 무관하니 주의하기 바란다.
- ↑ 사진에 나와 있는 버스는 06시 50분에 종합터미널을 출발하는 641번 버스가 맞다. 다만 어째서인지 642라는 번호가 표시되고 있다.
- ↑ 1일 4회 수촌삼거리 경유.
- ↑ 2014년 1월 1일부로 휴무일 탄력운행 시행.
- ↑ 참고로 임시차도 있다. 무려 기아 카니발의 페이스리프트 모델
- ↑ 2015년 1월 22일 신설된 노선. 유구발 07:00 검단 경유. 원래 아산시내버스 100~102번이 아산시내에서 유구까지 운행했었으나 송악면까지로 노선을 축소하면서 새로이 신설된 노선이다. 유구에서 외암민속마을까지 성인기준 2,100원.
- ↑ 2014년 1월 1일부로 대박리 미경유.
- ↑ 원래 정산면, 청남면, 장평면 지역은 청양군 지역이므로 청양군에서 버스를 운행해야 했었지만, 청양교통의 재정상태가 열악하여 농어촌버스 운행이 쉽지 않았다. 게다가 이 세 면 지역은 칠갑산에 막혀서 청양읍과의 왕래가 원래 불편한 애매한 지역이기도 하다.(실제로도 이 세 면 지역에서 청양읍으로 나가는 버스보다 정산면 또는 부여군으로 나가는 버스가 더 많다!) 그래서 이 지역의 시내버스 운행을 예전부터 시민교통에서 담당해 오고 있었는데, 이번 시민교통의 노선 폐선으로 인해 청양교통에서는 16인승 미니버스를 투입하여 이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도모하기로 결정하였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공주시 시내버스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