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훈

1 개요

內訓. 조선 성종 6년인 1475년에 성종의 어머니인 인수대비가 저술한 여성용 수신 교양서. 한글로 만들어진 최초의 여성 교육서이다. 총 3권 3책.[1]

2 내용

1475년에 인수대비가 여성의 덕목과 훈육에 대해 저술한 책으로, 여성과 관련된 40여 종의 경전 내용과 50여 명의 여인들의 행장의 내용을 모아 그 특질에 따라 7장으로 나누어 서술한 후 여성의 행실과 주의점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담아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

1장은 말과 행동에서 주의할 점, 2장은 효도에 대한 내용, 3장은 혼인시 신랑에게 지켜야할 예절, 4장은 부부 사이에 지켜야 할 도리, 5장은 어머니로서 아이에게 지켜야할 예절, 6장은 친척들에게 지켜야할 예절, 7장은 청렴하고 검소하게 가정을 꾸려나가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성종때 발간된 후 영조때까지 중요한 책으로 취급받았으며, 특히 영조는 내훈을 읽고 크게 감동해 1736년에 어제내훈언해(御製內訓諺解)라는 책으로 새로 발간하고 직접 어제내훈소지(御製內訓小識)라는 서문을 썼다.

1400년대 당시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던 한글 궁중 어휘와 여성용 언어 등이 다수 담겨 있어 언어사적 연구에 있어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당시 여성들의 생활 규범 또한 알아볼 수 있다.

3 특징과 한계

이 항목은 네이버 지식백과 :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내훈 항목을 참조하였습니다.

내훈이 과연 여성들의 생활규범만을 요구하는 책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 결과 의심스러운 점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내훈에 서술된 각 장의 구체적 사례들은 오히려 대부분 남성을 주인공으로 하였고 그 중에서도 언행, 효친, 화목, 청렴은 남성의 덕목에 가까운 방식으로 서술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총 7장 중 2장과 5장에 해당되는 효도에 대한 두 장은 주로 여성이 행해야 되는 효도 내용들은 원론적인 차원에서 간단히 제기되고 끝나는 반면 아들이 어머니에게 행해야 하는 내용들은 구체적 인물을 열거하는 방식으로 매우 많이 제시되고 있다. 이는 자신의 가장 중요한 아들로서 이 책을 읽을 성종에게 부모인 자신과 아내를 잘 대하라는 의미로 보인다.

그 외의 장들도 이것저것 분류해보면 총 내용의 2/3가 실제로는 여성이 아닌 남성들에게 훈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겉으로는 여성들이 보고 익혀야할 정숙한 예절책이라고 하고서는 실제로는 부인곁에서 아님 몰래 이 책을 읽을 신료나 기타 남성들에게 "이거 보고 제발 여성 생태계 좀 제대로 알아놔라 이 답답한 것들아"라는 식으로 제작되어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네이버 지식백과 내훈편을 담당한 이숙인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전학연구소 연구교수는 이를 이해하고 보아야 답답한 훈계서에서 생동하는 현실의 언어로 알아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다만 동시에 한계점 또한 명확하게 지적하고 있는데 혼례편에서는 여자가 권력의 중심에 있어서는 안된다고 밝히고 있으며, 부부관계에서도 남편은 아내의 하늘이라 강조하는 등 1400년대의 전통적인 유교적 여성관이 투영된 관점에서 지어진 책임은 부정할 수 없는 것이라고 한다.

4 바깥고리

  1. 선조 6년, 1573년에 중간된 내사본은 3권 4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