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위의 딸

Капитанская дочка

1 소개

러시아의 시인이자 소설가인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1836년작 소설. 1773년에 실제로 있었던 에멜리얀 푸가초프의 반란 사건을 다룬 역사 소설이다.

이 당시 이 사건에 관심을 가진 푸쉬킨은 반란을 진압한다는 수마로코프의 전기를 쓰고 싶다는 거짓말을 해 국가 기밀 문서를 볼 수 있었고 『푸가초프 반란사』를 펴냈으며 이후에도 현지 답사와 고증을 거쳐 소설로 나온 것이 이 책이다.

이 작품은 주인공 그리뇨프와 대위의 딸 미샤의 사랑을 푸가초프의 반란이라는 사건과 융합시켜 역사성, 사상성, 문학성을 동시에 성취함으로써 19세기 러시아의 리얼리즘 문학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를 받는다. 푸시킨은 이 작품을 통해서 역사의 질곡을 넘어서려는 민중의 힘과 전제주의 비판, 그리고 순수한 인간성에 대한 옹호를 잘 나타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2 줄거리

예카테리나 여제 치하의 러시아에서 지방 귀족의 아들로 태어난 그리뇨프는 열일곱 살이 되어 변방의 요새 벨로고르스크에 장교로 부임한다.

임지로 가는 길에 눈보라 때문에 길을 잃고 방황하던 그는 우연하게도 건장한 농부를 만나 그의 안내로 길을 찾게 되었다. 그리뇨프는 고마움 때문에 그에게 술을 대접하고 자신의 토끼가죽 코트를 줬다.

요새에 도착한 그는 그곳의 사령관인 이반 미로뇨프 대위의 가족과 친해졌고 대위의 딸인 마리아 이바노브냐와 사랑에 빠진다. 그런데 그녀에게 구애했다 거절당한 선임 장교 쉬바브린은 둘의 관계를 질투하여 온갖 방해를 한다.

그러던 어느날 푸가초프의 반란이 일어나고 반란군에게 요새가 함락되어 미로노프 대위와 그의 아내와 장교들은 모두 사형에 처해진다. 그런데 반란군의 지도자인 푸가초프는 다름 아닌 그리뇨프에게 길을 가르쳐 준 농부였고 그때의 일을 기억한 푸가초프는 그리뇨프의 목숨을 살려주고 떠나보낸다. 그리고 쉬바브린은 푸가초프에 항복해 벨로고로스크 요새의 새 지휘관이 된다.

오렌부르크로 피신해 있던 그리뇨프는 마샤로부터 쉬바브린이 결혼을 강요한다는 밀서를 받고 단신으로 그녀를 구출하러 가다가 푸가초프의 부하들에게 잡혀 푸가초프에게 끌려가게 된다. 여기서 그리뇨프는 푸가초프에게 그간의 사정을 말하고 마리아 이바노브냐를 풀어달라고 하고 그를 인간적으로 좋아했던 푸가초프는 쉬바브린에게서 그녀를 풀어내 보내준다.

그 후 그리뇨프는 반란 진압군이 되어 수많은 전투를 치뤘는데 반란이 진압된 후 쉬바브린은 그리뇨프에 대한 증오 때문에 그가 푸가초프의 간첩이었다고 거짓말을 했다. 이로 인해 그리뇨프는 시베리아 종신 유배에 처해지게 되지만 마리아 이바노브냐가 예카테리나 여제에게 직접 상소하여[1] 진실을 밝힘으로 풀려난다.

훗날 푸가초프는 처형장의 군중 속에서 그리뇨프를 찾아내 그에게 머리를 끄덕여 보이며 마지막 인사를 하고 그리뇨프는 마리이 이바노브냐와 결혼해 행복한 가정을 꾸린다.
  1. 이 과정이 좀 재밌는 것이, 궁전에 도착한 그녀는 정원을 가꾸고 있는 한 부인을 보고 여제를 만나고 싶다고 하며 자신과 그리뇨프의 사정을 이야기한다. 그 부인은 알겠다고 대답하고 자신이 여제를 만날 수 있도록 해주겠다고 말한다. 나중에 알현실로 들어간 마리아는 깜짝 놀라는데, 그 부인이 바로 예카테리나 여제였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