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우다

자주 틀리는 한국어의 하나.

D'oh우다

이 말의 기본형은 ㅂ 불규칙 활용을 하는 '돕다'이며, 절대로 '도우다'가 아니다.

'돕다'를 '잡다'로 대체해 보면 '돕-'과 '도우-'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돕-'을 '잡-'으로 바꿔서 어울리면 '돕-'으로 쓰고, '잡으-'로 바꿔서 어울리면 '도우-'로 쓴다.

  • 사람을 도우다 (X) → 사람을 돕다 (O) (잡다 (O), 잡으다 (X))
  • 그를 도우는 사람 (X) → 그를 돕는 사람 (O) (잡는 사람 (O), 잡으는 사람 (X))
  • 나는 그를 도운다. (X) → 나는 그를 돕는다. (O) (잡는다 (O), 잡은다 (X))
  • 그를 도우다가 집에 왔다. (X) → 그를 돕다가 집에 왔다. (O) (잡다가 (O), 잡으다가 (X))
  • 그를 도우자 (X) → 그를 돕자 (O) (잡자 (O), 잡으자 (X))
  • 나는 그를 도우지만, 그는 나를 도우지 않는다. (X) → 나는 그를 돕지만, 그는 나를 돕지 않는다. (O) (잡지만, 잡지 (O), 잡으지만, 잡으지 (X))
  • 저는 그를 도웁니다. (X) → 저는 그를 돕습니다. (O) (잡습니다 (O), 잡으습니다 (X))
  • 그를 도우니까 힘이 난다. (O) (그를 잡으니까 (O), 그를 잡니까 (X))
  • 그를 도우면 힘이 난다. (O) (잡으면 (O), 잡면 (X))

'돕' 뒤에 '아'가 붙으면 언제나 '도와'가 되며, '돕아'나 '도워'라고 하지는 않는다.

  • 그를 도와서 일을 했다.
  • 그를 도와도 소용이 없었다.
  • 나는 그를 도왔다/도와주었다.

둘 다 되지만 상황이나 의미에 따라 다르게 쓰이는 경우도 있다.

  • 그를 돕는 사람/그를 도운 사람 (O): 현재형은 '돕는'이고, 과거형은 '도운'이다. '잡다'로 대체해 보면 각각 '잡는', '잡은'이 되므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절대로 '도우는'으로 쓰지는 않는다.
  • 왜 너는 그를 돕니?/그를 도우니 힘이 난다. (O): 물음을 뜻을 나타낼 때의 '니'는 '으'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돕니'로 쓰고, 원인이나 근거, 전제 등을 나타낼 때는 '으'가 요구되므로 '도우니'로 쓴다. 각각 '잡니', '잡으니'로 대체 가능해 보면 이해가 갈 것이다.

이러한 오류가 나타나는 원인은 역성법과잉 수정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