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오지 않는 다리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이 문서는 토막글로 분류되는 800바이트 이하의 문서입니다. 토막글을 채우는 것은 기여자의 따뜻한 손길입니다. 이 틀을 적용할 시 틀의 매개변수로 분류:토막글의 하위 분류 중 적절한 분류를 지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역사

돌아오지 않는 다리는 현재 분단상태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의 비무장지대에 있는 교량이다.
현재는 DMZ 관련 견학을 통해 차안에서만 볼 수 있는 곳이며, 많은 사람들이 이 다리가 언젠가 다시 남북을 자유롭게 드나드는 다리가 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6.25 전쟁 당시 1953년 4월에서 5월 동안 포로들을 남쪽 또는 북쪽으로 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 포로 송환 목적의 다리로 사용되었다. 임진각 근처에 있는 자유의 다리가 국군 및 국제연합군(UN군)을 휴전협정 조인 후에 옮기는 역할을 하였다면 이 다리는 휴전협정 조인 전에 일부 포로들을 송환조치 하는 다리로 사용되었다.

이후 미국의 정보수집선으로 알려진 푸에블로호가 북한에 의해 나포된 후, 푸에블로호 선원들을 남측으로 보내는 데도 사용되었다. 그러다 8년 후 판문점 도끼만행사건이 터지면서,[1] 판문점에 시멘트 라인이 생김과 동시에 다리 또한 다른 다리가 건설되면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1.1 원래 이름

원래 이름은 널문다리라 한다.

  1. 1976년 판문점 근처에서 일어난 도끼만행, 남측에서 초소를 가리는 미루나무를 베려고 하자 북한군이 미리 준비해 둔 무장군사들에게 무자비하게 도끼를 휘두른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