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플리카(월드 트리거)

파일:DKnUa0k.jpg
원작애니메이션화
그것을 결정하는 것은 내가 아니라 유마 너 자신이다

レプリカ
성우:이구치 유이치(VOMIC)/타나카 히데유키(TVA)

만화 월드 트리거에 등장하는 검은 수수께끼의 물체의 애칭. 토끼 로봇과 같은 외형을 하고 있으며 모델은 작가의 집에 있는 밥솥 같다.

"내 이름은 레플리카. 유마의 감시 역이다"라는 자기 소개 그대로 이(異)세계에서 온 쿠가 유마의 감시역으로 유마가 트리거를 사용할 때 검은 옷과 같은 게 되어 얽혀 붙는 외에 트리온 측정기를 내거나 자신을 복제 할수 있으며 공중을 떠다니면서 일상생활&전투에서 유마의 서포트를 해준다. 후에 쿠가 유마의 아버지인 쿠가 신고가 만든 다목적 트리온병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분명히, 트리온병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 같다.

아후토 크라톨 침공 당시, 적의 원정선을 조작하여 철수시키게 만든다. 하지만 몸이 반쪽이 나면서 움직일 수 없었던터라 자신도 탈출하지 못하여 적과 함께 네이버후드로 가게 되었다. 그렇다고 죽은 것은 아니고 분신(?)이 남아 있는 걸 보아 어찌어찌 살아있는 듯 하다. 시간이 남는 겸 원정을 목표로 하는 오사무와 치카를 도울 생각으로 보더에 입대한 유마에게, 탈환이라는 원정의 새로운 목표가 되었다.

다만 문제는 쿠가 부자가 네이버후드의 여러 국가를 돌아다니면서 축적된 정보와 보더의 정보가 내장되어있는데, 이를 홀라당 적국에게 넘겨진 꼴이 되었다. 아무리 적국의 오래된 정보라고 해도, 그리고 보더의 기술이 상대적으로 구식이라고 해도, 정보의 가치는 과소평가 하기는 힘들다. 예를 들자면, 아후토 크라톨에게는 아직 없는 보더 트리거의 베일 아웃 기능이나 통신 기능을[1] 레플리카를 통해 얻을 수도 있다. 아후토 크라톨 입장에서는 뜻밖의 횡재.

레플리카의 행적을 살펴보면 유마의 블랙 트리거의 일부, 아니 그 자체인 것처럼 가깝게 묘사가 된다. 적의 능력을 학습하기 위한 해석은 전적으로 레플리카가 맡고 있고[2], 해석한 정보를 특정 명칭(인:印)을 정해주고 나서야 유마가 사용하기 시작했다. 레플리카나 분신을 통해서 유마의 블랙 트리거를 원거리에서 사용하는 경우도 몇 번 나왔는데, 유마가 뷔자와 대결로 정신이 없을 때는 미리 허락을 받았겠지만 레플리카가 독립적으로 쉴드, 게이트, 볼트 등의 인을 사용했다. 적의 트리온병인 라빗트까지 해석하여 레플리카가 직접 소환하는걸 보면, 학습하는 능력은 유마의 블랙 트리거의 능력보다는 레플리카 자체의 능력에 가까워 보일 지경이다. 알고보니 레플리카가 블랙 트리거 레플리카(replica)의 실제 뜻을 고려해보면 거의 확실해 보이지만, 유마가 레플리카 분신을 통해 원거리에서 인을 사용한 8화에서, 레플리카가 직접 유마의 트리거를 사용했다고 언급했기 때문에, 유마의 블랙 트리거 능력은 확실히 '적의 능력의 학습'이고 레플리카는 유마의 모조품으로서 능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알고보니 레플리카가 진짜 유마고 유마가 트리온병인데...

군사 국가인 아후토 크라톨도 이런 고성능의 자율 트리온병은 보유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는데,[3] 유마의 아버지 쿠가 유고는 레플리카를 어떻게 만들었는지 의문이다. 그리고 래드보다도 작은 몸을 가지고서도 대화부터 시작해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의 수는 훨씬 많다. 거기다가 위에서 언급된 적 트리거의 해석은 1~2초내로 끝낼 정도로 속도가 장난 아니게 빠르다. 이때까지 나온 다른 트리온병들과 비교해서 오버테크놀로지에 가깝다.

인기투표에선 18위
  1. 신기하게도 대원들과의 통신은 주 목적이 포탈인 미라의 스피라스키아를 통해서 하고 있다. 미라를 거치지 않고서는 대원들끼리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없고 하이레인이 실시간으로 정보 공유가 가능한 보더의 트리거를 성가시다고 했다.
  2. 해석해서 유마의 것으로 만든 레드 불렛 뿐만 아니라 휴스의 람비리스, 심지어 트리온병 라빗트까지 해석했다. 거기다가 해석한 라빗트는 레플리카 자신의 트리온으로 만들었다.
  3. 보유했다면 신의 후보를 찾는 국가의 운명과 앞으로의 패권 싸움에 무척이나 중요한 원정에 하나 정도는 가지고 왔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