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시아 드 노바스 유리

1 개요

파일:Attachment/cha 04 a.jpg
リシア・ド・ノーヴァス・ユーリィ

August에로게 예익의 유스티아의 네번째 히로인. 성우는 에비하라 유즈하.

테마곡은 "Innocense". 다른 히로인들의 테마곡의 제목보다 매우 의미심장한 뜻의 제목을 가지고 있다. 곡 자체는 바이올린이 메인인 조용하지만 매우 귀족스러운 곡이며 업그레이드 버전인 "La Rosa"의 경우 음조 구조 자체는 똑같지만 기존보다 매우 웅장하고 힘있는 곡으로 바뀌어 마치 대혁명잠깐만 왕족인데?이라도 일어난 것 같은 느낌을 준다. 리시아 루트의 막바지즈음의 장면에서 들릴때는 그야말로 장관. 또다른 버전인 "Peace Dove"의 경우 기존의 조용한 음조에서 밝고 활기찬 음조로만 바뀌었다.

노바스 아이델의 주인인 노바스 왕가의 제1왕녀. 왕은 장기간 투병으로 인해 집정이 불가능해 대신 정무를 보고 있다고는 하나 집정공 발스타인공의 꼭두각시나 다름없는 모습을 보인다.

왕녀이면서도 아랫세계의 일에 흥미가 있어 가끔 시녀 차림으로 돌아다니면서 세탁이나 청소같은 잡일을 하기도 하고 이때마다 호위대장인 바리어스는 취사장에 들어간 사단장을 보는 대대장처럼 발끈하여 그곳에 있던 담당자를 처벌하기도 한다. 주인공인 카임과 처음 만난것도 시녀 차림이었으며 처음 왕궁에 들어온 카임은 그녀가 왕녀라는 사실을 모른 채 왕녀와 반말로 대화를 하다가 나중에 왕녀 차림의 그녀를 보고서야 왕녀임을 알게 되면서 망했어요. 하지만 리시아는 그 일에 대해 용서해 주는 대신 자신과 매일 하층이나 감옥의 실태를 보고하게 시키며 둘이 있을때엔 서로 반말을 쓰도록 허락까지 한다.

2 스포일러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사실은 왕의 친딸이 아니다. 가끔 보이는 미묘하게 자신감 없어 보이는 행동은 그것때문. 하필 알게된 날이 정원사에게 화관 만드는 법을 배워서 아버지에게 선물로 줄 때 였으며, 이때 화관을 내팽겨친 일때문에 엄청난 충격을 받았다. 이후 종종 자신의 자격을 의심하는 경우가 있다.

원래 아버지에게 엄하게 길러져서인지 감옥이나 하층의 실태를 알고 무언가 바꾸려는 의지는 있어도 그것을 실행할 자신이 없으며 모든 정보를 발스타인공이 차지하고 있어 항상 그에게 끌려다니는 실정이었다. 루시아는 그런 실정을 극복하기 위해 감옥 출신인 카임에게 호의를 베풀었으며 몰래 왕궁을 빠져나와 감옥을 시찰하여 발스타인공의 보고와는 다른 감옥의 충격적인 현실을 목격한 뒤 점점 성장하여 발스타인공에게 회의 중 이것저것 추궁하는 등 적극적인 성격으로 바뀌어 나간다.

한편 루키우스와 카임은 발스타인공을 무너뜨리기 위해 쿠데타 준비에 착수했는데 이를 위해서는 왕녀인 루시아의 지지가 필요했다. 카임은 루시아를 설득해 지지를 얻어내는데 성공했지만 쿠데타 기미를 눈치챈 발스타인공도 견제에 들어가 루키우스와 카임의 체포령이 내려지게 되자 바로 실행에 옮기게 된다.

루키우스의 사병과 방역국(날개사냥)으로 이루어진 루키우스군과 발스타인공 부대가 팽팽하게 맞서는 가운데 호위대인 바리어스는 중립을 유지했는데[1], 리시아는 바리어스를 설득해 쿠데타를 지원해줄것을 요청한다. 결국 바리어스가 칼까지 들이밀자 리시아가 칼날을 잡아가며 끝까지 설득에 성공해 호위대가 참전 전세가 역전되고 바리어스공을 쓰러뜨리는데 성공하며 이와 동시에 국왕이 사망[2]하며 리시아가 왕위를 이어받게 된다. 여기서 선택지에 따라 결과에 다소 차이가 큰데, 리시아 엔딩으로 갈 경우 비밀통로에서 가우와 조우했을 때 카임과 바리어스가 남아 가우를 쓰러트리고[3] 남은 일행들이 발스타인공을 왕궁 로비에서 쓰러트리고 카임은 왕궁에서 호위무관의 직위를 받아 루시아 곁에 있게 되지만 다음 챕터로 갈 경우 바리어스만이 남아 가우를 상대하고 연구소 탑에서 발스타인공을 쓰러트리게 되며[4] "천사"의 존재와 우화병 치유소 등의 전말을 알게 된다. 하지만 바리어스는 가우를 쓰러뜨리면서 자신도 부상으로 전사하게 된다. 안습...

그녀가 발스타인공을 쓰러뜨리고 대관식을 하여 왕관을 쓰게될때, 내팽겨친줄 알았던 화관이 사실은 왕관안에 있었으며, 아버지가 이를 항상 왕관속에 몰래 같이 쓰고 있었음을 알게된다. 그리고 안에 있던 메시지를 보고 아버지가 자신을 단순히 후계자로 본게 아니라 사실은 가족으로서 진심으로 사랑하고 있었다는것을 알게된다. 매우 감동적인 장면.

본인 루트에서는 왕으로서의 직책도 수행하고, 카임과도 알콩달콩 잘 지내는 모양. 경험은 다소 부족하지만, 바리아스와 카임, 루키우스에게 의지하면서 어찌어찌 잘 해나가고 있는 듯 하다. 다만 시녀복을 입고 돌아다니는건 왕이 되어서도 고쳐지지 않는다(...)

그 다음장에서는 정신적인 아버지와 다름없는 바리아스가 가우와의 전투에서 사망하고, 카임 역시 리시아의 곁을 떠나기 때문인지 본인 파트에서 보여줬던 결단력있는 모습은 없어지고, 루키우스의 꼭두각시로 전락한다. 후에 뇌옥에서 일어난 무장 봉기를 보고, 뇌옥민들의 요구를 수락해야한다며 루키우스와 대립하나, 곧바로 루키우스에 의해서 자신의 방에 감금(...)당한다. 최후에는 어찌어찌 빠져나와 왕궁 병사들과 뇌옥 주민들의 전투를 막기 위해 노력.

작중 자신의 챕터 이외엔 존재감이 거의 없는 존재였지만(스토리상 본인챕터 이전에는 나올만한 구석이 안나오다보니...) 자신의 챕터에서 왕녀의 포스를 어김없이 보여준 모양인지 발매 후 실시된 인기투표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의 인기캐릭터가 되었다.

  1. 이건 발스타인공이 바리어스의 실력을 탐내서 정략결혼으로 자신의 딸을 시집보냄으로서 어느정도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작 그 딸내미는 바리어스가 고민하는 모습을 보고 당신이 하고싶은대로 하라고 해서 그가 마음을 정리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래서 딸자식 키워봐야 아무 소용없다
  2. 국왕은 사실 발스타인공의 계략으로 전담의를 매수해 약물중독 상태에 있었다. 다른 의사에게 진찰을 맡겨보자며 에리스를 불러내 알게된다. 그리고 그 사인을 외부 의사를 불러서 진찰해보자고 말했던 루키우스에게 뒤집어씌워서 개혁파의 수장인 루키우스를 제거하려고 한다.
  3. 이때 가우는 연구의 부산물로 만들어진 검은날개를 만들때 사용한 약을 복용, 자신의 생명력을 갉아먹지만 그 대신 능력치가 대폭 상승해 그야말로 엄청난 실력으로 이 둘을 압도하여 바리어스가 손가락이 잘리고 카임이 만신창이가 되도록 싸워서 겨우 이기게 된다
  4. 여기서 재미있는것은 시스티나는 원래 발스타인공의 양딸이고 루키우스를 감시하기 위해 보내졌으며 결국 루키우스를 배반하려 했으나 그동안 발스타인공에게 당한 학대 때문인지 되려 발스타인공의 뒷통수를 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