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 오브 매직/영웅 유닛

1 영웅 유닛

영웅은 속성 상 일반 유닛에 속하지만 (마법 적용 시 일반 유닛으로 간주된다), 다음 여러 가지 면에서 일반 유닛과는 크게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보통은 일반, 환상과 별개의 제3의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 총 35명의 다른 영웅이 존재한다.
  • 영웅은 마법 사 당 최대 6명까지밖에 보유할 수 없으며, 그 이상으로 새로운 영웅을 고용하려면 기존 영웅을 해고하거나 일부러 죽게 만들어서 빈 자리를 만드는 수 밖에 없다.
  • 한 마법사는 같은 종류의 영웅을 2명 이상 보유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이미 드워프 영웅이 있다면, 더 이상 드워프 영웅을 얻을 수는 없다. 이 드워프 영웅이 죽어서 없어진다 해도 (백 마법으로 되살릴 수는 있지만) 새 드워프 영웅이 나오지는 않는다. 죽이지 않고 해고하면 다시 나올 수는 있지만, 같은 종류의 다른 영웅이 아니라 해고 했던 바로 그 영웅이 돌아오는 것 뿐이다.
  • 영웅은 총 9단계까지 레벨 업을 할 수 있어서, 4단계까지 (마법이나 특기를 쓰면 6단계까지) 레벨 업 가능한 일반 유닛보다 성장 폭이 높다. 뿐만 아니라 레벨 업 시 능력 증가도 일반 유닛보다 현저하게 높다. (일반 유닛은 공격력이 2레벨 당 1씩 오르는데 영웅은 1레벨 당 1씩 증가하는 등)
  • 최대 3개까지 아이템을 장착할 수 있으며, 때로는 이 아이템의 성능이 영웅 자체의 능력보다 중요하기도 하다. 최강 아이템 3개를 도배한 영웅 유닛은 1레벨부터 사기 유닛이 되며, 만렙이 되면 죽을래야 죽지 못할 정도의 캐사기 유닛이 된다. 영웅이 죽어도 전투에서 승리하면 아이템을 회수해서 다른 영웅에게 줄 수 있으므로, 사실상 영웅은 아이템을 캐리하는 그릇에 불과해지는 경우도 있다.[1]

이런 특징을 보면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과 함께 일반 잡졸 + 성장하는 영웅이라는 모바 게임 (및 그 직계 조상인 워크래프트3)의 컨셉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게임인 것을 알 수 있다. HoMM보다 MoM이 조금 먼저 나왔으므로, 굳이 따지자면 이쪽이 원류다. 물론 싱글 플레이와 멀티 온라인, 턴 단위 전략과 리얼 타임 전술이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지만, 컨셉 면에서는 현재 MOBA 게임의 증조 할아버지쯤 되는 셈.

또한 마법사의 명성에 따라 영웅이 찾아오는 확률이 변화하는데 현재 보유중인 영웅의 수에 따라서도 수치가 변한다. 영웅이 하나도 없을때는 명성 0에 3%, 25에 4%, 50에 5%, 75에 6%, 100 이상에 7%지만 영웅이 5명 있을때에는 명성 0에 0%, 25 이상이라도 1% 이상 오르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영웅의 숫자 / 명성 0 / 20 / 25 / 40 / 50 / 60 / 75 / 80 / 100

없음 / 3% / 3% / 4% / 4% / 5% / 5% / 6% / 6% / 7% /

1~2명 / 1% / 1% / 2% / 2% / 2% / 2% / 3% / 3% / 3% /

3~4명 / 1% / 1% / 1% / 1% / 1% / 1% / 2% / 2% / 2% /

5명 / 0% / 0% / 1% / 1% / 1% / 1% / 1% / 1% / 1% /

이 때문에 초반 아무영웅이 없을 때 '일단 돈이 모자르니까 비샨이 오면 먼저 고용하고 나중에 슈리가 오길 기다리자'라는 플레이도 가능하며로드할 때 마다 위의 확률로 영웅이 찾아오므로 귀찮음을 감수하면 세이브 로드신공으로 초반에 둘 다 + 군터까지 고용이 가능하다......

2 영웅 획득

영웅을 획득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다.

하나는 매 턴 시작 시에 랜덤으로 고용해달라고 찾아오는 것. 명성이 높아야 고급 영웅이 찾아오는데, 고용 비용이 없으면 시스템 상 자동 거절이 되기 때문에 심지어 찾아왔는지조차 알 수 없는 채 기회를 차버리는 셈이 되니 가능하면 500골드 이상 비축하고 있는 게 좋다.
고용하지 않고 거절하면 치열한 취업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나중에 스펙을 올려서 (!!!) 재등장하기도 한다. 정리 해고 당했던 영웅도 마찬가지. (라지만 새로운 특기를 획득한다거나 그런 거 없고 그냥 한두 레벨이 올라간 상태로 재등장하는 것)

두 번째는 던전 등에 갇혀 있는 영웅을 구출하는 경우. 고용과 마찬가지로 명성이 높아여 고급 영웅이 나온다. 랜덤이지만 나온다/안 나온다는 정해져 있으므로 전투 전에 저장해놓고 전투를 반복해가며 좋은 영웅 뽑기 노가다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전투 자체가 어렵거나 오래 걸리는 경우는 리셋 노가다도 귀찮게 된다.
마지막으로, 영웅 소환 / 챔피언 소환 마법을 사용하는 것. 위의 두 가지 방법과 달리 마나와 시간이 든다는 단점은 있지만 언제 나올지 모르는 고용과 달리 100% 확실하게 영웅을 뽑을 수 있고, 소환 직전에 저장해두고 리셋 노가다를 반복하면 미리 점 찍어둔 영웅을 뽑을 수도 있다.

마법사의 성향에 따라서 획득이 제한되는 영웅도 있다.
일례로 성기사와 여사제는 백마법사만 획득할 수 있고, 반대로 흑기사나 사령술사는 흑마법사만 획득 가능하다.

3 영웅 등급

영웅은 고용 비용에 따라 급이 나뉘는데, 일반적으로 고급일수록 강력하지만 밸런싱이 잘 되어 있지 않아서 같은 급에서도 사기캐와 허접캐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영웅 유지비는 일률적으로 '고용 비용/50'이다. 따라서 소환하거나 구출한 경우에도 유지비를 보면 영웅의 급수를 알 수 있다.
이 중 고용비 300 골드 이하인 영웅을 하위 영웅, 500 골드 이상인 영웅을 상위 영웅 (보통 챔피언이라고 부른다) 으로 크게 구분하는데, 이는 영웅 소환 / 챔피언 소환 마법으로 소환하는 기준이 된다. 영웅 소환으로는 300 골드 이하의 하위 영웅 밖에 소환할 수 없고 후보가 부족할 경우 상위 영웅이 나오는 게 아니라 마법에 실패하게 된다. 반대로 챔피언 소환으로는 500 골드 이상인 상위 영웅, 즉 챔피언만 나오는 게 원칙이지만 챔피언이 부족할 경우 하위 영웅이 소환되기도 한다. (예외로 신비 X는 300골드 영웅인데 챔피언에 속해 있다. 스펙으로 보아 팸피언보다는 300 골드짜리 영웅에 가까우므로, 아마도 일종의 버그라고 보는 게 맞을 것이다.) 어느쪽이든 영웅을 너무 죽여대서 더 이상 소환될 영웅이 없는 경우 마법은 실패하게 된다.

모든 영웅은 레벨에 따른 등급이 있지만 능력치 상승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공격력 명중 방어력 저항도 HP

Hero - - - - -
Myrmidon +1 - +1 +1 +1
Captain +2 - +1 +2 +2
Commander +3 +1 +2 +3 +3
Champion +4 +1 +2 +4 +4
Lord +5 +2 +3 +5 +5
Grand Lord +6 +2 +3 +6 +6
Super Hero +7 +3 +4 +7 +7
Demi-God +8 +3 +4 +8 +8

또한 마스터 오브 매직에는 각 유닛마다 고유의 특수능력이 있는데 영웅만 가지는 특수능력이 존재한다. 영웅들은 자신의 고유 능력이 고정되어 있지만 랜덤으로 특수능력 하나를 가지고 오는 경우가 있어 이 때 어떤 능력을 갖고오는지에 따라 활용도가 꽤 달라질 수 있으며 특수능력의 레벨이 오를수록 그 효과도 커진다.

- Agile(민첩) : 1 레벨마다 영웅 Armor (방어력)를 1 포인트 상승시킨다. 꽤 좋은 능력으로 일반적으로 영웅은 공격력보다 방어력이 낮기 때문에 있으면 도움이 된다.

- Arcane Power(아케인 파워) : 1 레벨마다 영웅의 Range(원거리 마법 공격력)를 1 포인트 씩 상승시킨다. 이 능력이 없는 마법사는 쓰기 힘들다. 일반적으로 마법사는 MP를 소모시켜 마법을 쓰거나 원거리 마법공격을 하는데 보통 마법공격보다 원거리 마법공격이 효율이 좋다.

- Armsmaster : 매턴 종료시 영웅과 같은 집단의 전체부대(영웅 제외)에 1레벨마다 경험치 2를 추가한다. 구리다. 일반 유닛은 그냥 1턴당 1포인트씩 경험치를 받는데다가 최일선부대는 전투경험치도 짭짤하기 때문에 금방 최고 레벨에 달하는 데다가 유닛 생산도시에 War College(군사학교)라도 지으면 생산하자마자 베테랑이다.

- Blade Master(검술달인) : 2 레벨마다 명중을 1 포인트(+10 %) 상승시킨다. 최고의 스킬 중 하나. 마스터 오브 매직의 명중은 계산식이 꽤 복잡하긴 하지만 상대방 방어력이 높으면 낮아진다. 더욱이 명중수치는 유닛이던지 영웅이던지 잘 오르지 않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이 스킬을 달고 나오는 영웅(슈리 라던가)은 상당히 대우가 좋다.

- Caster(시전자) : 전투시 마술사의 마나를 사용하지 않고 영웅의 MP만큼 주문을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이 능력을 가진 영웅이 마법의 요새(수도)에 있는 경우 영웅의 마법 능력의 절반이 일시적으로 마술사의 skill에 추가된다. 기본적으로 마법영웅은 이것을 달고 나오고 꽤 많은 전가계 영웅이 이 능력을 달고 나온다. 그냥 있으면 소소하게 도움이 되는 정도.

- Charmed : 저항 판정이 항상 성공한다. 일부 마법과 특수능력이 저항판정을 하기 때문에 있으면 도움은 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영웅의 저항력이 높은 수준이므로 없어도 큰 불편은 없다. Death Gaze 나 Doom Gaze 쓰는 유닛이 드물기도 하고.

- Constitution(체격) : 1 레벨당 HP가 1 포인트 상승한다. 꽤 좋은스킬. 마법영웅이나 원거리 영웅은 집중사를 잘 당하고 근거리 유닛은 당연히 HP가 높을수록 좋으므로 있으면 좋다.

- Inherent Spell Knowledge(주문 지식) : 대부분의 영웅은 마법사가 이미 가지고 있는 주문만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일부 영웅은 고유의 마법을 가지고 나오기 때문에 어떤 주문을 가지고 오느냐에 따라 상당히 좋은 영웅(프레임 스크라이크를 들고오는 말레우스 라던가) 취급을 받는다.

- Leadership(지도력) : 1 레벨당 전장에있는 모든 아군 부대의 Melee(근접 공격력)를 1 포인트 상승시킨다. 단 환상 생물은 무효이며 이 능력을 여럿이 갖고 있어도 가장 높은 보너스만 적용된다. 대규모 전투시 아주 좋은 능력. 상대방 주력과 우리 주력이 맞붙었을 시 이 능력이 있는 영웅이 부대에 있으면 좋다.

- Legendary(전설적인) : 3 레벨당 마술사의 명성이 1 % 포인트 상승한다. 명성이 높으면 군대 유지비가 줄며 엔딩시 점수에

가산되기 때문에 있으면 도움이 되는 능력.

- Might(괴력) : 1 레벨당 Melee (근접 공격력)를 1 포인트 씩 상승시킨다. 근접영웅에게 이 능력이 있으면 공격력이 상당히 뻥튀기 되기 때문에 좋은 능력이다.

- Noble(귀족) : 유지비가 들지 않는 데다가 고용비가 무료에 턴마다 10 골드를 마술사에게 제공한다. 초반에 이 능력을 가진 영웅이 나오면 재정적으로 상당히 도움이 되지만.... 좀 지나면 턴당 10골드는 새발의 피다. 이 때문에 주력 영웅이나 챔피언이 랜덤능력으로 이것을 들고 나오면 상당이 가슴아프다.

- Prayermaster : 1 레벨당 전장에있는 모든 아군의 저항을 1 포인트 (10 %) 상승시킨다. 단 기도 또는 전체 저항 강화는 최고치 보너스 만 적용된다. 상대방에 마법사나 성직자가 많아 원거리 마법공격을 많이 할 경우 도움이 된다. 지도력과 마찬가지로 대규모 전투에 좋다.

- Sage(현자) : 마술사의 주문 연구력을 1 레벨당 3 포인트 상승시킨다. Sage 레벨이 3 이라도 건물로 올리는 주문 연구력에 한참 못미친다. 하지만 극초반엔 도움이 된다.

4 명성 0 영웅

명성이 0인 게임 시작부터 (골드만 있다면) 얻을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싸구려 영웅이다. 그만큼 능력도 시원찮지만 활용 방법에 따라 최후반까지도 충분히 활약하는 유용한 영웅도 많다.
이 등급의 모든 영웅은 고용비 100골드, 유지비 2골드이다.

  • 난쟁이 브락스 (Brax the Dwarf)

건강과 산타기 특기를 가진 근접캐. HP가 높다는 것 말고는 장점이 하나도 없는데다가 (샌드백?), 산타기 능력은 산에서는 이동력 1로 이동할 수 있지만 평지에서는 오히려 이동력을 더 소모하는 민폐 능력이다. 단, 엘프 등의 숲 이동 능력과 합쳐지면 길찾기 능력이 되는 숨은 기능이 있어 종족을 엘프로 골랐거나 자연 계열 마법사들에게는 도움이 될지도... 는 개뿔. 그래 봐야 민폐 할아범이다!

영웅등급 / 공격력 / 방어력 / 저항력 / 생명력 / 투힛(명중률, 게임상에서는 표시안되는 3의 명중률이 기본적으로 포함)

히어로 / 5 / 4 / 10 / 10 / 3
데미갓 / 13 / 8 / 18 / 27 / 6

스킬 : 산타기 / 영웅전용스킬 : 건강 /랜덤스킬 : 없음

  • 야만인 군터 (Gunther the Barbarian)

평범한 근접캐로 보이지만, 괴력 + 던지기라는 알짜배기 특기를 가진 개념캐. 괴력은 근접 공격력을 올려주기 때문에 근캐에게는 매우 유용한 특기고, 던지기는 일반 전투 전에 선공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사실상 2번 공격하는 셈이며, 비행 유닛을 공격할 수 있기 때문에 비행 유닛 상대로도 멍청한 과녁이 되지 않고 적극적으로 전투의 주도권을 쥘 수 있다. 게다가 도끼 한정이지만 템빨로 성능을 올릴 수 있는 몇 안 되는 특기 중 하나여서, 강려크한 도끼만 쥐어주면 게임 최후반까지도 여느 챔피언 못지 않게 펄펄 난다. 중저급 영웅 중에서 이런 개념 특기를 가진 근접캐는 군터 하나 뿐이다.

영웅등급 / 공격력 / 방어력 / 저항력 / 생명력 / 투힛 / 던지기(교전 전에 해당수치만큼 따로 공격한 후 일반공격 진행, 공중유닛 공격 가능)

히어로 / 5 / 3 / 6 / 9 / 3 / 3
데미갓 /22 / 7 /14 /17 / 6 /11

스킬 : 없음 / 영웅전용스킬 : 괴력 /랜덤스킬 : 없음

  • 현자 잘드론 (Zaldron the Sage)

스펙만 보면 평범한 법사 캐지만 현자 특기를 가지고 있어 초반 마법 연구에 큰 도움이 되고 마법 방해 (Counter Magic) 마법을 가지고 있어서 특히나 방어용으로 쓸만하다. 같은 대륙에 호전적인 적이 있어서 초반부터 방어를 계속하며 최대한 마나를 아끼고 힘을 비축해야 할 때 특히 진가를 발휘한다.

영웅등급 / 공격력 / 방어력 / 저항력 / 생명력 / 투힛 / 마법공격력(공격력이 방어력에 대응하듯 저항력에 대응해 피해를 입힘) / 마나 (영웅이 플에이어 마법사완 따로 마법을 쓸 수 있음)

히어로 / 5 / 3 / 6 / 9 / 3 / 6 / 7
데미갓 / 9 / 8 /14 /13 / 6 /14 / 67

스킬 : 없음 / 영웅전용스킬 : 현자, 시전자 / 랜덤스킬 : 없음 / 보유주문(플에이어가 해당마법이 없어도 영웅이 따로 사용할 수 있음) : 카운터매직, 디스펠매직 트루

  • 수도사 비샨 (B'Shan the Dervish)

귀족 특기를 가져서 매 턴마다 10골드씩 꼬박꼬박 기부해주는데다가 전체 영웅 중 넷 밖에 안 되는 활 사용자라서 무척 귀중... 할 것 같으나, 정작 그 활이 위력이 너무 약해 거의 쓸모가 없다는 게 문제. 활 등 원딜은 턴 당 2번 공격 가능한 근캐와 달리 공격이 1번밖에 안 되는데, 그나마도 페널티가 없는 마법에 비해 활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명중 페널티가 심해져 원딜로서의 효과가 거의 없다. 이를 해결하려면 렙업을 통해서 명중 보너스를 많이 얻거나 좋은 무기를 얻어야 하는데, 활은 자주 나오는 아이템이 아니고 어차피 렙업하면 명중 올라가는 건 다른 근캐나 법사들도 마찬가지라 상대적으로 약한 건 벗어날 수가 없다.
보통은 게임 초반에 골드를 갖다 바치는 호구 이외에 아무 것도 아니지만 (네놈은 그저 하루하루 금만 싸는 기계일 뿐이지), 궁수 캐릭이 워낙 적은 게임이기 때문에 명중 +3짜리 활을 얻거나 하면 유용하게 쓸 수는 있다.

  • 야수사 라키르 (Rakir the Beastmaster)

야수라라는 이름과 달리 야수를 소환하거나 테이밍하거나 그런 거 없다. 숲 이동과 정찰 거리 3을 가진 정찰 캐로, 근캐인데 마법 주문도 쓸 수 있는 이도 저도 아닌 하이브리드형. 정찰 범위가 우월하고 주문을 쓸 수 있는데 근캐라 방어력이 센 편이니 초반에 빠른 정찰 후 같은 대륙의 적과 소모전 양상으로 갔을 때 거점 방어용으로 박아놓으면 쓸만은 하다. 하지만 순수 방어용으로는 아무래도 잘드론의 하위 호환에 가까운 캐릭터

  • 음유시인 발라나 (Valana the Bard)

이름대로 발랄한? 음유시인. 라키르와 비슷하게 근캐에 마법 주문을 쓸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이지만 직접 공격력이 좀 낮다. (여캐라 그런가...) 대신 지휘력 특기가 있고 혼란과 현기증 마법을 가지고 있어 일반 유닛을 이끌고 다수 대 다수로 전투하는데 특화되어 있다. 쉽게 말해 현장 지휘관. 라키르나 잘드론이 방어에 특화된데 비해 공방 어느쪽으로든 무난하게 쓸 수 있기에, 소모전에서 국면을 전환할 때 유용하다. 다시 말하자면, 잘드론, 라키르, 발라나 모두 환상 유닛을 상대로 하는 던전 공략에는 불리한 캐릭터다.

  • 오크 전사 바그트루 (Bahgtru the Orc Warrior)

전형적인 근접캐로, 공격력이 6으로 동급 근캐보다 하나 더 높다는 것은 장점. 오크 답지 않게 군터와 마찬가지로 던지기 능력을 가지고 있어 가격에 비해서는 상당한 개념 근캐라고 할 수 있다. 그 외에 랜덤 특기를 하나 가지는데, 이게 뭐가 나오냐에 따라 군터 못지 않은 완소캐에서 그냥 강캐 사이를 오간다. 다만 브락스와 마찬가지로 산타기는 장점보다는 단점이 많은 민폐 특기인 게 흠.

  • 치유사 세레나 (Serena the Healer)

원딜 법사인데 아이템 슬롯은 근캐인 하이브리드형이다. 갑옷을 입을 수 있어 원딜답지 않게 빵빵한 방어력을 가지며, 치유 주문까지 있어 치유사로서의 능력을 유감 없이 발휘한다. 일반적으로 원딜 영웅이 적 원딜한테 일점사 당해 쉽게 죽고, 특히 힐러 계열이 최우선 목표라 마구 죽어나가는데 비해, 세레나는 튼실한 방어력으로 적의 원딜을 버티며 아군의 전력을 유지해준다. 일반 전투에서도 충분히 유용하지만, 대미지가 많이 쌓이고 빠른 이동이 필요한 던전 공략조로 편성되었을 때 진가를 발휘하는 0등급 완소 영웅 중 하나.

  • 사냥꾼 슈리 (Shuri the Huntress)

(톰 아저씨의 딸이 아니다!) 몇 안 되는 활 유저 + 검술 달인 특기라는 환상적인 조합에다가 길찾기라는 완소 특기까지 덧붙인 하위 영웅 최애캐. (100골 영웅 최애캐 수준이 아니다! 더 비싼 등급의 어지간한 하위 영웅들보다 훨씬 좋고, 거의 챔피언에 필적한다)
활의 장거리 페널티를 검술 달인의 명중 + 보정이 완벽히 상쇄해줘서, 그냥 괜찮은 활 하나 쥐어주고 충분히 이동력 조금만 올려주면 나중에는 태룡 두 마리 정도는 혼자서 잡을 수 있는 괴물로 성장한다.
강력한 댐딜과 길찾기 특기의 우월한 맵 주파 능력으로 인해, 던전 공략조 편성 1순위에 들어간다. 다만 레벨과 아이템이 안 갖춰진 초반에는 별로 활약도 못하고 생존에 급급해야 하지만 그건 어느 영웅이나 마찬가지니...
게다가 0등급 주제에 이런 핵심 능력만 골라 가진 것으로도 모자라는지, 덤으로 랜덤 특기 하나를 더 받아서 나온다. 그야말로 제작진의 총애를 받은 최애캐. 가격과 나오는 시기를 생각하면 강캐라기보다 사기캐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 도둑 쎄리아 (Theria the Thief)

전형적인 근캐지만 민첩함과 축복 특기를 가져서 방어에 특화되어 있다. 초반엔 별 거 없지만 좀 키워 놓으면 적 마법사의 공격을 한몸에 받아주는 인간 샌드백 역할을 해준다. HP 말고는 별 거 없는 브락스에 비해 물리 공격, 마법 공히 방어력이 높고 대미지를 적게 받는 쎄리아가 더 유리. (하지만 둠 볼트 등 HP를 직접 깎는 마법에는 취약하다)
던전 공략에는 잉여에 가깝고, 적 마법사와의 전쟁 때나 총알받이용으로 쓸모가 있다.

5 명성 5 영웅

고용비 150에 유지비 3인 중저가 영웅... 이지만 사실 명성 0 영웅보다 나은 게 별로 없다.

  • 드루이드 그레이페에러 (Greyfairer the Druid)

라키르에 이은 정찰형 영웅이지만 하이브리드인 라키르와 달리 제대로 원딜 가능하고 거미줄 주문도 쓸 수 있어 활용도는 훨씬 높다.
하지만 원딜 법사가 다 그렇듯이 유리몸인데다가 법사 원딜러들은 워낙 빵빵한 능력자들이 포진하고 있어서..
정찰 유닛인데도 고용에는 명성 5가 필요해 정작 가장 필요한 극초반에는 나오지 않는다는 것도 단점. 명성 5 쌓을 정도면 이미 수도 주변 상황은 거의 파악하고 대충 정리가 된 시점이다.

  • 무승 타키 (Taki the War Monk)

칼질하는 쿠노이치가 아니다! 근육근육한 인남캐 무술가. (물론 이 게임에는 맨손 전용 무기 따위 없기 때문에 실제로는 일반 근캐와 똑같이 검, 철퇴, 도끼 같은 아이템을 쓴다)
민첩성 특기 + 랜덤 특기 1개를 가진 쎄리아의 상위 호환이지만, 걔나 얘나 잉여이긴 마찬가지. 오히려 축복 특기가 없기 때문에 (랜덤으로 나올 수는 있다) 보통은 쎄리아만도 못할 때가 많다. 랜덤 특기가 뭘로 나오냐에 따라 허접과 준수 사이를 왔다갔다 하는 캐릭터.

  • 마법전사 레이윈드 (Reywind the Warrior Mage)

이름 그대로 법사와 전사의 하이브리드형이지만, 그 어느쪽도 특출난 편은 못된다. 굳이 장점을 꼽자면 아이템 슬롯이 지팡이 + 갑옷이라는 적절한 조합이라는 것으로, 대부분의 하이브리드 캐가 근캐형 아이템 슬롯이라 방어력은 높지만 근접 무기를 장착해야 해서 실질적으로 원딜이 안 되는 것에 비하면 지팡이로 원딜 + 갑옷으로 방어라는 안정적인 방식으로 효과적인 전투를 벌일 수가 있다. 본격적인 원딜러에 비하면 공격력은 낮지만 높은 생존성이 그만한 가치는 충분히 해준다. 랜덤 특기에서 비전 마력이라도 달고 나오면 공방 모두 우월한 개념 딜러로 변신한다.

  • 마술사 말레우스 (Malleus the Magician)

이상한 특기 같은 거 달지 않고 기본에 충실한 전형적인 법사로, 고급 법사가 되기 위한 필수 특기라고 할 수 있는 비전 마력을 가지고 있어 가격에 비해 성능이 좋다. 발사 무기 면역을 가지고 있어 원딜의 큰 축을 담당하는 활에 대미지를 입지 않는다는 것도 장점. 그러나 법사 특유의 유리몸은 어디 가질 않기 때문에, 마법 원딜에는 여전히 주의해야 한다.

말레우스를 시작으로 발사무기 면역 + 비전 마력이라는 법사 계열 특기를 가진 캐릭터들이 줄줄이 나오게 되지만, 일단 콤보를 가지게 되면 성능은 다 거기서 거기이므로 상위 법사들에 비해 딱히 꿀리는 점은 없다.

화염 습격이라는 개념 주문을 가지고 있어, 쪽수 많은 일반 유닛을 상대할 때 압도적인 포스를 내뿜는다. 특히 최상급 유닛이 활 계열인데다 쪽수로 승부하는 하플링에게는 최악의 천적으로, 하플링 상대로는 거의 일방적인 학살을 벌일 수 있다.
5등급 영웅 중 완소캐.

  • 암살자 투무 (Tumu the Assassin)

근접캐이면서도 근접 공격력이 3이라는 쓰레기 스탯을 가지고 있다. 독 특기도 던지기나 브레쓰에 비해 하위 호환인 쓰레기 특기. 그나마 검술 달인 능력은 충분히 좋은 특기지만, 충분히 성장해서 이게 효과를 발휘할 때 쯤이면 이미 다른 영웅들도 충분히 강력하기 때문에 굳이 키울 이유가 없다. 타키와 더불어 명성 5 등급의 대표적인 쓰레기.

6 명성 10 영웅

고용비 200, 유지비 4인 영웅들.
여기서부터는 중급 영웅이라고 할 수 있고, 꽤 준수한 능력을 가지고 있어 키울만한 맛이 나는 영웅들이 많아진다. 물론 그 중에도 쓰레기는 있다.

  • 풍술사 자에르 (Jaer the Wind Mage)

중급 법사 답게 발사무기 면역을 달고 있으나 공격력은 그저 그런 법사. 랜덤 특기에서 비전 마력이라도 나오지 않는 한 평범 이하의 법사에 불과하나... 그의 진가는 전투에 있지 않다.
게임 전체에서 오직 그 밖에 가지지 않은 바람 걷기 특기로 최대 8유닛까지 데리고 하늘을 날아서 이동할 수 있다는 것. (청마법으로 달아줄 수 있긴 하지만 바람 걷기 마법 자체가 게임에 나오는 경우가 드물다) 이동력 버프 아이템을 두 개 정도 달아주면 매 턴마다 8~9칸을 날아서 병력을 수송하게 된다. 그야말로 인간 셔틀로, 특히 대륙 간 전쟁을 한다던가 할 때 매우 유용하다.
전쟁을 하지 않더라도 맵 각지에 널린 던전 사이를 빠르게 이동하는 던전 공략조 셔틀 겸 참여자로 활용할 수 있다.

  • 레인저 마커스 (Marcus the Ranger)

활 캐릭터 주제에 근캐 못지 않은 괴력 특기에, 마법 주문, 정찰 2칸, 길찾기 특기까지 온갖 능력을 가진 슈리의 상위 호환 캐릭터... 일 줄 알았으나, 사실은 비샨의 상위 호환에 불과한 캐릭터. 활 캐릭터로서의 가치는 슈리에 훨씬 못 미치는데, 벼라별 능력을 다 가지고도 정작 가장 필요한 검술 달인 특기가 없는 것이 뼈아픈 차이를 가져온다. 그래도 잡다한 능력을 많이 가진 덕에 어디 갖다놔도 제 밥벌이는 하고 (근캐 + 마법 주문 + 활 원딜. 하이브리드도 이런 하이브리드가 없다), 활 캐릭터가 워낙 드물기 때문에 비샨과 달리 나오면 버림은 받지 않는다.

  • 용인족 팡 (Fang the Draconian)

괴력에 브레쓰를 갖춘 그저 무난한 근캐인 듯 싶으나, 그의 장점은 비행3이라는 이동력에 있다. 남들보다 한 칸 먼저 가서 적 원딜러들을 빠르게 격파할 수 있고 (이동력 아이템 최대 장착 시 이동력이 11로, 전투 첫 턴에 바로 적진으로 달려가서 2번 공격할 수 있는 유일한 유닛이다) 빠른 비행 능력은 비행 유닛이 많은 던전 격파나 원딜러들이 많이 나오는 일반 전투 어디에서나 유용하며, 거기에 랜덤 특기 2개가 더 붙어서 웬만큼 운이 없지 않는 이상 강캐 이상의 근접캐가 되어 준다. 랜덤 특기 조합에 따라 평캐 ~ 사기캐 사이를 오가는 준수한 영웅. (랜덤에서 행운 + 민첩함이 나올 경우 공방 최강인 거의 완전체가 되어 버린다) 군터나 바그트루와 달리 용인류 종특인 브레쓰는 무기 공격력 버프를 받지 못한다는 게 단점 아닌 단점.

  • 마녀 모르가나 (Morgana the Witch)

발사무기 면역과 축복을 가진 평범한 법사로, 랜덤 특기가 뭘로 나오냐에 따라 강캐와 허접 사이를 오가지만, 일반적으로 비전 마력을 기본 장착하고 화염 습격 주문을 가진 말레우스에 비해 허접한 경우가 많다.

  • 황금의 아우레우스 (Aureus the Golden One)

(생긴 게 딱 불상이다... 등신불?)
근접 공격력과 마법 원딜 공격력이 같은 하이브리드 캐릭터.
일반적으로 마법 원딜에 근접 방어력이 붙으면 생존력 있는 법사가 되어 강캐 반열로 올라서나, 아우레우스는 이도저도 아닌 어중간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유는 무기 슬롯이 지팡이가 아닌 칼이라는 것. 원딜 공격력을 올릴 수가 없으니 원딜로러서는 허접을 벗어날 수가 없다. 심지어 지팡이를 쥘 수 있는 레이윈드만도 못하다. 그렇다고 근접에 무슨 대단한 특기가 있는 것도 아니고... (비슷하게 무기가 칼인 원딜 세레나는 그나마 치유사라는 정체성이라도 있다)
랜덤 특기 2개가 있다는 게 그나마 위안이고, 거기서 비전 마력 특기라도 나오면 생존 법사로 꽤 활약할 수는 있다.

7 명성 20 영웅

여기서부터는 상급 영웅에 들어가며, 중하급에 비해 확연한 성능 차이를 보여준다. (물론 하위 영웅 중에 상급이라는 뜻이며, 챔피언에 비하면 훨씬 약하다.)

  • 닌자 신 보 (Shin Bo the Ninja)

은신 기술을 궁극으로 익혀서 늘 투명화 상태인데다가 검술 달인 특기를 가져서 적을 빠르게 제압할 수 있다. 이동력 버프 아이템을 줄 경우 한칸 나가서 적을 때리고 한칸 물러서서 (시야에서 사라지므로) 반격을 받지 않는 변태 플레이도 즐길 수 있다. 검술 달인 특기는 후반에 가서야 진가를 발휘하지만, 투명화 덕분에 후반까지 생존해서 그 특기를 충분히 살릴 수 있다는 것이 장점. 그 외에 랜덤 특기를 2개 더 가져서 그냥 근캐로서도 평범 이상은 해준다.
던전 공략에서도 그냥저냥 쓸만하지만, 특히 전쟁이 났을 때 적 진격로에 혼자 박아두면 신 보가 있는 줄도 모르고 걸어들어오는 적들을 줄줄이 암살하며 폭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물론 혼자 적을 처리할 수 있을 정도의 아이템은 박아줘야 하지만, 여차하면 적의 시야에서 사라져 그대로 버티기에 들어갈 수도 있으니..)

  • 건달 스파이더 (Spyder the Rogue)

지휘력과 초 전설, 랜덤 특기 1개를 가지고 있는 근접캐. 전설은 명성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데 이 캐릭터를 고용한 시점에선 이미 명성 20인 상태라서 실질적인 도움은 안 된다. 다만 명성만큼 군대 유지비가 줄어들므로 결국 골드 절약용 캐릭터. 지휘력 덕분에 일반 유닛 사이에 끼워두면 도움은 되지만 그건 극초기에 나오는 발라나도 마찬가지라, 역시 큰 메리트는 없다. 기본 스탯이 좋기 때문에 쓰레기까지는 아니지만 허접캐.

  • 아마존 샬라 (Shalla the Amazon)

샬랄라 공주님... 이 아니고 아마존 여전사 샬라. 괴력에 검술 달인이라는 근캐 최고의 조합에 던지기 특기까지 가지고 있어서, 군터의 완벽한 상위 호환이자 챔피언 못지 않은 최강 근캐로 군림한다. (샬라 나왔다고 군터를 버릴 필요는 없다. 둘 다 좋으니까.) 덤으로 랜덤 특기도 하나 있다. 챔피언 중엔 던지기 능력이 있는 근캐가 없기 때문에, 보기에 따라서는 샬라가 궁극 근캐라고 볼 수도 있다. [2] 게다가 랜덤 픽으로 블레이드 마스터라도 달고 나오면 웬만한 챔피언 근캐들은 다 발라버릴 정도의 위력을 보여 준다.
언제 어느 때든 나오면 환영인 완소캐.

  • 흑법사 이람라그 (Yramrag the Warlock)

발사 무기 면역과 랜덤 특기 하나를 가진 법사. 가지고 있는 주문은 번개 계열에 특화되어 있는데, 이 주문들이 상당히 좋긴 하지만 강력한 법사들의 일반 원딜에 비해서는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비전 마력을 가진 법사들보다 허접할 수 밖에 없다. 쉽게 말해서 한참이나 밑 등급인 말레우스에 비해 하위호환이라는 허접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댐딜 말고도 활용도가 많은 법사 캐릭인데다가 기본 스펙이 있기 때문에 쓰레기까지는 아니지만 비싼 값을 전혀 못하는 허접 캐. 게임 중반부에 둠볼트 하나 보고 쓰는 영웅.

8 챔피언

후반부에 등장하는 최고급 영웅들. 기존 영웅들과 확인히 다른 능력을 보여준다.

  • 성기사 롤랜드 (Roland the Paladin)

출현방법 : 랜덤 고용 / 챔피언 소환 주문.
출현조건 : 40명성, 1이상의 생명계열 스펠북.
등용비 : 500골드
유지비 : 10골드
슈퍼 마이트+아머피어싱+선제공격이라는 어마어마한 특성을 갖고 있다.
이미 챔피언 등급에서 공격력 20을 찍으며, 아이템 조금만 맞춰 주면 30정도는 우습게 넘긴다.
덤으로 프레이어마스터를 달고 있어, 마법저항력도 은근하다.
부수적으로 레전더리, 깨알같이 힐러 특성도 갖고 있으며, 여기에다 도대체 뭐가 모자랐는지 랜덤 특성도 하나 준다.
죽음 계열의 흑기사와 더불어 양대 사기캐릭.하지만 생명계엔 추가로 토린이 있잖아?

  • 여사제 엘라나 (Elana the Priestess)

출현방법 : 랜덤 고용 / 챔피언 소환 주문.
출현조건 : 40명성, 1이상의 생명계열 스펠북.
등용비 : 500골드
유지비 : 10골드
아케인 파워, 참과 함께 무려 슈퍼 프레이어마스터와 노블를 고정으로 달고 나오는 무시무시한 언니.
사실상 디버프나 저항력 체크가 발생하는 특성에 면역이며, 힐러 특성과 깨알같은 정화능력은 덤.
주변 아군 유닛의 저항력을 엄청나게 올려 주므로, 방어력 높은 유닛들 데려다 놓고 우주방어 하기 딱 좋다.

  • 흑기사 모르투 (Mortu the Black Knight)

출현방법 : 랜덤 고용 / 챔피언 소환 주문.
출현조건 : 40명성, 1이상의 죽음계열 스펠북.
등용비 : 500골드
유지비 : 10골드
괴력, 강인함, 방어관통, 선제공격, 매직이뮨, 블레이드마스터가 고정이다. 차고 넘치는 능력에 레전더리는 덤.
그야말로 말이 필요없는 근접 최강 사기캐.

  • 강령술사 라바샤크 (Ravashack the Necromancer)

출현방법 : 랜덤 고용 / 챔피언 소환 주문.
출현조건 : 40명성, 1이상의 죽음계열 스펠북.
등용비 : 500골드
유지비 : 10골드
발사무기 이뮨과 라이프스틸을 가지고 나온다. 여기에 아케인 파워를 고정으로 들고 나온다는 것이 장점.
라이프스틸은 원거리 공격에도 적용되기에 썩 나쁘진 않다.
다만 맷집이 매우 좋지 않은 데다, 애초에 적이 붙을 상황이 그다지 많지도 않다.
극후반에 세팅을 잘 해줘도 천룡이 한 방에 안 녹는다. 반대로 천룡은 라바샤크를 한 입에 삼킨다(...)
이래저래 계륵같은 특성.

  • 기사 해롤드 경 (Sir Harold the Knight)

출현방법 : 랜덤 고용 / 챔피언 소환 주문.
출현조건 : 40명성.
등용비 : 500골드
유지비 : 10골드
강인함과 노블, 슈퍼 레전더리를 달고 있으며, 그나마 봐줄만한 건 슈퍼 리더쉽 하나. 그나마도 영웅을 다 키워 놔야 써 먹을 수 있을 정도.
다만 이 영웅의 등급과 채용시기를 고려할 때, 전부 쓸모없는 특성이라는 점이...

  • 검사 데스 스트라이크 (Deth Stryke the Swordman)[3]

출현방법 : 랜덤 고용 / 챔피언 소환 주문.
출현조건 : 40명성.
등용비 : 500골드
유지비 : 10골드
해롤드 경의 하위호환. 강인함과 레전더리와 리더쉽(그나마도 슈퍼가 아니라 노말)을 탑재.
그나마 다행인건 괴력 특성이 있다는 것 정도. 추가로 암즈마스터쓰레기와 랜덤 특기 하나를 달고 나온다.

  • 엘프 궁수 앨로라 (Alorra the Elven Archer)

출현방법 : 랜덤 고용 / 챔피언 소환 주문
출현조건 : 40명성
등용비 ; 500골드
유지비 : 10골드
앨로라는 원거리와 근거리가 모두 가능합니다만, Blademaster 스킬 때문에 원거리를 추천합니다.
길찾기 스킬이 있으므로, 던전 탐험에 적합합니다.는 패스파인딩이 아닌 포레스터. 만약 패스파인딩이 나왔다면 랜덤특기.
또한 왠지 모르겠지만 전투 주문으로 플라이트를 갖고 있다. 그야말로 뜬금포.

  • 혼돈의 전사 워랙스 (Warrax the Chaos Warrior)

출현방법 : 랜덤 고용 / 챔피언 소환 주문.
출현조건 : 40명성
등용비 : 500골드
유지비 : 10골드
게임내 최고의 원거리 딜러중 하나. 아케인 파워와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기본적으로 원거리 마법공격이 강력하다. 게다가 갑옷뚫기 능력이 있어서 원거리 마법 공격을 함에도 불구하고 마법 면역 유닛들도 잡기 어렵지 않다. 또한 체력 능력이 있고 갑옷(방패) 착용이 가능해서 맷집도 상당하다. 활을 제외한 모든 무기를 사용할 수 있어 플레이어의 마음대로 원거리 공격수 또는 근접 전사로 활용할 수 있다. 3개의 랜덤픽이 주어지는데 블레이드 마스터라도 뜨게 되면 무쌍난무가 가능해진다.(없어도 가능하다;;)

  • 환상술사 에어리 (Aerie the Illusionist)

출현방법 : 랜덤 고용 / 챔피언 소환 주문.
출현조건 : 40명성
등용비 : 500골드
유지비 : 10골드
영웅 중에 유일하게 환상 공격 능력을 가지고 있다. 환상 공격은 환상 면역이 없는 적의 방어력을 무시하고 공격한다. 그러므로 환상 면역이 없는 적에게는 매우 강한 공격을 한다. (이미 방어력이 0인 팬텀 워리어나 팬텀 비스트에게는 무쓸모...). 하지만 랜덤 픽에서 아케인 파워가 나오지 않았다면 주력 딜러로 쓰기엔 딜이 모자라서 잘 쓰게 되지 않는다. 슈퍼 아케인 파워가 나온다면 키워서 써먹자.

  • 신의 화신 토린 (Torin)

출현방법 : 소환마법 (생명계 Incamation 마법으로만 소환 가능)
출현조건 : 생명계열 마법 중 Incamation 마법 개발
등용비 : 공짜(소환 마법 마나)
유지비 : 12 마나(골드 대신 마나만 소요)
전용 소환 마법으로만 고용할 수 있는 최강의 영웅
근접 특기도 일반적인 might 가 아닌 super might 를 가지고 있어, 레벨업 당 공격력이 1.5배 증가
랜덤특기 2개가 어떤 것이 나오던 근접 유닛 중에는 최강유닛

  • 미지의 미스틱 X (Mystic-X the Unknown)

출현방법 : 랜덤 고용 / 챔피언 소환 주문.
출현조건 : 20명성
등용비 : 300골드
유지비 : 6골드
20명성 영웅임에도 분류는 챔피언으로 되어 있다.
이 영웅의 재밌는 점은 5가지의 랜덤 특기를 달고 나온다는 것.
기본 저항력이 높은 편이며, 하이브리드 무기슬롯과 방패/갑옷 슬롯을 갖고 있다.

로또영웅
  1. 단, 자연계 전투마법 중 하나인 '갈라짐'(Cracks Call)에 의해 사망한 영웅의 아이템은 해당 전투에서 승리하게 되더라도 되찾을 수 없다.
  2. 물론 스팩이나 특기의 수 등에서는 챔피언들이 더 낫지만... 챔피언 근캐들은 비행 유닛을 공격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3. 오타가 아니라 실제 인게임에서 이렇게 적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