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해율

1 정의

문자를 읽을 수 있는 사람(성인)의 비율인 문맹률과 달리 '문장을 정확히 해독'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의 비율을 뜻한다. 쉽게 말해 말귀를 알아먹는 사람의 정도.

2 개요

문해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은 책을 읽거나 대화 중에 인지한 문장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장애가 있으며 역으로 상대방 역시 대화가 성립되지 않기에 기분이 나빠지게 된다.

또한 문해력은 문장의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는 것과는 조금 다르게 아예 문장의 구조나 단어의 연결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내가 오른손엔 가방을 왼손엔 지갑을 들고 인도를 걷는다."" 라는 문장을 읽는 순간 자신이 양손에 짐을 들고 인도를 걷는 모습을 상상하고 이해하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실상 문자를 읽을 수 있어도 문해력이 떨어지는 경우 문맹인 것과 마찬가지이기에 문해율을 실질적 문맹율 이라 부르기도 한다.

[1]
문해력에 대해 자세히 쓰여있는 사이트

3 세계의 문해율

전세계의 문해율을 색으로 나태낸 지도.


이외는 추가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