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초

  • 일본의 불량배인 반쵸를 찾으셨나요?

班超
0023ae9bcf230f6e91f314.jpg
cd4d163e01d97f5d74563cd6465c0483.JPG
둔황에 있는 반초의 기마상

후한대에 서역을 무대로 활약한 무장. '한서'의 저자인 반고의 동생이다. 생몰연도는 32~102년. 자는 중승(仲升).

1 초창기

영평 5년(62년), 반초의 형 반고가 교서랑(校書郞)으로 임용되어 낙양으로 갈 때, 어머니를 모시고 형을 따라서 낙양으로 갔다. 반초는 어려운 집안 형편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말직 문관이 되어 관아에서 문서를 베껴 쓰는 일로 힙겹게 살아갔다.그러다 전한대에 한에게 제압돼 있던 흉노가 한의 혼란을 틈타 세력을 확장하자, 문관에서 무관으로 전직을 결심하고 "대장부로서 지략이 없다면 마땅히 부개자(傅介子)와 장건(張騫)을 본받아 이역(異域)에서 공을 세워 봉후(封侯)의 자리를 얻어야지 어찌 붓과 벼루 사이에서 오래 지낼 수 있겠는가!"라고 외치며 서역 파견근무를 자원한다. 여기서 나온 고사성어가 '붓을 던지고 무인이 되다.'는 뜻의 '투필종융'(投筆從戎). 사람들은 뜻밖의 호언장담을 듣고 처음에는 괜히 해보는 말에 불과하다고 여기면서 비웃었다. 그러나 그는 비웃는 사람들을 향해서 "소인배가 어찌 대장부의 뜻을 알겠는가!"라는 말로 넘겨버렸다.

2 전성기

500px-Hanbanchaochushixiyukoko.gif
<반초의 서역 이동경로>
영평 16년(73년), 봉거도위(奉車都尉) 두고(杜固)가 북쪽의 텐산(天山)에서 흉노를 격퇴하였다. 반초는 가사마(假司馬)로 두고와 동행하였다가 전공을 세우고 신임을 얻어 종사(從事) 곽순(郭恂)과 함께 서역의 사자로 파견되었다.

2.1 선선국 평정

반초가 선선국(鄯善國)에 도착했을 때 국왕 광(廣)은 예의를 갖추고 잘 대해주었지만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냉담하게 대하였다. 반초는 수하에게 물었으나 답을 찾을 수 없었다. 흉노의 사자가 선선국에 와서 국왕이 누구에게 의탁할지 망설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한 반초는 사실을 다 아는 척하며 시중드는 사람에게 호통을 쳤다. 당황한 시종은 사실을 전부 말해버리고, 반고는 그날 밤 같이 온 36명을 모아놓고 술을 마시다가 적당히 취하자 사람들을 말로 고무시켰다.

"여러분이 이곳 타향까지 나와 함께 온 것은 큰 공을 세워 부귀영화를 얻기 위함일 것이오. 지금 흉노의 사자가 도착한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선선국왕은 우리를 본체만체하고 있소. 만약 저들이 우리를 흉노에게 선물로 내준다면 죽어서도 뼈조차 묻을 수 없을 것이오."

그러자 술기운이 올라온 수행원들이 분노를 하면서 반초를 따르겠다고 했다. 그러자 반초는 즉시 명령했다. "호랑이 굴로 들어가지 않고 어찌 호랑이를 잡겠는냐? 적의 수가 많으니 지금 쓸 수 있는 계책은 화계 뿐이다." 여기서 나온 고사성어가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는 뜻의 '불입호혈, 부득호자'(不入虎穴不得虎子). 반초는 문관인 곽순이 겁이 많으므로 기밀을 누설할 것을 염려하여 그에게만은 비밀로 하였다. 바람이 불고 날이 어두워지자, 반초 일행은 흉노의 사자가 있는 진영에 가서 불을 지른 뒤 소리를 질러 상대를 혼란에 빠뜨렸다. 흉노의 사자는 후한의 병력이 얼마나 되는 줄 모르고 우왕좌왕하다가 모두 주살되었다. 일을 마친 뒤 반초는 내분을 막기 위해 곽순에게 사실대로 말하며 공을 함께 나누고 싶다는 뜻을 은근히 내비치자 곽순은 매우 기뻐했다. 반초는 선선왕에게 흉노 사자의 목을 보여주자, 선선왕은 매우 놀라며 후한에게 귀순했다. 반초는 선선국에서 돌아와 두고에게 상서를 올렸다. 두고는 기뻐하며 반초의 공로를 치하하며 별도로 서역에 사자를 보낼 것을 요청하였다. 그러자 명제가 반초가 있는데 다른 사람으로 바꿀 필요는 없다며 반초를 군사마(軍司馬)로 임명하고 서역에 보냈다.

2.2 우전국 평정

두고는 반초의 수하가 얼마 되지 않아 걱정하며 사람을 더 내주려 했지만 반초가 거절했다. 당시 우전(于闐)왕이 사차국(莏車國)을 격파하자 흉노도 우전국과 결맹을 맺기 위해 사자를 보냈다. 반초가 우전에 도착하였을 때 국왕 광덕(廣德)은 막강한 세력을 믿고 그를 안중에도 두지 않았다. 우전왕은 무당에게 반초가 준마(駿馬)를 가졌다는 얘기를 듣고 말을 내놓으라고 요구하였다. 반초는 그러겠다고 답하고 무당에게 와서 말을 가져가라고 전했다. 그리고 무당의 목을 잘라 광덕에게 보내며 엄하게 질책하였다. 광덕은 반초가 선선국에서 흉노의 사자를 죽인 이야기를 알고있었으므로 직접 만나 반초가 듣던 명성 그대로임을 확인하자, 광덕은 매우 두려워하며 흉노의 사자를 죽이고 후한에 투항하였다.

2.3 소륵국 평정(1)

그때, 흉노를 위시한 귀차국은 소륵국(疏勒國)을 공격하여 귀차 사람 두제(兜題)를 소륵왕으로 삼았다. 반초는 수하 전려(田慮)를 소륵국에 보내 투항을 권유하도록 하였다. 두제는 전려가 몇 사람밖에 데리고 오지 않았으므로 신경을 쓰지 않았다. 그것은 전려가 이미 예상했던 태도였고, 두제를 불시에 인질로 삼았다. 전려의 뒤를 따라온 반초는 소륵국의 관원들을 불러들인 뒤 귀차국의 죄를 열거하며, 전(前) 소륵국의 왕의 조카 충(忠)을 새 왕으로 세웠다. 소륵국의 백성들은 기뻐하며 후한에 귀순하였다. 충과 소륵의 관원들은 두제를 죽이자고 청했지만 반초는 반대하였다. 그는 특별히 두제를 살려줌으로써 한나라의 위엄과 덕을 과시했다.

영평 18년(75년), 명제가 붕어하자 귀차국 등이 그 기회를 틈타 소륵국을 공격했다. 반초와 소륵국 사람들은 미약한 세력이었지만 일심단결하여 1년을 굳게 지켜냈다. 그 결과 소륵국은 후한의 수중에 남을 수 있었다. 장제는 즉위한 뒤 반초가 오래 버티지 못할 것을 염려하여 그에게 조서를 내려 귀국을 명했다. 반초 일행의 거취네 한 나라의 생존이 달려있었으므로, 그들이 떠나려하자 소륵국은 두려움에 휩싸였다.. 그러자 도위 여엄(黎揜)이 간청했다.

"한나라 사신이 떠난다면 우리는 귀차국에 함락당할 것입니다. 그러니 한나라 사자가 떠나게 내버려둘 수 없습니다."

그리고는 칼을 들어 자신의 목을 베었다. 우전국에 도착했을 때 또 사람들이 반초를 붙잡았다. 그가 탄 말의 머리를 붙잡고 가지 말라고 애원했다. 반초는 귀국하는 것이 쉽지 않았고, 자신의 원대한 뜻이 다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으므로 남기로 결정하고 소륵국으로 돌아갔다. 그가 돌아갔을 때는 이미 귀차국의 속국이 되어있었다. 결국엔 한 차례의 전쟁끝에 반초는 6백명을 죽이고 소륵국을 되찾았다.

2.4 이읍의 모략

건초 3년(78년), 반초는 그 유명한 이이제이(以夷制夷) 정책을 썼다. 그는 소륵국, 우전국 등지에서 병사를 징발해 고묵국(姑墨國) 석성(石城)을 공격하여 승리하였다. 2년 뒤, 반초는 장제에게 서역의 나라를 평정하자는 요청을 하자, 장제는 그의 청을 받아들이고 1천 명이 넘는 사형수들을 지원병으로 보냈다. 당시 사차국은 한나라가 출병하지 않을 것이라고 여겨 흉노에게 붙은 상태였고, 이어서 소륵국의 일부 지역에서도 반란이 일어났다. 후한 지원군의 도움을 받은 반초는 소륵국의 반란을 평정하였다. 그 후 그는 귀차국을 공격할 예정이었다. 반초는 장제에게 오손국(烏孫國)이 강대하여 함락하기 힘드니, 사자에게 조서를 보내 오손국과 관계를 회복한 뒤에 같이 협력하여 귀차국을 공격하자는 제안을 하도록 청하였다.

건초 8년(83년), 장제는 반초의 의견을 받아들이고 위후(衛侯) 이읍(李邑)에게 사자를 호송하라고 명하였다. 이읍이 우전국에 도착하였을 때 마침 귀차국이 소륵국을 공격하고 있었다. 이에 놀라 더이상 전진할 수 없었던 이읍은, 장제에게 상서를 올려 '서역을 평정하는 일은 지나치게 야심찬 일이라 성공하기 어렵고, 반초도 이곳에서 처자식과 지내는 재미에 빠져서 한나라는 잊어버렸다.'고 모략하였다. 반초는 그 사실을 알고 처자식을 한나라로 돌려보내 자신의 뜻을 분명히 밝혔다. 그러자 장제는 반초를 믿고 이읍을 질책하면서 계속 길을 재촉해서 반초의 처분을 기다리라고 명했다. 반초는 이읍을 용서해주고 오손의 인질을 수도까지 호송하라고 명했다.

2.5 소륵국 평정(2)

원화 원년(84년), 반초는 소륵국의 병사를 일으켜 사차국을 공격하였다. 그런데 소륵왕 충이 사차국으로부터 몰래 뇌물을 받고 후한을 배신하고 서쪽의 오즉성(烏卽城)을 지켰다. 반초는 사차국 공격을 멈추고 소륵국을 공격했지만 강거국(康居國)이 정예병으로 지원군을 보내는 바람에 반년이 지나도록 함락할 수 없었다. 반초는 강거국이 월지국(月氏國)과 통혼한 사실을 알고 적들이 썼던 방법을 모방해 발원본색에 나섰다. 월지국 왕에게 보내 후한 선물을 건네며 강거국 왕이 철병하도록 설득해 달라고 부탁했다. 강거국이 철병하자 오즉성은 바로 함락되었다.

장화 2년(88년), 소륵왕 충이 귀차 사람과 모의하여 반초에게 거짓 투항서를 보내왔다. 반초는 숨은 계략을 알아차리고 그것을 받아들였다. 충은 뜻밖의 승낙에 기뻐하며 경기병을 데리고 반초에게 갔다. 반초는 병사를 매복시킨 뒤 주연을 베풀면서 충을 죽인 뒤, 그 사이에 출병하여 남은 잔당을 격파하였다. 이로써 관내(關內)에서 서역으로 통하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2.6 월지국 평정

소륵국을 완전히 평정한 뒤에 반초는 2만 5천여명의 군사를 동원하여 사차국을 공격했고, 귀차국은 5만 군사를 지원하였다. 반초는 일부러 허장성세를 부리며 가짜 군사정보를 누설하며 포로들을 도망치도록 놓아주었다가, 허를 찌르는 공격을 펼쳐 적군을 대파하였다. 결국 사차국은 후한에 투항하였다. 전에 반초를 도와 싸움에서 공로를 세웠던 월지국은 전한시대 공주 유세군(劉細君)을 오손국으로 시집보낸 이야기를 떠올리며, 반초에게 후한의 공주를 달라고 청하였다가 거절당했다. 월지국왕은 수치스럽고 분하여 7만 군사를 일으켜 반초를 공격해왔다. 당시 병력이 부족했던 반초는 매우 놀랐지만 곧 안정을 되찾고 침착하게 대처하면서 말했다.

"월지국의 병력이 많기는 하나 먼 길을 오느라 피로에 지치고 군량도 부족할 터이니 그리 걱정할 필요가 없다. 우리가 진영을 굳게 지키기만 한다면 열흘도 되지 않아 적국은 굴복할 것이다."

과연 월지국은 매우 고생을 하면서도 별다른 성과도 없었다. 반초는 월지국이 식량이 다하면 귀차국에 도움을 청할 것이라 예상하고 그들이 반드시 지나야 하는 길목에 병사를 매복시켜두었다. 귀차국에 식량을 요청하러 가던 월지국 병사들은 후한군에게 습격당했고, 그들의 수급을 월지국 진영에 보냈다. 월지국은 매우 놀랐고 반초는 그 기세를 타 월지국의 군대를 무찌르고 월지국을 아예 평정해버린다.

2.7 귀차국 평정

영원 3년(91년), 그 흉노의 가장 가까운 친구인 귀차국도 반초에게 평정되었다. 서역에서는 이제 언기(焉耆, 카라샤르), 위수(危須), 위리(尉犁)만이 평정되지 않은채 남아있었다. 서역을 평정한 공으로 반초는 서역도호로 봉해졌다.

2.8 언기, 위리, 위수 평정

영원 6년(94년), 반초는 귀차국 등에서 징집한 7만여 군사를 동원해 언기 토벌에 나섰다. 공격에 앞서 사자를 통해 항복하라는 조서를 보냈다. 언기왕이 사자를 보내왔을 때, 누군가가 반초에게 사자를 없애버리자는 제안을 했다. 반초는 사자를 죽이면 상대방이 의심하고 거욱 경계할 것이라고 여기고 사자에게 상을 내리고 돌려보냈다.
언기왕은 더 이상 의심하지 않고 직접 나와 반초를 맞이하는 척한 후, 요해지의 갈대라리를 불살라가며 한나라 군대가 언기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는 뒷통수를 쳤다. 상대방이 길을 태워버리자 반초는 양동작전을 썼다. 급히 군사를 지름길로 보내 언기성에서 20여리 떨어진 곳에 주둔하여 위협하라고 명했다. 언기왕은 매우 놀라 사람들을 이끌고 산으로 깊이 들어가 완강히 대항하고자 했으나, 그의 수하가 반초에게 와서 그 사실을 누설했다. 반초는 오히려 그 자를 없애버리고 언기왕의 신임을 얻은 뒤 황제가 후한 상을 내렸다며 와서 상을 받으라고 세 나라 왕을 불러모았다.
언기왕과 위리왕은 약속대로 왔지만 위수왕은 아예 오지를 않았다. 그리고 위리왕 국상(國相)은 심상치 않은 기미를 눈치채고 몰래 도망쳐버렸다. 반초는 그들을 없앨 명분이 없어 고민하고 있던 중에, 그를 핑계로 환영 연회에 온 자들을 모조리 없애버린 뒤, 세 나라를 파죽지세로 공격하여 평정하였다.
그 후 짧은 기간 동안 명목상이긴 하지만 서역 50여 개국이 후한 조정에 귀의해왔다.

3 노년기

영원 7년(95년), 화제는 반초가 서역을 평정한 공을 높이 평가하여 그를 정원후(定遠侯)로 봉했다.

영원 12년(100년), 칠순에 가까운 반초는 오랫동안 타향에 머물다보니 고향 생각이 간절했다. 그는 황제에게 조정으로 돌아갈 것을 청하는 상서를 올렸다.

不敢望到酒泉 但願生入玉門關 ( 불감망도주천 단원생입옥문관 )

'소무가 오랑캐 땅에서 9년 동안 양을 쳤듯이 신도 서역에서 어래 머물었습니다. 감히 주천[1]을 바라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살아서 옥문관[2]으로 들어가기만을 바랄 뿐입니다.'
e66cf12443e53b681f9b0c8bc6d99791.jpg
<옥문관>

그러나 상서를 올린 지 3년이 지나도록 감감무소식이었다. 여동생 반소는 오빠가 노약하여 타향에 오래 머물기가 힘들다는 사실을 알고 상서를 올려 간청했다. 반소의 비통한 글에 감동한 화제는 반초를 조정으로 불러들였다.

영원 14년(102년), 반초는 30년간 떠나 있던 고향으로 다시 돌아왔다. 낙양으로 돌아와 사성(射聲)교위로 임명되었다.

반초가 조정으로 돌아왔을 때, 그의 뒤를 이을 후임자인 임상(任尙)이 그에게 서역을 안정시키는 방책을 물었다. 반초는 이렇게 대답했다. "자네는 성격이 너무 급하고 엄격한 게 문제다. 원래 '물이 너무 맑으면 큰 물고기는 살지 않는다.'(水淸無大魚)는 말이 있듯이 너무 엄하게 원칙만을 내세우지 말고 대범하게 다스려라."는 내용의 조언을 남긴다. 여기서도 고사성어를 남긴다. 뭔가 특별한 비법을 기대했다가 너무 평범한 조언이라 한 귀로 흘려버린 임상은 한의 방식을 서역에 강요하다가 5년 만에 서역국가들을 이반시켜버렸고, 임상은 결국 그로 인해 치죄를 받으며, 이에 서역도호는 폐지돼 버렸다고 한다.

4 최후

그는 병이 들어있었고, 돌아온지 한 달만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는데 그의 나이 71세 였다.

조정에서는 사자를 보내 조문하며 후한 상을 내렸다.
  1. 당대 서역 경영의 중심지
  2. 실크로드의 관문이자 만리장성의 서쪽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