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레리아 코스타쿠르타

파일:Attachment/발레리아 코스타쿠르타/vale.jpg


왼쪽의 분홍색 머리의 여성.

라이트 노벨 흑강의 마문수복사의 여주인공. 작가의 취향을 감안한 이름의 유래는 아마도 AC밀란의 전설적 선수였던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로 추정.

신성동맹에 12명 밖에 없는 도미너스. 그 중에서 마법대국인 아마드의 도미너스이다. 아마드의 도미너스는 상급 감찰관 역시 겸하기 때문에 발레리아 역시 상급 감찰관을 겸하고 있다. 작중 초반에 직속 문장관이 자기 또래인 디미타르 리히테르나흐라는것이 밝혀지자 동갑의 젊은 남자에게 피부를 드러내야 한다는 것에 큰 스트레스를 받는듯.

상급 감찰관을 겸하는 탁월한 마법사인 아마드의 도미너스치곤 세상물정을 너무 모르고 경험도 적다보니 자기 직속 문장관인 디미타르에게 언제나 말로 쳐발리는게 일상. 사실 디미타르에게 말발로 발리고 열폭하는 발레리아를 보는게 이 작품의 쏠쏠한 재미중 하나다(...)

도미너스라는 직위 자체가 작중의 최고 실력파 마법사들에게 주어지는 칭호인만큼[1] 마법 실력만큼은 걸출한듯. 아마드가 마법대국이라 도미너스 역시 실력행사가 요구되는 위치에 있는 만큼, 순수한 마법실력만 두고 본다면 도미너스 중에서는 상위권이라고 보면 맞을것으로 추측된다. 물론 신임 도미너스라 경험이 부족한것은 확실하지만 그걸 감안해도 작중 내에서 10위권 언저리의 마법사라고 보면 대충 맞을듯하다.[2]

집에서도 딸내미 바보기질을 내뿜는 아버지 덕에 히스테리를 부리는 것이 일상이다.

사실 그동안 등장한 츤데레 히로인과 별 다를건 없지만 작가가 1권 후기부터 폭력형 츤데레 히로인이 깽판치는것을 히로인을 좋아한다면서 다 받아준다는 전개를 싫어한다는 사실을 밝혀서 앞으로도 말로 굴리고 몸도 구를 가능성이 높다. 이미 1권에서 험한꼴 당할뻔도 했고...

남주인공인 문장관 디미타르 리히테르나흐와의 플레그는 초반에는 거의 없다. 오히려 디미타르의 사촌인 루키우스 리히테르나흐에게 푹 빠져있다. 디미타르와 티격태격....을 빙자한 일방적 관광에도 루키우스가 오면 우디르급 테세전환은 기본. 그렇긴 해도 1권부터 관련 플레그는 차곡차곡 쌓이고 있지만, 작가가 '정 관계가 진척 안 되면 다른 사람을 붙이겠다.'라는 말까지 해서 험난한 길이 예상된다.

디미타르의 평에 의하면 '마법실력은 나쁘지 않지만 세상물정을 모르는데다가 눈치도 없다' 라나. 마법실력면에서 거의 발레리아와 거의 비등하지만 머리회전도 빠른 카린 루드베크와 비교할때 발레리아 쪽이 순진한띨빵한 덕분에, 아마드의 국민들을 상대로 '신의 아내' 라는 아이콘으로서 발레리아가 더 적합하다고 한다. 그리고 그 부분이 도미너스로서 발레리아에게 기대되는 부분일 것이라고 한다. 반면 카린의 경우엔 웃는다 할지라도 결국 계산적인 태도가 남다보니 국민들에게 선호되는 측은 발레리아일것이라고... 반면 도미너스로서 활동할때 부족한 실전적인 요소들이나 판단능력은 디미타르 자신이 수행하고 보충해야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것이 오르비에토가 디미타르를 발레리아의 전속 문장관으로 임명한 이유일것이라나... ?

발레리아는 비슷한 나잇대면서 경험도 많고 다재다능한 디미타르의 활약을 보고 자극을 받으면서 실전에서 활약하고 싶어하지만, 디미타르의 태도는 그 정반대에 가깝다. 디미타르는 발레리아가 실전을 수행하다가 손에 피를 묻히는데 익숙해지면 순진무구한 태도를 잃어버리게 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덕분에 발레리아가 아이콘으로서의 도미너스가 되기 위해선 살인과도 같은 과격한 임무들은 디미타르가 대신 수행하는게 맞다고 보는듯... 근데 디미타르가 그리 무리해서까지 발레리아가 나서는것을 막는 성격도 아니고, 계급면에서도 발레리아가 상관이다보니 발레리아는 결국 실전에 참여하게 된다. 그런 과정에서 디미타르에게 자주 구해지면서 미묘한 관계가 성립된다. 일상에서 디미타르가 까칠하게 굴땐 말발로 처참하게 발리는 바람에 열폭하다가도 한번 디미타르가 잘했다고 칭찬하면 앞에선 "흐, 흥!" 하면서 뒤에서 웃음을 참지 못하는 그런 관계. 덕분에 진도가 안 나가진 않는다. 나가는 속도가 늦으니까 엄청 답답하지만.

작중에서 강자들과 만나면 상대방을 죽일 결심이 없기때문에 거의 항상 탈탈 털린다. 마법실력은 빼어나다고 하지만 아마드에서도 10년에 1명 나올까말까하는 인재라는 평이 무색할 정도로 거의 항상 탈탈 털리고 디미타르가 수습하는 격인데, 일단 마법재능 하나만큼은 작중의 도미너스들 중에서도 발군인듯하다.[3]
  1. 신의 아내라는 설정이기 때문에 젊고 아리따운 처녀여야하고, 도미너스의 직위에 있는 동안은 처녀성을 지켜야하기 때문에 오로지 마법실력만으로 뽑는것은 아니다. 다만 그 조건 하에서 도미너스 후보생들끼리 마법실력을 가지고 경쟁시킨뒤에 올라온 멤버가 도미너스의 위치에 오르는 만큼 작중에서 최고에 해당하는 실력파 마법사들이라는 것은 확실하다.
  2. 명확하게 순위가 밝혀진바는 없지만 도미너스 이외의 도미너스급 마법사들이 적지만 있기 때문에 대강 10위 언저리라고 보는게 맞는듯 하다. 당장 리히테르나흐 가문의 3인만 하더라도 모두 도미너스에 못지 않는 마법실력을 지녔다. 특히 마법원장 오르비에토의 경우엔 필두 도미너스인 샤키라 바벨 이상의 마법실력이라고...
  3. 12권에서 디야우스인 메르디에토를 혼자서 상대하겠다고 결심하자 메르디에토가 감탄할정도로 강력한 마법장벽을 한손으로 재빠르게 폈다. 메르디에토는 발레리아가 도미너스라는 사실을 이전부터 숙지하고 있고, 도미너스이상의 마법실력을 지닌 디야우스인데, 그녀를 감탄시킬정도의 마법이란 것은 확실히 굉장한 일이라고 볼수 있다. 발레리아가 경험을 쌓고 마음을 굳게 먹으면 도미너스급의 마법사들 중에서도 마법실력으론 발군이 될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그런 강력한 장벽을 펴면서 몰아붙여놓고도 경험이 부족해서 메르디에토에게 탈탈 털렸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