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랑자

1 개요

Tramp, Vegabond. 정처없이 떠돌아다니는 사람.
원형으로 따지면 지나가던 스님 등 기원을 알 수 없을 정도로 오래된 개념이지만, 주로 서구의 19세기 부터 일종의 문학적 속성으로 크게 부각되었다고 할 수 있다.

2 문학적 속성

각종 서브컬처 등에서 방랑자라는 설정은 꽤 편리하기 때문에 많이 쓰인다. 우선 정처없이 떠돌아다닌 다는 점에서 탈속적이고 욕심이 없어 보인다는 점도 있고, 보통 무대로 등장하는 "압제에 신음하는 마을"이 그렇게 타락하기까지 주인공은 뭘 했는가라는 골치아픈 점에서 빠져나가기 쉽다. 또 아무것도 없어 보이는 인간이 알고보니 전설적인 고수더라는 반전도 노릴 수 있는 것.

찰리 채플린[1]의 방랑자(The tramp, 1915)라는 영화가 있으며, 주로 20세기 중반에 요짐보낭인을 시작으로 서부극의 떠돌이 총잡이 등 수많은 종류들로 분화되었다.
  1. 실제로 찰리 채플린은 자신이 맡은 배역의 이름을 방랑자(Tramp/트램프)로 많이 짓는다. 모던 타임즈와 황금광 시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