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틀피버 로보

파일:Attachment/배틀피버 로보/battle-ar-robo.jpg

1 소개

슈퍼전대 시리즈의 주역메카
제3작 배틀피버 J~제4작 전자전대 덴지맨
배틀피버 로보다이덴진

배틀피버 J의 주역 메카. 슈퍼전대 시리즈 사상 최초의 거대로봇이다.

전고 58m, 중량 3000t. 변형 기믹이 하나도 없는 단순한 구조지만 이것저것 우겨넣었는지 좀 무겁다. 그런 주제에 비행 속도는 마하 10, 출력은 500만 마력. 그야말로 환상의 지구제 기술의 총합으로 우주 로봇도 따라올 수 없는 능력. 다만 요즘과는 달리 출현이 늦은 편.

배틀 샤크로 전투지역까지 옮겨지며, 배틀 샤크 내에 전용 무기가 한가득 들어있어서 싸우는 도중에 무기를 마음대로 골라 써먹을 수 있다. 수많은 무기가 있지만 상징적인 무기는 전광검으로 4개의 필살기 중 3개가 전광검으로 사용할 정도. 반면 내장 무기는 기본적으로 휴대한 소드 피버와 체인 어택커를 제외하면 하나도 없어서 이론상 배틀 샤크가 파괴되면 굉장히 곤란한 상황에 처한다.

헤드 부분부터 시작해 전체적으로 일본 무사의 느낌을 살린 디자인인데, 이 부분은 다소 호불호가 갈리는 편. 초합금혼으로 다시 발매된 전력이 있으며, 변형 기믹이 없어 자세잡기 좋고 극중에서 높은 비중으로 사용했지만 당시 초합금에서는 미채용된 스틱 어택커와 전광검의 칼집을 집어넣었기 때문에 제품 자체는 상당히 호평을 받았다.

여담이지만 커맨드 앤 컨커 : 레드얼럿3에 등장하는 욱일제국의 켐페인 전용 로봇 쇼군 익스큐셔너가 이 로봇을 모델로 만들어진 듯 하다.

테마곡은 배틀피버 대출격.

2 보유 무장

소드 피버와 체인 크래셔 이외의 무기는 배틀 샤크에서 사출된걸 받아서 사용한다.

  • 소드 피버: 양 다리의 홀스터에 수납된 단검. 주로 던져서 사용하며 유일하게 로봇이 휴대하고 있는 무장이라서 높은 빈도로 사용했다. 두개를 십자로 교차시킨뒤 상대에게 던지는 크로스 피버가 초기의 필살무기.
  • 체인 크래셔: 팔에 격납된 ISO합금제의 사슬. 적에게 때려박거나 묶어서 움직임을 봉쇄할 수 있는 건 물론 다른 무기에 연결해 쓰는 것도 가능하다.
  • 피버 액스: 거대한 도끼. 중량을 적에게 때려박기에 위력이 높으며, 본편에서는 주로 던져서 사용. 소드피버와 전광검을 제외하면 특수효과가 들어간 유일한 무기.
  • 스틱 어택커: 창. 예리한 날끝과 가시달린 바퀴가 각 끝에 달렸으며 찌르기 외에도 타격에 특화. 필살무기를 제외하면 제일 다용한 무기지만 구 초합금에는 들어가지 않았다.
  • 케인 녹커: 석장. 로보가 일본 무사 풍이라서 묘하게 잘 어울리는 조합이지만 본편에선 24화의 드라큘라 로봇전에서만 사용되었다.
  • 배틀 실드: ISO합금으로 만들어진 강력한 방패.
  • 어택 랜서: 두께 12미터의 철판도 뚫는 삼지창. 끝의 링을 체인 크래셔에 연결하여 사슬로 휘두르는 사용법도 가능하다.
  • 너클 펀처: 메리켄잭형의 무기. 구 초합금에도 들어갔지만 본편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 크로스 턴: 뿔을 부메랑처럼 날리는 무기. 구 초합금에만 구현되었고, 본편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 각부 미사일 런처: 구 초합금에만 존재하는 무기. 다리의 커버가 열리며 미사일런처가 나타난다.
  • 전광검: 거대한 일본도이자 필살무기. 자루에는 멤버의 이니셜 앞글자에서 따온 ACFKJ의 문자가 있으며, 도신과 칼집에는 전광검이라는 한자가 새겨져있다. 고압전류와 우주에너지를 흡수 가능하며 필살기는 15화부터 시전된 전광검 대나무 가르기. 전광검으로 크게 원을 그려 우주에너지를 흡수후 호쾌하게 일도양단한다. 최종화의 사탄에고스전에선 전광검을 전력으로 던져서 꿰뚫은 전광검 로켓터를 시전하기도 했다.

3 큰 속된

Bigbaser.jpg

4 배틀 샤크

파일:Attachment/배틀피버 로보/battle-ar-shark.jpg

배틀피버 로보를 수송하는 만능전함. 외관은 전함이지만 잠수에 비행까지 한다. 전장 150m에 중량 8000t, 마하 5의 비행 속도를 가진다. 나바론포, 폭뢰, 후부·측면 미사일, 매직 핸드 등의 다양한 무장을 가지고 있다.

내부에 배틀피버 로보의 무기들을 실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발사하기도 한다.

여담으로, 나중에 타이토사에서 아케이드 게임으로 개발한 잠수함 FPS의 이름이 배틀 샤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