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 실린더 내벽의 지름을 깎아내서 엔진을 복원 또는 출력 향상을 꾀한다. 쉽게 이야기해서 실린더의 가로 면적을 높이는 것. 즉 실린더의 용적이 커지므로 자연적으로 배기량이 늘어난다. 실린더의 내벽을 안에서 깎아 확장하기 때문에 '보링'이라고도 한다. 보링머신(머시닝센터)같은 장비를 통해 1/1000의 정밀도로 실린더 내벽을 깎아내기 때문. 또한, '몇십만킬로 무보링 주행가능한 엔진'이라는 뜻은 엔진 자체의 내구성과 정밀도가 높다는 뜻이기도 하다.[1]
엔진(특히 실린더)는 일정이상의 주행 시 내벽이 마모되어 압축 압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내벽을 평탄화 하거나 아예 배기량 확장을 위해 내벽 크기를 늘리는 작업을 한다. 물론, 그에 맞는 피스톤의 사이즈에 맞춰서 작업이 필요하다.
부작용으로는 실린더 격벽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내열 내구성은 저하되어 변형이 일어날 수 있고,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엔진룸 자체 크기와 실린더 간격이라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무한정 배기량이 올라가는것도 아니고 해봤자 약간의 출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 솔직히 체감성능은 그다지 뛰어나지 않다.[2] 게다가 아무리 정밀 가공을 한다 하더라도 설비 차이가 넘사벽인 순정 상태와 비교했을 때 불안할 수 밖에 없다. 하여 신뢰도 높은 튜너의 손을 거쳐야 하지만 국내 현실상 이러한 노하우를 갖춘 튜너는 무척 드물다. 무엇보다도 엔진룸과 실린더 용적은 튜너들보다 훨씬 뛰어난 인재들이 인고의 시간동안 설계한 것이다. 그 설계를 출력 좀 올려보려고 들이대면 밸런스는 깨지기 마련이다. 어차피 튜닝이라는 것이 밸런스를 희생하는 짓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 보어 업의 경우 무조건 튜닝을 위해서 하는게 아닌, 사고나 이상증세,노후로 인해 실린더내벽에 상처를 입거나 마모된경우 행하는 정비이다. 단지 200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차의 교체시기는 이미 한자릿 년수가 평균이고 더이상 오버사이즈 피스톤이 생산이나 거래가 없기때문에 정비나 튜닝이나 어떤목적으로든 보기는 힘들어졌다. 노후차량으로서 내벽가공이 필요하다면 이미 수리비가 차값을 넘는 불상사도 발생될수 있기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