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피엘/레이드

수신학원 아르피엘의 콘텐츠 일람
기본전투생활기타
시스템지역별 던전 일람지역별 재료 일람아이템
조작법중앙 광장 및 학원 어귀무기 및 코어
캐릭터로윈드강 하류 및 비명의 전당강화 및 성장재료
인스턴스 던전발로터 습지초원가구
생산/채집남부 발로터 습지코스튬
업적알터발로터 저지대기타 아이템
기숙사(하우징)로윈드 하구 평야기타 및 편의
동아리특수던전취미 생활(제작)아르피엘 엔유(&U)
애니메이션레이드실베리온 구호단BGM

1 개요

아르피엘의 컨텐츠중 하나로, 로윈드강 하류에 있는 비명의 전당에서 강력한 보스몬스터를 상대로 싸우는 컨텐츠다. 클리어스 각 보스의 성장재료와 차원강화석 등을 얻을 수 있으며, 현재는 4개의 보스레이드가 구현되어있다. 처음의 3개의 보스는 대부분의 유저가 도전할 수 있는 컨텐츠라면, 4번째로 추가된 루나부터는 어느정도 숙련된 유저가 도전하는 컨텐츠. 레벨제한은 65지만 코어랭크 제한이 있기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만렙컨텐츠에 속한다.
보스 레이드에서는 부활횟수에 제한이 걸리며, 일정한 시간(초기 3보스 기준 10분)내로 보스를 쓰러트리지 못하면 보스 자신이 회피하면서 데미지를 입히는 패턴을 무한대로 사용해버린다던가, 즉사기를 사용한 뒤 대처도 못하게 바로 즉사시켜버리는 등, 사실상 깰 수 없게된다.
각 보스에 도전하기 위한 코어랭크는 다음과 같다.

난이도초급중급고급
초기 3보스[1]359364858507
루나-850710590

※보스의 정보 표는 메이플스토리/보스 몬스터에서 발췌 및 수정해 왔음을 알립니다.

2 부포펫

인게임에서 유저들은 줄여서 '부포' 라고 부르는게 다반사다.

2.1 기본 정보

부포펫
이미지 추가바람
HP189,124,400(쉬움)
351,116,000(보통)
(어려움)
즉사기 사용 HP%80%>50%>20%
소환 몬스터파워 코일, 붐포
위치콘서트 홀(비명의 전당 W지구)
테마곡My Name is Bufofat[2]

두꺼비로 보이는 거대한 보스. 공개된 레이드들 중 가장 쉬운 난이도를 가지고 있어 스팩만 된다면 고급에서도 동네북(...) 신세인 비운의 보스.

2.2 패턴

  • 기타 휘두르기

가장 가까운 적에게 기타를 3번 휘두른 후, 바닥을 내려친다. 마지막 타격은 플레이어를 다운시킨다. 한방한방의 데미지가 꽤 커서 전부 맞으면 체력이 크게 날아간다. 선딜레이가 크고 공격간의 간격이 커서 이동기혹은 걸어서 회피 가능.

  • 깔아뭉개기

주황빛으로 빛난 후,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적에게 날아간다. 한번발동에 총 3번 사용하며, 위력이 꽤 높다.
이 패턴 사용 시 파티원들이 분산되어 광역으로 피해를 입는 일을 피하거나 2명을 미리 정해서 두명이 각각 반대방향으로 달리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 장판

보라색 독장판을 설치한다. 위력자체는 높지않지만, 지속시간이 길고 보통 부포팻 바로 밑에 깔리기때문에 누적데미지가 상당하다. 아이린이 있으면 이 기술로 받는 피해를 거의 무시할 수 있다.

* 즉사패턴 : 파워코일
파란빛으로 빛난 뒤 부포팻이 시작위치로 돌아가 연주를 시작한다. 부포팻을 기준으로 사각형으로 4개의 파워코일이 생성되며, 일정시간내로 파워코일 4개를 전부 파괴하지 못하면 즉사한다.

- 붐포 : 즉사패턴 사용시 파워코일 근처에 소환된다. 사망시 자폭한다.

  • 광폭화

전투 시작후 10분내로 부포팻을 쓰러트리지 못하면, 깔아뭉개기 패턴계속 사용한다.

2.3 전리품

  • 초급 : 부포펫의 기타조각(성장 재료, 거래 불가능), 차원강화석
  • 중급 : 부포펫의 축전지(성장 재료, 거래 불가능), 차원강화석
  • 고급 : 부포펫의 기타조각, 부포펫의 축전지, 차원강화석, 5세트 세트 효과 부여 주문서 5%

3 스팅크 백작

부포와 마찬가지로 스팅이라고 짧게 부르는게 인게임에서 일반적이다.

3.1 기본 정보

스팅크 백작
이미지 추가바람
HP201,526,000(쉬움)
374,140,000(보통)
757,647,808(어려움)
즉사기 사용 HP%80%>50%>20%
소환 몬스터없음
위치오페라 하우스(비명의 전당 E지구)
테마곡La Dolce Vita[3]

비명의 전당 3시방향에 있는 오페라 하우스에서 만날 수 있는 레이드 보스. 패턴에서도 그렇게 어려운 점은 없으나 방심하는 순간 원큐에 오브가 사라질 수도 있으니 방심은 하지 말것.

3.2 패턴

  • 휘두르기

가장 가까운 적이 있던 위치에 3번 휘두르고 뛰어올라 꼬리로 내려찍는다. 그냥 뒤로 돌아가면 회피할 수 있지만, 마지막 내려찍기는 방향을 바꾸기때문에 적당히 이동기로 회피하거나 이뮨기를 사용하자.

  • 방구

발동 시 분홍색 유리병이 깨지며(피격시 데미지), 이 후 자세를 취한뒤 광역 범위공격을 한다. 크게 넉백되는데다가 데미지도 크지만, 이뮨기를 사용하거나 분홍색 장판위에 있으면 회피할 수 있다.

  • 부메랑

부메랑 3개를 던진다. 부메랑은 다단히트판정이고 최대사거리에 도달한 뒤 다시 돌아온다. 한방한방의 위력은 낮지만 연타에다가 경직도 낮아 제대로 걸리면 4~5히트는 당하기때문에 적당히 회피하자. 뒤로 돌아가면 간단히 회피 가능.

  • 무대조명

스팅크백작 근처에 조명이 켜진다. 조명 범위 밖에 나갈경우 피해를 입게된다.

* 즉사 패턴 : 밀어내기

스팅크백작이 시작위치로 돌아가며, 노래를 부른다. 피해를 입혀서 넉백시킬 수 있으며, 일정시간내로 무대 범위밖으로 밀쳐내지 못하면 즉사.
무대는 바깥 / 중간 / 안쪽으로 나뉜다. 패턴 시작 후 3개의 구역 중 한 위치에서 붉은 경고표시가 생기며, 약 3초후 폭발해 큰 피해를 입힌다. 한번 폭발이 일어나면 이 후 지속적으로 폭발해 모든 구역에서 폭발이 일어나며, 쉬는 타이밍없이 계속 터지기때문에 이뮨기 회피에 미숙하거나 이뮨기 자체가 미묘하다면 즉사도 발동 안했는데 바닥에 눕는 자신을 볼 수 있다.
폭발 패턴은 다음과 같다.

폭발 시작2번째3번째
바깥중간
중간바깥
중간바깥

스팅크 백작을 밀어내는건 암묵적인 룰으로 80%땐 ↑, 50%땐 ←, 20%땐 →방향으로 밀어낸다.

만약 무대밖으로 나가면 초당 1~2만가까이 체력이 날아가버리니, 패턴이 시작되거나 실수로 이동스킬로 무대밖으로 나가게된다면 재빨리 무대 안쪽으로 들어가는게 좋다.

3.3 전리품

  • 초급 : 스팅크의 오르골(성장 재료, 거래 불가능), 차원강화석
  • 중급 : 스팅크의 마력향수(성장 재료, 거래 불가능), 차원강화석
  • 고급 : 스팅크의 오르골, 스팅크의 마력향수, 5세트 세트 효과 부여 주문서 10%

4 데이노쿠스

4.1 기본 정보

데이노쿠스
이미지 추가바람
HP217,028,000(쉬움)
402,920,000(보통)
815,928,384(어려움)
즉사기 사용 HP%70%>40%>10%[4]
소환 몬스터거대한 회복구슬
위치검은 습지(비명의 전당 N지구)
테마곡Let'em All Come[5]

현재 아르피엘의 레이드 중 악랄한 난이도를 자랑하 레이드이다. 얼마나 악랄하냐면 다른 레이드는 1인으로 들어가서 패턴파악만 하고 나오면 금방 클리어가 가능했으나, 데이노쿠스는 소위 '헤딩팟'이 있을정도로 초보(여기서의 초보는 '숙달되지 않은 사람'으로 정의) 도전자들에게 빅엿을 선사하기 딱 좋은 난이도였다. 대부분의 유저들이 개편전보다 스펙이 좋아진 현 상황에서는 소위 '스킵팟'등으로 불리는, 독구슬을 스킵하고 클리어 하는 파티가 대부분이지만, 그래도 회복구슬 패턴의 자리를 서는것에 있어서 연습이 필요하므로 되도록이면 공략을 참고하고 숙련유저에게 물어보고 하는게 좋다.

4.2 패턴

  • 꼬리치기

약간의 준비동작 후 전방을 향해 꼬리를 휘두른다.

  • 돌진

달리는 자세를 취한 뒤 돌진한다. 연타판정이기때문에 아이린같은 물몸이나 리샤의 울어라! 배틀사이드같은 슈퍼아머 스킬을 사용하면 연타판정으로 한번에 훅 가버릴 수 있으니 주의. 데미지가 강하면서 2~3회, 심하면 4회이상 피격할 수 있다.

  • 중앙점프 -> 브레스

중앙으로 점프한 뒤, 꼬리를 내려쳐 모든 플레이어의 위치에 씨앗을 투척한다. 씨앗에 맞으면 데미지를 입으며, 브레스가 시작된 뒤 일정시간 후 꽃이 발화하고 가장 가까운플레이어의 위치로 탄막을 발사한다. 위력이 높은데다가 딜을 넣는 도중에는 회피하기 힘들기때문에 따로 탱커를 둬 처리한다.
브레스는 씨앗을 투척한 뒤 일정시간 후 가장 가까이에 있는 적을 향해 발사하며, 첫번째 독브레스를 발사한 대상에게 계속 사용해 총 4번 발사한다. 위력이 크기때문에 브레스를 담당하는 탱커가 아군과 반대위치에 있는게 핵심.

  • 즉사 패턴 : 회복구슬

일정한 위치에 회복구슬이 4개 생성된다. 총 2번생성되며, 회복구슬을 먹지 못하고 데이노쿠스에게 도달할경우 데이노쿠스가 체력을 회복한다. 회복구슬의 생성이 끝난 뒤 랜덤 플레이어에게 이펙트가 발생하고, 약간의 시간이 지난 뒤 그 플레이어의 위치에서 거대 회복구슬이 생성된다. 만약 거대 회복구슬이 데이노쿠스에게 도착하면 데이노쿠스가 크게 회복하고 아군 전원이 즉사한다.

처음에 나오는 회복구슬을 3개이상 먹으면 낮은 피해를, 4개이상 먹으면 큰 피해를 지속적으로 입게된다. 만약 아군 1~2명이 사망해 회복구슬이 남게된다면 포기하고 데이노쿠스의 체력을 소량 회복시키거나, 리샤나 카일, 유아같은 탱커캐릭터가 3~4개를 먹고 버티는게 좋다. 아이린같은 물몸캐릭터는 3개이상 먹으면 사실상 죽는다(..)

  • 즉사패턴 : 독구슬

독구슬을 뱉는다. 독구슬을 파괴한 캐릭터는 독에 걸리고, 틱당 1만이상의 정신나간 데미지를 30틱(...)을 버텨야된다. 플레이어끼리 접촉하면 독 디버프가 옮겨지고, 만약 30틱이 전부 끝나기전에 독 디버프를 가진 플레이어가 사망하면 아군 전원이 즉사한다.
따로 탱커를 둬서 처리하며, 독구슬 탱킹이 가능한 캐릭터는 유아, 리샤, 카일이 속한다.

광폭화시 독구슬을 뱉어낸 뒤 즉시 폭발(...)해버려서 아군 전원을 즉사시켜버린다.

4.3 공략

  • 돌진-꼬리치기 패턴 대처

아래의 패턴을 사용할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이 패턴을 사용한다. 꼬리치기는 다운만될뿐이지 피해량 자체는 크지않지만, 돌진패턴은 잘못맞으면 죽는다. 원거리캐릭터가 고의적으로 구석에서 멀리 떨어져있고, 보스가 맵의 끝부분쪽에 있다면 돌진패턴으로 이동하지않고 제자리 걸음만 하게 할 수 있다. 근거리캐릭터는 돌진패턴을 쓰는걸 보면 회피한 후 빠르게 이동기로 접근해 다시 데미지를 넣어야한다.

  • 회복구슬 대처

회복구슬은 일정한 위치에서 생성된다. 파티원끼리 상의하여 정해진 위치의 회복구슬을 개인당 2개씩 먹으면 중첩피해도 없고, 보스의 체력도 회복시키지 않는다. 모든 회복구슬을 먹고나면 6시에 집결해 거대회복구슬을 파괴하고 씨앗패턴을 대비한다. , 만약 화력이 높아 거대회복구슬 파괴 후 약간의 여유시간동안 보스의 체력을 다음 즉사패턴 발동체력(약 30%감소)까지 깎아버릴경우, 연속으로 회복구슬 패턴을 2번사용해 모든 파티원이 회복구슬을 4개먹고 큰 피해를 입거나 보스가 크게 회복하기때문에, 이 경우 데미지를 넣는걸 다음 패턴의 시작까지 멈추는게 좋다.

  • 꽃-브레스 대처

브레스탱(브탱)과 꽃탱으로 나뉜다. 패턴의 발동은 돌진과 꼬리패턴을 일정횟수 이상 사용하거나 회복구슬 패턴이 끝난 후 사용하게되는데, 꽃은 각 개인의 위치에 떨어지기때문에 회복구슬 파괴 후 6시에 뭉쳐있다가 보스를 딜한다. 이 때, 브탱과 꽃탱의 역할이 꽤 중요해지는데,

브탱꽃이 떨어지는걸 기다릴때 혼자만 보스의 근처에 대기해 이 후 브레스 패턴을 자신에게 유도해 아군에게 브레스가 가지 않게한다.
꽃탱꽃이 떨어진 후, 다른 이들이 딜을 할때 살짝 떨어져 꽃의 어그로를 전부 받아내 이뮨기를 이용해 회피하면서 공격한다.

초급정도라면 꽃탱이나 브탱이 실수해도 크게 지장은 없지만, 중급이상이라면 상당히 치명적으로 될 수 있으니 주의.

  • 독구슬 대처

브레스 발사 후, 다음 패턴으로 넘어갈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독구슬을 뱉어낸다. 독구슬은 초반에 데미지가 낮고, 조금씩 가면서 데미지가 2~3만까지 오르기때문에 어느정도는 체력으로 버티다가 이뮨기로 최대한 버티고, 사전에 이야기한 탱커 캐릭터한테 전달해 자신의 사망을 피해야한다. 자신감이 넘쳐 혼자서 버티려고 하기보다는 위험하거나 실수했다 싶으면 바로 넘기는게 팀의 전멸을 피하는 길이다.

캐릭터 별 역할은 대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데미지 딜링은 기본적으로 포함.

아이린체력회복, 브탱카일독구슬
보호막부여, 브탱세실브탱
브탱리샤꽃탱, 독구슬
유아꽃탱, 독구슬

4.4 전리품

  • 초급 : 데이노쿠스의 씨앗(성장 재료, 거래 불가능), 차원강화석
  • 중급 : 데이노쿠스의 독구슬(성장 재료, 거래 불가능), 차원강화석
  • 고급 : 데이노쿠스의 씨앗(성장 재료, 거래 불가능), 데이노쿠스의 독구슬(성장 재료, 거래 불가능), 차원강화석, 5세트 세트 효과 부여 주문서 20%

5 꼬마공학자 루나

5.1 기본 정보

꼬마공학자 루나
이미지 추가바람
HP905,430,784(보통)
1,755,375,104(어려움)
페이즈 전환 단계2단계(보통)
4단계(어려움)
소환 몬스터추가 바람
위치잊혀진 고대 신전(비명의 전당)
테마곡추가바람

2016년 9월 1일 업데이트로 새로 추가된 보스이다. 쉬움 난이도는 없고 보통 난이도가 코어랭크 8507, 어려움이 10590으로 들어갈 수 있다.

추가바람

5.2 패턴

5.3 전리품

  • 중급 : 거대 차원석, 빛나는 거대 차원석, 거대 변이석, 빛나는 거대 변이석, 시공의 성장석(자연석, 풍요석, 동굴석, 태양석, 원혼석), 균열 무기(아체르, 페를라테, 트위시온), 루나의 수집용 박쥐 날개
  • 고급 : 차원 강화석, [고대] 무기 및 코어(크레센트, 프리즘, 토러스, 피라미드, 뫼비우스), 6세트 세트 효과 부여서(40%)

6 기타

레이드 재료 모으기가 매우 가혹한 노동을 요구하는 작업이다. 페를라테와 트위시온의 경우 그나마 나은편이지만 아체르의 경우 데이노쿠스의 재료가 어마어마하게 필요한데 악어의 특성상 가급적 8인을 채워서 해야하기때문에 운이 나쁘면 1년이 걸려도 재료를 다 모으지 못할수도있다. 일부 유저의 경우 이를 보고 비교적 재료수급이 쉬운 부포펫 레이드 무기인 페를라테로 눈을 돌린 상태다.

엄청난 작업 강요에 일부 유저들은 이걸 기획한 개발진의 진정한 의도는 다름아닌 레이드 코인을 팔아먹기 위한 꼼수라고 생각하고 있다
  1. 부포팻, 스팅크, 데이노쿠스
  2. By Yushik (feat. Jahnny Shin)
  3. '달콤한 인생'이라는 뜻(...). 노래가 오페라에 맞게 실제로 테너가 불렀다. By Yushik (feat. Tenor Kim Dong Won)
  4. 회복구슬패턴의 사용 hp다. 독구슬패턴은 즉사기 사용 hp와 관계가 없다.
  5. By Jahnny Shin(Feat. Rising Thunder, Master J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