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 강정/꿩과자라고도 불린다.
멥쌀과 술로 찰떡을 쳐서 빚은 것을 한입 크기로 만들고 여러 날 동안 꼬박 말린 다음, 기름에다 튀기고 그 위에 조청을 입히고 겉을 깨 등의 견과류나 고물, 쌀튀밥 등에 굴려 마무리한 과자. 유탕처리한 현대의 스낵 종류와 비슷한 원리의 과자로 튀기면서 부피가 늘어난다. [1]최근 대량생산되는 것은 겉에 묻히는 고물이 대부분이 쌀튀밥으로 고정. 위에 설명하다시피 레시피가 복잡한데다가 어렵고, 한과 중에서도 제일 많이 쌀을 잡아먹기 때문에 유밀과 다음으로 최상급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지금은 제일 싼 한과가 되었다. 대신 맛은 안드로메다로 [2] 석유맛이 난다. 앞의 말을 쓴 사람들은 휘발유나 경유를 먹어본 적이 있나보다
경남 함양의 개평마을에선 이 유과를 기름없이 구워낸다. 강가에서 고운 자갈을 채취해서 자갈을 가열한뒤 유과에 자갈을 자갈에 유과를 넣어 익히면 마치 기름에 튀긴것처럼 고르게 익힐 수 있다고 한다[3]. 옛날 기름이 귀한 시절 기름 없이 과자를 만들기 위해 고안된 전통이라고 한다.
과거 공민왕 시대 몽골인들에게 굉장히 인기가 많았다고 한다. 구름을 먹는 듯 하다고....
박문수가 안성에서 어머니가 싸준 찹쌀유과로 나한전에 봉양을 드린 후 장원급제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이곳의 칠장사는 수능 때가 되면 북적인다고 한다.- ↑ 튀김기름에 들어가자 마자 뻥튀기마냥 부피가 확 늘어난다.
- ↑ 조청이 아닌 물엿을 넣은 것은 건조되면 너무 딱딱해진다. 쌀튀밥 고물도 눅눅하고 조청이나 물엿은 있는지 없는지 과자처럼 부스러기가 풀풀 날린다. 유과의 아이덴터티는 겉은 부드럽게 바삭하고 씹으면 조청이 스며드는 캬라멜같은 쫀득함이건만 이런 유과는 요즘 일반 시장이나 마트, 백화점에서도 보기어렵다. 시골읍내에 소규모 유과공장에 가면 어지간히 보관을 잘못하지 않는 한 딱딱하게 굳지않는 나름 제대로 된 놈들을 찾을 수 있다. 다만 멸치박스크기 정도로 사야하는게 흠
- ↑ 이는 현대 과자 제조 공정에 자주 사용되는 파칭 공법과 매우 비슷하다. 파칭에서는 소금이나 석회석을 열 전달 매개체로 한다는 것이 다를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