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

혹시 강정마을로 대변되는 제주도 해군 기지 건설 논란을 찾으셨다면 이쪽으로.


羌飣. 밀가루를 꿀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썰어 말렸다가 기름에 튀긴 조과(造果)에 속한다.
#사실 에너지바다 카더라

그 유래는 자그마치 중국 전한 시대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한나라에서는 아침식사 전 일종의 애피타이저 개념으로 먹던 간식의 일종인 한구(寒具)라는 음식이 있었다. 이는 찹쌀가루에 밀가루를 혼합하여 반죽한 다음 일정한 모양새로 만들어 튀겨서 꿀이나 물엿에 찍어먹는 음식으로, 이것이 고려시대에 '유밀과'라는 이름으로 널리 퍼진게 강정이라는 설이 있다. 하지만 삼국시대, 그것도 가야에서 '과(餜)라고 하여 강정으로 추측되는 물건이 묘사되어 있기도 하다.[1] 아니면 옛날부터 있었는데 고려시대에 널리 퍼진것이던가.

한국에서의 강정은 한구처럼 '양념을 찍어먹는' 방식이 아닌, '미리 양념을 입혀놓은' 상태로 나온다. 강정 자체의 재료도 다양해서 일종의 고물로 쓰는 재료에 따라 흑임자 강정, 깨강정, 계피 강정, 잣 강정 등으로 불리운다.

오늘날로 치면 과자류에 속하며 실제 취급도 그렇지만 강정은 만드는 과정이 오래 걸리고 복잡한데다가[2] [3][4]

재료들이 하나같이 어마어마한 것들 뿐이여서 만드는 법도 어마어마하다 찹쌀강정만 어렵다니깐 양반층의 전유물로 오랫동안 군림해왔다. 서민들이 강정을 구경하는건 양반이 인심이 좋아서 나누어주거나 아니면 마을 경사가 나서 잔칫상을 만들때 정도. 물론 이런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강정은 역시 양반층 이상의 전유물이였다.[5]

현대사회에서 강정은 기기와 공법의 발달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좀 특별한 과자'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사실 이는 약과 같은 다른 제삿상 식품들도 마찬가지이지만...찹쌀을 주재료로 하며 이를 반죽하고 숙성 기간을 거쳐서 바싹하게 말린 다음 튀겨서 만드는 꽤 까다로운 물건이지만, 공장등에서는 숙성 과정 없이 그냥 만들곤 한다.

한식을 좋아하지 않는 아이들이 그나마 받아들이는건 바로 이 강정이다. 현대 과자와 많이 비슷하기 때문. 과자조청유과가 강정과 많이 유사하다.

사제 강정은 그럭저럭 먹을만한 반면 대한민국 국군에서 만드는 특전식량에 들어가는 강정은 이빨로 깨물기 어려울 만큼 단단함을 자랑한다. 때문에 지급받아봤자 쓰레기통으로 직행한다.

닭강정 역시 여기에서 본딴 요리다.

  1. 출처 : http://100.naver.com/100.nhn?docid=5636, http://customsearch.naver.com/dbplus.naver?pkgid=201007140&query=%EA%B0%95%EC%A0%95&id=000000049792
  2. 찹쌀을 물에 10일정도 담궈서 골마지가 낄때까지 삭힌다음(손으로 만지면 부스러질때까지) 쪄서 떡메로 친 다음 반죽을 늘여 적당한 모양으로 만든다음 말린다.(여기까지 만든것을 '바탕'이라고 한다.) 그 다음 기름솥을 2개 준비하여 하나는 100 다른 하나는 160 정도로 예열한 다음, 바탕을 온도가 낮은 기름솥에 담갔다가 어느정도 부풀면 높은 기름솥에 넣는다 이때 갑자기 부푸므로 모양을 잘 잡아줘야 한다. 튀겨진 강정은 조청에 담갔다가 튀밥이나 깨고물을 묻혀 완성!
  3. 강정을 만들때 주의 사항이 있는데, 삭힌 찹쌀을 쪄서 떡메를 치기전에 콩물과 술을 넣지 않거나 처음 찹쌀을 물에담가 삭히는 과정을 소홀히 하면 튀길때 말린 바탕이 잘 부풀지 않는다고 한다.위 사진에는 정작 이와같은 과정을 거치는 찹쌀강정이 없는건 함정
  4. 설탕과 물엿을 쉽게 구할 수 있는 요즘에는 위 사진에 나오는 깨강정, 땅콩강정 등의 견과류 강정의 경우 생각보다 가정에서 만들기 어렵지 않다. 약불 위에 올린 프라이팬에 설탕을 넣고 녹아서 거품이 올라오는 것이 보이면 물엿을 넣고 견과류를 넣어 잘 섞은 후에 꾸득해진 상태의 것을 깨끗한 도마 등에 올려 놓고 납작하게 펼친 후 어느정도 굳어지면 식칼로 자르기만 하면 된다!
  5. 사실 강정말고도 지금은 여러 나라에서 흔히 먹을 음식이나 과자가 이런 게 많았다. 헬바라든지 마카롱이 그랬다. 그나마 나중에는 노점 음식까지 되었지만 값이 무척 비쌌기에 아무나 먹기 어려운 과자였다.그만큼 손이 많이 가고 만들기 어려우니까 도저히 싸게 팔 수 없었던 것. 그러나 기계가 나오면서 대량으로 쉽게 만들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