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람니아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이 문서는 토막글로 분류되는 800바이트 이하의 문서입니다. 토막글을 채우는 것은 기여자의 따뜻한 손길입니다. 이 틀을 적용할 시 틀의 매개변수로 분류:토막글의 하위 분류 중 적절한 분류를 지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interamnia

라틴어로 between rivers라는 의미다. 고대 이탈리아에서 여러 도시들의 이름으로 쓰였다.

소행성

MPC 지정 번호 순 소행성(Minor Planet) 찾기
703 노에미704 인테람니아705 에르미니
704 Interamnia
구분소행성대 천체
지름(350.3±0.8)×(303.6±1.2)km
태양기준거리3.062 천문단위(AU)
원일점3.522 천문단위(AU)
근일점2.601 천문단위(AU)
궤도경사각17.29°
이심률0.1503
공전주기1,957.49일(5.36년)
자전주기8.727 시간
온도160K 이상
겉보기 등급9.9 ~ 13.0

파일:Aogxncd.gif

발견 101주년을 기념해서 테라모 천문대에서 3시간 동안 찍은 인테람니아의 궤적

MPC 번호 704이며 어원은 이탈리아의 도시 테라모의 라틴어 이름인 인테람니아 프레아투토리움(Interamnia Preatuttorium, 강 사이에 있는 프라이투티이인들의 도시)이다.[1]

소행성대에서 다섯 번째로 큰 소행성이며 가장 큰 F형 소행성이지만 크기에 비해 매우 어둡기 때문에 발견이 늦은 편이다.
  1. 이는 소행성을 발견한 빈첸초 체룰리가 테라모 출신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소행성이 그가 유일하게 발견한 소행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