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율생산

Low Rate Production

전시가 아닌 평시에 군수 장비 등의 계획 생산량이 있는 물건을 생산할 때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생산목표를 채워 생산하는것이 아닌, 일정시간을 들여 천천히 계획량을 채워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대량생산의 이점이나 신형병기 등의 속성을 생각해보면 빠른 시간내에 양산, 배치해서 전력화시키는것이 유리할 것 같지만 이러한 생산방식을 택하는데는 이유가 있다.

먼저 생산라인을 오래 유지시켜 군수산업체의 부담을 줄이고 어느정도 수준의 이익을 보전해 주기 위한것이다. 전쟁중이 아닌 이상 평시에는 최대한 목표량대로 빠르게 생산해 놓고 나면 이후 추가수요는 잘 발생하지 않으므로 기존에 갖추어 놓은 산업체의 생산라인은 잉여가 되고 노동자들도 실업화 및 노하우를 오래 유지할 수 없다. 그리고 생각외로 방위산업이라는게 여타 다른 산업에 비해선 큰 이윤이 나는것이 아니다보니... 때문에 평시에는 생산라인을 크게 확장하지 않고 적당한 수준에서 오래 생산하는 쪽이 생산라인을 굴리는 입장에선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두번째로 이런 신형 제품을 실제 운용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 개선점 등을 보완할 때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번에 많은 양을 미리 찍어 놓고 운용하다 문제점이 발생하면 이를 모두 개선하는데 드는 비용은 어마어마하다. 저율생산일 경우 소량 찍어낸 초도 장비운용량 만큼만 회수나 폐기 및 개선해주고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장비는 처음부터 개선된 설계로 만들면 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생산라인의 효율성, 문제점도 운용기간이 오래 잡히므로서 효율적으로 개선 될 수 있다.

다만 전력화가 느리게 이루어진다는 단점은 물론이고 한번에 많은 양을 찍어내는것에 비하면 전체적인 비용 상승은 피할 수 없다는 점이 문제. 공업의 특성상 한번에 많이 찍는 쪽이 비용면에선 당연히 유리하다. 때문에 저율생산이라고 할 지라도 어느 정도의 생산량은 내 줘야 쪼들리는 예산의 효율을 높힐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경우 이 저율생산량이 심하다 싶을 정도로 적기 때문에 안 그래도 비싼 국산화시킨 군용장비의 몸값을 올리는 원인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