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버스 720

width=100%width=100%
삼화여객 소속 차량.극동여객 소속 차량.

1 노선 정보

제주특별자치도 시외버스 720번
기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3동(제주시외버스터미널)종점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제주민속촌박물관)
종점행첫차06:10기점행첫차05:55
막차21:30막차21:25
평일배차출퇴근 20분/평시 20분주말배차20분
운수사명극동여객, 금남여객, 삼화여객, 제주여객인가대수12대
노선제주시외버스터미널 - (봉개동 / 교래리) - 대천동 - 성읍민속마을 - (가시리 / 삼달리) - 표선리 - 제주민속촌박물관

2 개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서귀포시 표선면 제주민속촌박물관까지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오래 전부터 동부산업도로(97번 지방도 옛 이름)버스로 운행했다.
  • 2002년 7월에 도로명이 동부산업도로에서 동부관광도로로 바뀌면서 노선명도 함께 바뀌었다.
  • 2006년에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면서 97번 지방도 이름이 번영로로 바뀌었고, 이에 따라 노선명도 번영로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2013년 8월 1일에 있었던 시외버스 번호 부여 정책에 따라 720번을 부여받았다.

4 특징

750번과 함께 노선 이름이 자주 바뀌었다.

제주시내에서 번영로 또는 5.16도로~비자림로를 경유하여 서귀포시 표선면 지역을 연결하며, 주로 표선면(성읍, 표선)거주 주민의 수요와, 봉개동, 교래리 지역 수요가 주를 이룬다.

이러한 운행은 97번 지방도1112번 지방도 수요를 모두 커버하기 위해서이며 주 이용객인 표선면 지역 주민들이 제주 시내로 이동할 때 환승 없이 갈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서 교통이 불편하지는 않는 편. 일단 봉개동 방향은 대기고등학교로 통학하는 남고생 수요[1]와 인제사거리(천수동), 이도2동(동광양)으로 갈 수 있으며 교래리 방향은 사려니숲길, 미니미니랜드, 산굼부리 등 관광객들의 수요와 제주여고, 중앙여고 학생 수요, 제주도의 유일한 4년제 국립 대학교인 제주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를 지나가기 때문에 대학생과 여고생 수요가 많다. 사실 표선에서 제주시로 가는데 있어서는 자가용을 이용할 경우에는 97번 지방도를 이용해 가지만 반대로 버스를 탈 경우에는 나름 비등비등하게 고정 수요가 좀 되는 편. 그러나 다른 시외버스 노선에 비하면 수요가 많지 않아서 중형 차량인 BS090, 그린시티만 다닌다.[2][3] 때문에 출/퇴근 시간대 일부 구간에서는 입석으로 가야하는 일이 생긴다.

4.1 시간표

  • 가시리, 토산1리, 세화1리는 1일 4왕복으로 경유하며(720-1번), 삼달1리, 신풍리, 신천리, 하천리(하동)는 1일 2왕복으로 경유한다.(720번)
가시리, 토산1리 경유 시간표
표선 방향
횟수제주시외버스터미널가시리토산1리표선리제주민속촌박물관
106:2807:2807:3307:4307:48
211:2812:2812:3312:4306:48
315:2816:2816:3316:4316:48
418:2819:2819:3319:4319:48
가시리, 토산1리 경유 시간표
제주시 방향
횟수제주민속촌박물관표선리토산1리가시리제주시외버스터미널
107:1007:1507:2507:3008:30
211:4011:4511:5512:0013:00
315:4015:4515:5516:0017:00
419:4019:4519:5520:0021:00
삼달1리, 신풍리 경유 시간표
표선 방향
횟수제주시외버스터미널삼달1리신풍리표선리제주민속촌박물관
109:1010:0510:0810:1810:23
214:5015:4515:4815:5816:03
삼달1리, 신풍리 경유 시간표
제주시 방향
횟수제주민속촌박물관표선리신풍리삼달1리제주시외버스터미널
109:0509:1009:2009:2310:18
215:0515:1015:2015:2316:18

5 주요 관광지

국립제주박물관, 거문오름, 물찻오름(사려니숲길), 미니미니랜드, 산굼부리, 셰프라인월드, 트릭아트뮤지엄, 성읍리 승마장, 성읍민속마을, 일출랜드, 자연사랑미술관, 제주허브동산, 표선해비치해변, 제주민속촌박물관, 제주 올레 3코스, 제주 올레 4코스
  1. 사실 봉개동을 지나가는 시내버스 전 노선이 삼양, 화북으로 우회하는 탓에 시외버스 노선의 의존도가 상당히 높다.
  2. 730번도 마찬가지로 중형 차량만 운행하며 시외버스 비수익노선으로 지정되어 보조금을 받고 운행한다.
  3. 그리고 720번, 730번은 2~3일마다 번갈아가면서 운행한다. 즉 운행 순번 기준으로 1~3번은 720번 4~6번은 730번을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