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고칠 것인가, 말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학생
3번아님 4번인데3번아님 4번인데
왔다갔다 고민하다
내기 직전 고쳤다네
아오빡쳐!
꼭 고치면 틀리지?
머피의 법칙
시험 치는 학생들 최고의 고민.
말 그대로 제출 직전에 답안지를 고치는 것이다. 틀릴 확률은 객관식 문제에 5번까지란 높은 확률로 가정해도 20%다. 따라서, 모 아니면 도. 고친 것이 맞느냐, 틀리냐에 따라서 희비가 엇갈린다. 그리고 높은 확률로 고치기 전이 정답이다
2 고칠까, 말까?
한 마디로 말하면 너무 성급하게 고치려고 들지는 말되, 확신이 있다면 주저 말고 고치는 게 좋다.
제출 직전에 답을 고치려는 상황은 보통 문제를 모두 다 풀었고 시간은 몇 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지금까지 푼 많은 문제들을 모두 대충 훑어보며 검토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 때, 시간은 1분 정도밖에 남지 않았는데, 어떤 문제에서 무언가 이상한 점을 발견한 것이다. 다시 보니 다른 답이 맞는 것 같기도 한데, 시간은 없고 고칠까 말까 고민하다가 결국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시간이 되어버려 자신의 마음이 내키는 대로 답안을 써서 제출하게 된다. 이 경우 고치는 것보다는 자신의 처음 판단을 믿는 것이 답이 될 확률이 높다. 특히, 간단한 문제가 아닌 비교적 복잡한 문제일 경우에 더 그렇다. 시간이 없어서 문제의 복잡한 조건을 모두 고려하지 않은 채 판단하여 잘못 생각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반면 문제를 처음 풀면서부터 무언가 확실하지 않아 신경이 쓰였던 문제가 있었고, 다 푼 후에 그 문제를 적어도 3~4분 정도 충분히 재검토한 다음 처음 생각했던 답이 틀렸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면, 주저하지 않고 바꾸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낳는 경우가 많다. 시험 문제는 결국 답이 정해져 있는 문제이니 '답을 고치면 꼭 틀리더라'와 같은 이상한 믿음 같은 것에 흔들리지 말고 자신의 생각을 완전히 믿는 게 좋다.
3 결과
3.1 맞는 문제였는데 고쳐서 틀린 경우
답이 없다. 그저 절망이다. 그런데 이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
..시험지를 공개하지 않고 점수만 알려줄 경우 사건은 미궁으로 빠지게 된다. 위 경우이지만 모르니 당사자는 그저 '내가 뭘 헷갈렸지?' 일 뿐이다.
사실 맞은 상태와 틀린 상태가 공존하고 있었는데 양자역학에 의해서 답을 확인하는 순간 내 답이 오답이 되었다 카더라
3.2 틀린 문제여서 고쳐도 틀린 경우
그나마 애초에 가능성 없었다고 단정 가능해 정신승리를 할수 있다. 다만 고치느라 소모된 시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