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이 문서는 토막글로 분류되는
800바이트 이하의 문서입니다. 토막글을 채우는 것은 기여자의 따뜻한 손길입니다. 이 틀을 적용할 시 틀의 매개변수로
분류:토막글의 하위 분류 중 적절한 분류를 지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Attachment/발전소/Ex4ample.jpg
시화호 조력발전소의 모습이다.
1 개요
조수 간만의 차이를 이용하여 터빈을 돌려서 발전하는 방식. 달의 인력 때문에 지구의 바닷물은 높이가 때때로 달라지는데, 이 차이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이다. 바다에서 하는 수력발전이라고 보면 된다. 대표적으로 위 사진에 나와있는 시화호 조력발전소가 있다.
2 장점
1. 조석 현상으로 에너지를 얻기 때문에 태양 에너지처럼 고갈 가능성이 희박.
2. 풍력, 태양열 등과 같이 외력에 취약하지 않고 일정한 주기성을 가져 안정적이다
3. 조력발전을 위해 건설한 방파제를 육로로 이용[1]
- 다만 주의해야할 점은 "조력발전이 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친환경 에너지"라고 이해하는 사람이 있는데, 이는 틀린말이다.
- 실제로 조력발전은 대기로는 수온 상승[2]으로 인한 안개발생[3] 해상으로는 영양염 농도 변동, COD감소[4], 육지로는 갯벌 훼손[5], 지역적으로는 지역경제 타격[6]등 오염을 유발 할 수 있는 것이라는걸 명심해야 한다.
3 단점
1. 초기 설치 비용이 많음.(바닷물은 부식및 침식성이 높기 때문에 특수한 설비가 많이 필요.)
2. 발전소 주변의 해양환경을 변화시킴.(안개등의 발생 빈도가 증가)
3. 환경파괴(갯벌의 훼손 및 어류량 감소)[7]
4. 조수 간만의 차이가 많은 곳이 적다보니 수력발전 이상으로 입지가 제한된다.
- 실용화된 것은 프랑스의 랭스 강 하구 발전소 정도이며, 때문에 현재 대한민국을 제외하면 건설하는 나라가 없다. 한국의 경우도 2011년 시화호 조력발전이 준공되어 발전을 시작했으나 다른 조력 발전소는 환경 파괴 논란에 휩싸여 건설이 불분명한 상태.[8]
↑ 강화도 조력발전소의 경우 섬 네곳을 잇는 방파제를 건설하므로, 이 이유를 장점으로 들기도 했으며, 조력발전소가 지어지기 적합한곳 대부분이 Estuary(호수의 한쪽이 뻥뚫려 바다와 연결된것같은 지형, 지질학적으로 엄밀히 구분하자면 하구와는 비슷하면서 다른 개념이다.)지형인것을 감안할때 육로의 기능도 무시 못하기는 하다.
↑ 열오염
↑ 박병상. (2015.03.17).“지구온난화 부추기는 조력발전”. 강화뉴스. http://www.ganghw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5
↑ 이철재. (2014.10.06).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사실상 백지화”.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40668
↑ 갯벌자체가 조석작용에 의해 형성되는것이므로, 조석주기가 변할시 갯벌의 파괴상태가 어떻게 될지는 상상에 맡기겠다.
↑ 어민, 갯벌종사자
↑ 시화호의 경우 간척사업으로 인해 파괴된 생태계를 조력발전을 통해 복구한 사례로 이 항목과는 상관이 없다. 솔직히 말하면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국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어낸 거의 유일한 케이스다. 심층의 빈산소 문제가 거의 해결되었으며, 영양염류의 유동 또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할 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나공태, 김경태, 김종근, 김은수, 조성록, 강성현, 김성근. (2012.5). 시화호 수질특성과 조력발전소 가동에 따른 변화 연구.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2300-2308.). 더나아가 생태계적 측면에서 주둥치와 같이 환경이 악화된 해역에서 서식하는 종이 채집되지 않음으로서 죽음의 호수라는 악명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보이는것으로 판단된다(황선도. (2011.6). 인천만 조력발전예정지주변의 유영생물의 종조성 및 변화.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395-395.)
↑ 정부에서 2006년에 공사비 1조원을 들여서 충남 가로림만에 조력발전소를 건설하겠다고 발표했으나, 그 뒤에 진척이 없다. 지역 여론도 찬/반으로 나뉘어 있으며 2014년 현재까지 환경영향평가도 통과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