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음

중국어의 역사와 변천
상고한어
(ca. 13c BC - ca. 3c)
중고한어
(ca. 3c - ca. 13c)
근고한어
(ca. 13c - ca. 20c)
현대표준한어
(ca. 20 ~ )
오어(吳語)
상어(湘語)
감어(竷語)
객가어(客家語)
월어(粤語)
민어(閩語)



시경의「隰有萇楚」를 중고음으로 읽은 영상. 조기중고한어와 만기중고한어의 차이 역시 확인할 수 있다. 아래의 한국 한자음과도 비교해 보자.

隰有萇楚(습유장초) : 진펄에 장초나무

猗儺其枝(의나기지) : 무성한 그 가지
夭之沃沃(요지옥옥) : 싱싱하고 부드럽다
樂子之無知(락자지무지) : 아무것도 모르는 네가 부러워라

隰有萇楚(습유장초) : 진펄에 장초나무
猗儺其華(의나기화) : 무성한 그 꽃
夭之沃沃(요지옥옥) : 싱싱하고 부드럽다
樂子之無家(락자지무가) : 집이 없는 네가 부러워라

隰有萇楚(습유장초) : 진펄에 장초나무
猗儺其實(의나기실) : 무성한 그 열매
夭之沃沃(요지옥옥) : 싱싱하고 부드럽다
樂子之無室(락자지무실) : 짝 없는 네가 부러워라
- 출처

한국어 : 중고음
중국어, 일본어 : 中古音
영어 : Middle chinese phonology

1 개괄

중고음은 중고한어(후한 말 부터 수, 당, 오대십국, 남송 멸망때 까지 약 천년간 쓰인 중국어)의 음운 구조를 말한다. 중고음의 재구에 우선 사용된 소스는 601년에 발간된 운서(韻書)인 《절운(切韻)》초판 및 그 개정, 확장판이었다. 그러나 《절운》에서 음을 표기하는 데 쓴 반절이라는 방식은 점진적인 개선을 거치긴 했지만 정교성이 떨어졌다. 따라서 재구과정에서 칠운의 음운체계를 좀더 정교하게 분석한 12세기 중반의 《운경(韻鏡)》등 다른 사료도 이용하였다.《운경》은《절운》이 발간된지 수 세기가 지난 뒤 쓰였기 때문에 어느정도 음운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몇몇 언어학자들은 《절운(Qieyun)》이 쓰일 당시의 중국어를 조기중고음(Early Middle Chinese)로, 그리고 《운경(韻鏡)》이 쓰일 당시의 중국어를 만기중고음(Late Middle Chinese)로 구분하기도 한다. 참고 현대 한국어와 일본어, 베트남어의 한자발음이 이 시대의 발음에서 유래되었다는 연구결과도 나와있으며 중국 남방방언에 상대적으로 중고음의 자취가 남아있다는 얘기가 많다. 현대 중국어 방언의 한자음은 대부분 만기중고음에서 갈라져나왔다.

2 음운론

중고시대 때부터는 중국에 음운학의 개념이 어느 정도 정립화되어, 음절구조를 성모(shēngmǔ 聲母), 운모(yùnmǔ 韻母), 그리고 성조(shēngdiào 聲調)로 분류하였다. [1] 더 나아가서 운모는 다시 운두(yùntóu 韻頭), 운복(yùnfù 韻腹), 그리고 운미(yùnwěi 韻尾)로 나뉜다. 중고음을 재구한 대부분의 모델에는 보통 활음 /j/와 /w/, 그리고 연속된 /jw/모두 다 들어가나, /i/ 혹은 이중모음 /ie/을 활음으로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 운미는 /j/, /w/, /m/, /n/, /ŋ/, /p/, /t/ 그리고 /k/는 널리 받아들여지는데 때때로 /wk/나 /wŋ/같은 추가적인 종성이 포함되기도 한다. [2] 칠운에서 같은 운율로 짝지워진 음절들은 같은 운복과 운미를 갖되 많은 경우 운두는 달랐을 것으로 생각된다.
중고음의 재구는 학자에 따라 다르지만 자음에서는 거의 합의에 도달한 반면 모음에서는 저마다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칼그렌의 것을 수정한 리팡구이의 재구와 윌리엄백스터의 재구다.

2.1 상고음과 조기중고음 사이의 변화

2.1.1 연구개 초성의 구개음화

윌리엄 백스터는 중고한어의 몇몇 경구개 초성 단어들은 상고한어에서 연구개 초성이었을 가능성을 지적했다. 예를 들어 중고한어 熱(nyet)은 이전에는 ngjet으로 발음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경구개 초성으로 시작하는 중고한어 支(tsye)와 연구개 초성으로 시작하는 중고한어 技(gjeX, III)의 대조를 통해서도 (경)구개음화의 과정을 추적해 볼 수 있다. 이 둘은 조어(祖語)인 상고한어로 각각 支(kje)와 技(grjeʔ)인데, 支는 (경)구개음화를 거쳐 운두가 없어진 반면 技는 중간의 -rj- 때문에 (경)구개음화를 거치지 않아 차이가 생긴 것이다.

2.1.2 자음군의 소실

2.1.3 성조의 발생

2.2 조기중고한어의 자음

양순음치음권설음치경구개음경구개음연구개음양순연구개음성문음
파열음p pʰ bt tʰ dʈ ʈʰ ɖk kʰ ɡʔ
파찰음ts tsʰ dzʈʂ ʈʂʰ ɖʐtɕ tɕʰ dʑ
마찰음s zʂ ʐɕ ʑx ɣ
비음mnȵɲŋ
전동음
접근음jw
설측접근음l
  • 중고한어는 권설음과 경구개음의 추가로 상고한어에 비해 음운체계가 한층 복잡해졌다. 이렇게 된 까닭은 /r/ 혹은 /j/로 끝나는 어두자음군이 사라지면서 권설음이나 경구개음으로 대체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2.3 만기중고한어의 자음

양순음순치음치음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양순연구개음후두개음성문음
파열음p pʰ pɦ~bʰf fɦ~vʰt tʰ tɦ~dʰʈ ʈʰ ʈɦ~ɖʰk kʰ kɦ~gʰʔ
파찰음ts tsʰ tsɦ~dzʰʈʂ ʈʂʰ (ʈ)ʂɦ~(ɖ)ʐʰ
마찰음s sɦ~zʰʂ ʂɦ~ʐʰx xɦ~ɣʰ
비음mnŋ
전동음ɻʜ~∅
접근음ʋjw
설측접근음l
  • 양순음의 일부가 순치음으로 분화되었다.
  • 치경구개음이 모두 권설음으로 통합되었다.

2.4 베른하르트 칼그렌의 모음 재구

전설 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
고모음iɨu
중고모음eo
중모음ə
중저모음ɛ
근저모음æ
저모음ɑ

2.5 윌리엄 백스터의 모음 재구

전설 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
고모음iɨu
중고모음eo
중저모음ɛ
근저모음æ
저모음a

3 현대 한자어의 중고한어 발음[3]

한자표기한국어 발음중고한어 발음
間食간식깐 지억(kănH d͡ʑʰi̯ək̚)
來日내일라이 응지엣(lɑ̆i ȵʑi̯ĕt̚)
當身당신[4]땅 시엔(tɑŋ ɕi̯ĕn)
美國미국미 꿕(miX kwək̚)
方今방금방 끼엄(bʱiwaŋ ki̯əm)
歲月세월씨웨이 응이왓(si̯wɛiH ŋi̯wɐt̚)
音樂음악이엄 응아우(ʔi̯əm ŋauH)
自然자연지 응지엔(d͡zʱiH ȵʑi̯ɛn)
親舊친구치엔 기어우(t͡sʰi̯ĕn gi̯ə̯uH)
太陽태양타이 이앙(tʰɑiH i̯aŋ)
平和평화비엔 구아(bʱi̯ɛn ɣuɑ)
表情표정삐에우 지엥(pi̯ɛuX d͡zʱi̯ɛŋ)
希望희망헤이 미왕(xe̯i miwaŋ)

언어학자들이 추정한 삼국지 인물들의 실제 중국어 발음은 어땠을까?[5]

베트남어?
  1. 이 분류는 근고한어, 나아가 현대 중국어의 각 방언의 음절구조를 설명할 때도 그대로 이용되고 있다.
  2. Norman, Jerry (1988), Chines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Bernard Karlgren의 재구 참고
  4. 한자어가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
  5. 정확하게는 후한말 고대 중국어에서 위진남북조 초기 중세 중국어로 넘어가는 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