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 라이트 아머

파일:Attachment/짐 라이트 아머/rgm-79.jpg
RGM-79L

1 개요

1년전쟁 후기에 지구연방군이 개발한 양산형 모빌슈트 의 전기 양산 파생기. 기존 전투기 파일럿 출신들이 대부분인 모빌슈트 파일럿들이 전투기와는 완전히 다른 모빌슈트의 조종감에 적응하지 못하고 불만을 표시하자 이를 달래고자 개발한 모빌슈트다.

2 상세

당시 모빌슈트라는 새로운 병기 체계를 막 개발한 지구연방군으로서는 만드는 것으로도 벅찼는데 설상가상 이렇게 어렵게 만들어진 기체는 군 상층부의 재촉과 생산 노하우 부족으로 인해 본래 스펙보다 떨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여기에 전투기를 조종하다 모빌슈트를 조종하게 되면서 생기는 기체 조작의 이질감으로 인해 차라리 다시 전투기에 태워달라는 일선 파일럿들의 항의가 빗발치게되는데 어렵게 재교육하여 양성한 모빌슈트 파일럿들을 다시 전투기에 탑승시켜 죽게하는 일은 할 수 없었던 군 수뇌부는 불만을 표시한 파일럿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여 공통점만을 개선한 양산기를 개발하기로 한다.

가장 큰 공통점은 바로 기동성. 그중에서도 일격이탈 전법에 필수적인 고가속성이었는데 모빌슈트 개발에 막 걸음마를 뗀 지구연방군으로서는 지온군의 고기동형 모빌슈트들 같은 제대로된 고기동 모빌슈트를 개발하는 것이 불가능했고, 이에 자신의 형편에 맞춰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수준으로만 제작하기로 했다. 가장 쉬운 방법은 극한의이건뭐.....제로센인가.... 경량화로 헤드 발칸을 제거하고 장갑을 필요 최소한만 부착하되 그마저도 최저한도로 얇게 제작하였고 실드도 장비하지 않는 등의 노력을 거쳐 최종적으로 일반 짐에 비해 약 5톤 정도 경감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장갑을 깎은 것이 개량의 전부라고 해도 될만큼 일반 짐과의 차이가 없는데 반해 방어력은 자쿠의 실체형 머신건의 2~3발만 피탄돼도 일반적인 짐에 비해 손상률이 아주 커서 정말 전투기나 다름 없는 방어력을 지니게 되었다.

그래도 불만을 표시했던 일선 파일럿들의 평가와 전과는 꽤 좋은 편이었다. 게리 로저스 대위등 전직 전투기 에이스 파일럿들이 탑승한 짐 라이트아머는 별 1호 작전등에 투입되어 일격이탈 전법으로 지온 공국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

장비하는 무장은 빔 사벨 1자루와 빔 스프레이 건 1정으로 간단한데, 빔 사벨은 손잡이를 길게 늘이고 미끄럼 방지 홈을 판 특별 사양이고 빔 스프레이 건은 빔 라이플처럼 빔의 집속률을 높여서 빔 스프레이 건보다는 빔 건에 가까워 졌다.

날렵한 외관과 색상 덕분에 짐 트레이너로 오해받는 경우도 많다.

3 기타

스피릿츠 오브 지온에서는 중간보스로 나온다. 그런데 장갑을 깎아놨다는 설정과 달리 짐보다 더 체력이 더 많다.

초기 설정에서는 현지에서 개수한 현지 개수기라는 설정으로 형식번호도 일반 짐과 동일했으나 이후 정식 생산된 것으로 변경되면서 1989년 발매된 '기동전사 건담 MS 대도감 - 일년 전쟁'에서 RMG-79L이라는 형식 번호가 생겨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건프라로는 발매되지 않았는데 개조가 쉬운 편이라 자작하는 모델러가 많다. HGUC 짐을 베이스로 어깨 장갑과 빔 사벨 등 몇군데만 손보고 도색하면 간단하게 완성될 정도로 간단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