킨다급 미사일순양함

https://en.wikipedia.org/wiki/File:Cruiser_Kynda.jpg

1 제원

배수량기준: 4400톤만재: 5600톤
길이141.7~141.9 m
15.8 m
홀수선5.3m
추진기관2축 기어식 스팀터빈
출력100,000 hp
보일러4기
최대속도34 노트
항속거리2000 nm/34 knots7000 nm /14.5 knots
무장
대함미사일SM70 발사기 장착 P35 Progress-MSS-N-3 Shaddock 대함순항미사일 4연장 2기 함전후에 장착, 미사일 16기
SAM2연장 SA-N-1 대공미사일 발사기- Volna 미사일 사격용, 예비 미사일 16기
함포76mm AK-726 (탄 1250발) 함포 2연장 2기
기관포30-mm/65 구경 다연장 기관포 4문
어뢰TTA-53-57 533 mm 3연장 어뢰발사기 2기
기타RBU-6000 대잠로켓발사기 2기
승무원390명

2 개요

킨다급 미사일순양함은 러시아해군 최초의 미사일순양함으로 주임무는 대함 미사일을 이용한 대수상전이다.
1956년 발주되어 1960년부터 61년사이에 건조를 시작하였으며 1962년 12월 30일 배치된 1번함 Grozny호를 시작으로 1965년 8월 20일 배치된 4번함 Varyag호까지 총 4척이 Zhdanov yard Leningrad에서 건조됬다.

3 무장

킨다급은 북대서양조약기구에서 SS-N-3B Shaddock이라는 이름을 붙인 P35 Progress-M 함대함미사일 4연장발사기를 뱃머리와 끝부분에 각 1기씩 장착하였는데, 이 발사기는 상하좌우로 조정할 수 있으며, 뒷부분에 4발의 예비미사일이 있다.
또 SA-N-1 고아(Goa) 지대공미사일의 함대함형 2연장발사기 1기(24발 탑재)와 76.2㎜ 2연장함포 2문·30㎜ CIWS2문 등의 대공무장과 533㎜ 3연장어뢰발사관 2기·RBU-6000 대잠로켓 12연장발사기 2기등도 장착되어 대잠전 수행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연돌 앞에 설치된 3각형 레이더 돔(radar dome)은 이 함정에 처음 채용된 것으로 후에 등장한 러시아 미사일 순양함에 계승되었으며 실질적으로 헬리콥터를 탑재하지는 않았지만 뒷갑판에 비행갑판을 보유하여 미사일 유도용 헬리콥터의 운용도 가능했다.
처음에는 구축함으로 진수되었지만 1962년 9월 29일 미사일순양함으로 재지정되었다.

4 문제점과 퇴역

킨다급 미사일순양함은 문제가 하나 있었는데, 바로 무게중심이 함의 상부에 몰려있어 운용의 제약이 발생한 것이다.
이를 인지했던 소련 해군은 단 4척만을 건조하고 대형함인 크레스타급 건조로 신속히 이행됐다. 3척의 함선은 1991년~1993년 사이에 퇴역해 폐기됐지만 4번함은 1995년 예비역에서 현역으로 재취역한 후 1년간 Black Sea Fleet 함대의 기함으로 활동하다가 1997년 중반에 퇴역했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