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색

閉塞, block

1 개요

폐색이란, 열차를 운전할 때 선로에 일정 구간을 만들어 한 구간에 한 개의 열차만을 운행하는 방식이다. 열차는 철로 위를 달리기 때문에 노면을 밟고 있는 자동차보다 감속능력이 훨씬 떨어진다. 따라서 도로의 신호처럼 잘 가다가 신호 바뀌었다고 갑자기 멈출 수 없기에 이런 방식을 사용한다.

단선일 경우, 상행 열차와 하행 열차가 한 선로를 사용하므로, 열차가 운행 중일 때는 다른 방향에서 오는 열차가 진입하지 못하게 막아 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열차가 마주 오는 열차와 충돌할 위험이 있다. 충돌을 막으려면 한 선로에 하나의 열차만 운행하면 되지만, 이것은 수요가 매우 적어 망했어요 상태가 아닌 이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폐색 방식을 사용한다.

2 종류

2.1 상용폐색방식

한 구간에 고정으로 설치되어 평상시에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폐색방식이다.

  • 연동폐색식(連動閉塞式)
역무실 안에 있는 연동폐색 조작판을 이용해서 신호기를 작동시키는 폐색방식이다. 사람이 직접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규모가 작은 역에서 사용한다. 점차 자동폐색식으로 교체되고 있어 보기 어렵다.
  • 자동폐색식(自動閉塞式)
궤도회로를 이용하여 폐색구간 내의 열차 유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신호기로 진행, 정지, 주의, 감속 등의 신호를 현시하는 방식이다. 사람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폐색방식이다.
  • 차내신호폐색식(車內信號閉塞式)
궤도회로를 이용하여 폐색구간 내의 열차 유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차량의 운전실 제어대의 상태, 속도 표시기에 현시하는 방식이다. 자동폐색식과 달리 열차가 폐색구간에 진입해야만 지시속도가 현시된다.
  • 통표폐색식(通票閉塞式)
항목 참고.

2.2 대용폐색방식

상용 폐색 방식을 사고 등의 이유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 사용되는 폐색 방식이다. 복선일 경우 지령식과 통신식을, 단선일 경우 지도통신식을 사용한다. 대용폐색방식은 보안도가 상용폐색방식보다 낮기 때문에 45km/h 이하의 속도로 운전해야 한다.

  • 지령식(指命式)
폐색장치·차내신호장치의 고장으로 정상적인 운전이 불가능할 때 가장 먼저 사용한다. 관제사가 관제설비의 모니터 등을 보고 열차가 진행하려는 구간에 다른 열차가 없음을 확인한 다음 열차에 지시해서 이동시킨다.
열차 진입 구간에 다른 열차의 유무를 정확히 알 수 있고, 관제사가 운전사와 직접 통신하여 운행을 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대용폐색식 중 가장 안전성이 높고 효율적이다.
  • 통신식(通信式)
지령식을 사용하지 못할 때 사용한다. 관제사의 승인 하에 폐색구간의 양쪽 역에서 두 역장이 폐색 전용 전화기를 이용하여 다른 열차가 없음을 확인한 후 열차를 이동시킨다. 관제사의 승인이 필요한 이유는 관제사에게 열차운행 통제권이 있고, 관제사가 지령식 사용 여부를 알 수 있으며, 통신식을 사용하고자 하는 구간에 최종 진입한 열차의 위치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 지도통신식(指導通信式)
단선구간에서 사용되는 폐색방식이다. 관제사의 승인 하에 폐색구간의 양쪽 역에서 두 역장이 폐색 전용 전화기를 이용하여 다른 열차가 없음을 확인한 후 진입하는 열차가 하나일 때는 지도표[1], 둘 이상일 경우에는 마지막 열차에 지도표를, 나머지 열차에는 지도권을 발행한다. 지도표 또는 지도권을 지급받은 열차에 한해 폐색구간에 열차를 진입시킨다. 폐색구간을 통과한 후에는 지도표를 역장에게 반납한다.

2.3 폐색준용법

상용·대용폐색방식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새용한다. 폐색방식과는 다르게 이미 열차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열차를 진입시키기 때문에 폐색방식이라고 하지 않고 폐색준용법이라고 한다.

  • 전령법(傳令法)
열차가 있는 폐색구간에 차량고장, 견인 등의 이유로 다른 열차를 진입시킬 때 사용한다. 운전허가증과 같은 역할을 하는 한 명의 전령자를 선정하고, 전령자가 열차에 동승해야만 폐색구간을 운행할 수 있다. 25km/h 이하로 운전해야 한다.
  • 무폐색운전(無閉塞運轉)
폐색방식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폐색구간의 열차 유뮤를 알 수 없을 때 사용한다. 폐색구간 그런 거 없고 운전자의 판단에 의존하여 운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안도가 없는 거나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15km/h 이하로 운전해야 한다.

3 참고문헌

  • 「도시철도 운영총론」, 곽정호, 2014
  • 「철도의 이해」, 권기택, 2010
  • 「철도관련큰사전」, 백남욱·이상진, 2007
  1. 폐색구간 양쪽의 역 이름, 관제사, 명령번호, 열차번호, 시각이 적힌 운전 허가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