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4779113.jpg 4779116.jpg

1 개요

2006년에 발간된 단행본. 뉴라이트 계열을 주축으로 한국근현대사 분야를 중점으로 다뤘다.

이 단행본은 1970년대 발간된 '해방 전후사의 인식'을 정면으로 비판하기 위해 발간되었다. 일종의 안티테제.

2 상세

내용들은 딱 잘라서 정리하자면 뉴라이트 사관에 입각했다.

이 책이 발간 당시 보수세력 언론에서는 엄청 띄워줬다. 특히 조중동에서는 상당히 크게 다뤘다. 반면, 학계에서 엄청난 파장과 반발이 컸었다. 논쟁이 격렬하게 일어나기도 했고...

그러나, 이 책의 내용이나 자료출처 등을 보면 허점이 너무 많다. 출처를 내세우면서도 자신들의 주관적 정리가 많이 첨가된 데다가 객관성이 떨어지고, 뉴라이트 세력들이 자기들 입맛대로 갖다맞추기 식으로 자의적인 정리가 상당히 많다. 오히려 1979년에 발간된 해방 전후사의 인식보다도 훨씬 수준에 못미치는 정도. 한국현대사 연구 권위자인 서중석 교수는 이 책을 '비전문적'이라 규정짓고, '한국현대사를 정치적 잣대로 이용할려 한다'고 대차게 깟다.#

6e3003c.jpg

이 책의 구성이 가지는 다른 문제점은 내용 전체가 새로 쓰여진 것이 아니라 번다한 분야에서 연구하는 학자들이 훨씬 예전에 발표된 논문을 다시 편집한 것이라는 점이다. 이념과는 상관없이 부지런한 근현대사 연구자라면 관련 논문들을 대부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확실하게 책을 구매할 관련 연구자들조차 굳이 새로 살 필요를 느끼지 않았다.

사실 이런 논지는 해방 전후사의 인식이나 기타 역사 단행본에서도 자주 나오는 이야기인데, 어차피 대학원생이거나 매니아가 아닌 이상 논문을 찾아보기 힘드니 기존 논문 편집 자체는 뭐라고 할 건 없다.

하지만 정말로 문제는 편집의 일관성조차 없어서, 아무리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이미 발표한 논문을 제공했다지만, 비슷한 분야끼리 모아서 편집을 한다는 최소한의 성의조차 없다. 특정한 정치적 목적을 위해서 기존의 논문에 수정이나 첨삭을 하는 경우는 있지만 이것은 가독성이나 객관성을 위한 편집의 개념이 부족한 형편.

많은 학자들이 지적하듯이 개별 논문 자체의 질이 뛰어난 점은 의외로 많지만 정치적 색안경 탓에 명성을 깎아먹고 있다. 일부 필자들의 경우는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는 괜찮은데 정치적인 목적때문에 가치가 떨어지는 경우.

그나마 새로 쓰여진 부분이라고는 제2권 말미에 붙은 대담인데, 이것의 내용이 말 그대로 병신크리라는 말이 떠오를 정도로 엉망이라는 점도 문제.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을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게 풀어쓴 것이 '대한민국 이야기'라는 책인데 서울대 총동창회에서 신입생들에게 나누어주었다가 물의를 빚은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