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중국사의 여성
孝獻端敬皇后 棟鄂氏 (1639 - 1660)
순치제의 후궁. 속칭 동악비. 만주 정백기 사람으로 내대신 악석(鄂硕)의 딸이다.
18살에 입궁하여 순치제의 사랑을 독차지했고,[1] 순치 13년 8월에 '현비'(賢妃)라는 칭호를 받아 현비 동고씨(賢妃 棟鄂氏)라 불렸다. 그 해 12월 황귀비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2] 그녀는 순치제의 뜻에 따라 육궁을 주관했고, 후궁 내 그녀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황후나 다름없었다.
1657년 아들을 낳았는데 바로 순치제의 4황자 영친왕(榮親王)이다. 순치제는 가장 사랑하는 여인과의 사이에서 아들이 탄생하자 크게 기뻐했고, 황태자에 봉하려고까지 했다. 그러나 이 아이는 약 3개월 만에 요절하고 말았고, 이에 엄청난 충격을 받은 현비 동고씨는 결국 천연두에 걸려 21살의 나이인 1660년에 세상을 떠나게 된다.
현비 동고씨가 죽자 순치제는 슬픔을 이기지 못 해 5일 동안 정사를 돌보지 않았고, 심지어는 현비 동고씨의 뒤를 따르겠다고 말한 적이 있다고 한다. 순치제는 국법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강하게 반대한 대신들을 물리치고 현비 동고씨를 황후로 추존, 효헌장화지덕선인온혜단경황후(孝献庄和至德宣仁温惠端敬皇后)란 시호를 내렸다. 또 수천 자에 달하는 동비행장(董妃行狀)을 직접 지어 그녀를 기렸다.
그녀와 순치제의 애틋한 로맨스는 매우 유명하여, 수많은 중국 사극들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청나라 초기를 다룬 사극들, 그 중에서도 순치제나 효장문황후가 나오는 작품이라면 그녀 역시 거의 빠짐없이 등장한다고 봐도 좋을 정도.
그녀가 사실 강남의 유명한 기생 동소완이었다는 야사도 있지만, 이는 사실무근이다.
또한 순치제의 이복동생 양소친왕(襄昭親王)[3]의 복진이었다는 설도 있는데, 이는 전자와 달리 꽤 설득력이 있다고 평해지는 편이지만, 일단 정사에서 기록된 바는 없다. 이 설대로라면 순치제는 동생 마누라를 뺏아다 결혼한 것(...) 양소친왕 복진설을 미는 사람들이 대는 근거는 그녀가 입궁한 나이가 수녀 선발 이후였다는 점,[4] 양소친왕이 죽은 후로 책봉이 미뤄졌다는 점, 예의가 발랐음에도 순치제의 어머니 효장태후가 싫어했다는 점[5] 등이 있다.
참고로 강희제를 도와 가르단 정벌에서 활약했던 대장군 피양구(費揚古)가 바로 그녀의 동생이다. 또 순치제의 후궁이었던 정비(貞妃) 동고씨는 그녀의 사촌동생인데, 정비 동고씨는 순치제 사후 순장당했다.- ↑ 아담 샬 역시 순치제가 그녀에 대해 열렬한 연애 감정을 품고 있었다고 증언했다.
- ↑ 청나라를 소재로 한 중드를 자주 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황귀비는 황후 바로 밑의 지위로 후궁 중에선 가장 존귀한 자리이며 한 명밖에 둘 수 없다. 황귀비들은 대개 후궁에서 수십 년 살면서 짬밥이 생겼거나 죽은 후에 추존돼서 그 자리에 올라가는 경우가 많은데 아직 젊고 자식도 없던 그녀가 황귀비가 된 것이다! 순치제가 그녀를 얼마나 사랑했는지 알 수 있는 장면.
- ↑ 이름은 아이신기오로 봄보고르(Aisin-gioro Bombogor, 愛新覺羅 博穆博果爾). 청태종 홍타이지의 11번째 아들로, 어머니는 차하르 릭단 칸의 아내였다가 홍타이지와 재혼한 의정대귀비 보르지기트씨(懿靖大貴妃 博爾濟吉特氏)이다.
- ↑ 황제나 황족의 부인이 되려면 수녀 선발을 거쳐야 하는데 이거 제한연령이 17세까지다. 수녀가 되어 양소친왕의 복진으로 뽑혔다가 황제의 부인이 된 거 아니냐는 점.
- ↑ 물론 사람이 사람 싫어하는 데 이유가 한둘이 아니고(...)효장태후의 조카인 황후를 놔두고 총애를 몰빵받았으니 싫어할 만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효장태후는 공사를 엄격히 구분한 인물로 자기 조카인 황후도 태도가 방자하다고 여러 번 혼낼 정도였다. 이런 인물이 개인적 감정이 안 좋았다고 공공연하게 티를 낸 것은 뭔가 이상하며, 비정상적인 경로로 후궁이 되었기 때문에 못마땅했다면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물론 근거는 없는 설이며 단순히 이례적일 정도로 총애를 받는 동고씨가 후궁의 세력균형을 해친다고 생각하여 싫어했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