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보드

Analog to Digital Board.

기존 D-SUB 방식은 RGB 정보를 아날로그로 전송한다. CRT 모니터는 이걸 막바로 화면에 뿌려주면 되니까 상관이 없는데, LCD 모니터나 AMOLED 모니터는 화소당 RGB값을 각각 지정해줘야 하기에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전환해야 한다. AD보드가 이 역할을 담당한다.

그래픽카드에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RGB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모니터의 AD보드에서 다시 디지털로 변환하는 것은 뻘짓이지만, 어디까지나 D-SUB 하위호환 때문에 존재한다. DVI를 이용하면 그래픽카드의 디지털 신호를 막바로 제어 보드로 날리기 때문에 AD보드는 필요 없다.

최근에는 디지털 신호 변환용이라기보다는 PIP, PBP 등의 화면 표시 부가 기능이나 콤포넌트, HDMI 등 추가 단자나 멀티미디어 부분을 위한 추가 요소를 위한 측면이 더 강화 되고 있다.

또한 AD보드 없이 다이렉트로 디지털 연결만 하게 될 경우 사용자는 LCD 백라이트의 밝기 조정 정도 밖에 하지 못하기 때문에 디자이너나 출판 관련 종사자들에게는 세부적인 색상 조정이 불가능한 AD보드가 없는 LCD 모니터는 사용가치가 없다고도 할 수 있다.

TFT를 사용하여 SoP(System on Pannel)를 실현, 패널에 내장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