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자동 긴급제동 시스템

1 개요

AEB에 대해서 잘 설명해 놓은 동영상. 52초부터 보면 된다.

AEB는 첨단 주행보조장치의 일종으로 이름에서 볼수 있듯이 전방추돌상황이 감지되는 상황에서 운전자가 부주의나[1] 반응을 못해서 브레이크를 잡지 않아도 차량이 경고를 울리며 직접 감속시켜주거나 브레이크를 잡아주는 장치이다.

어떠한 방식이냐면 차에 탑재된 센서[2]로 전방 차량간의 거리등을 감시하고 있다가 전방 추돌이 예측되면 감속 혹은 즉시제동을 건다.

AEB가 달리는 차량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SC)이 반드시 장착되는데 왜냐하면 SCC용 전방레이더가 AEB용으로도 사용되기 때문이다.[3]

2 현황

이미 저속에서의 충돌방지 능력은 상당히 검증되어서 유럽,미국 등에서는 의무장착으로 법제화를 시킬 예정이며# 국내에서도 법제화가 의논되고 있는 중이다.

또한 국내에서는 영동고속도로 봉평터널 연쇄 추돌사고의 영향으로 상용차의 AEB적용에 대한 이야기도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3 기타

AEB도 회사에 따라 제동방식이 다른 경우가 있는 관계로 # 사고를 예방하려면 자기차에 달린 AEB의 작동방식을 잘 알아둘 필요가 있다. 또한 센서 특성상 감지 못하는 물체에 대해서는 미작동하는 경우도 있다.[4]
  1. 위에 영상에서 휴대폰 찾다가 AEB가 작동하는모습에서 볼수 있듯이 이런 사례도 자주 볼수 있다.
  2. 대표적인건 크루즈 컨트롤용의 전방레이더+사물인식카메라
  3. 사실 AEB는 SCC의 자동정차의 발전형 쯤으로 생각해도 된다. 급작상황에 대처 가능하게 바뀌었다고 보면 된다.
  4. 문서 상단의 영상을 참고하면 이에 대한 부분이 잘나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