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H 해법

분류:미분류

1 개요

블라인드 해법의 최상의 계층에 자리하고 있는 해법이라 할 정도로 난이도가 상당히 있으며, 현재 정상급 블라인드 유저들이 사용하는 해법이다. 해법의 기본 원리는 커뮤테이터이며, 이를 이용해 BH해법의 공식을 외우는 대신 커뮤테이터의 원리를 토대로 직접 공식을 즉석에서 만들어 사용하는 해법이 3-style 해법이다.

공식은 엣지 파트와 코너 파트로 각각 나눠지며, 엣지 파트 440개, 코너 파트 378개의 공식으로 전부 합치면 무려 818개라는 상당한 수의 공식이 포함된다!

이 문서에서 전체 해법을 다루는 것은 무리이므로, BH해법을 외울 때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인 '케이스 네임'에 대해서만 언급한다.

2 공식

BH해법 엣지
BH해법 코너
영어를 못읽을 것 같으면, 큐브매니아 카페에 정리본이 찾기 힘들지만 몇가지 있다.

3 케이스 네임

이 케이스 네임에 대한 분석은 대부분 스피드 솔빙홈페이지에 있는 분석글을 참조하였으며, 작성자가 독자적으로 연구한 부분도 있다.
BH 해법 엣지부분 영어 설명
BH 해법 코너부분 영어 설명

접두사 Setup into : 셋업무브와 역셋업 무브와 들어간 케이스 네임에 붙는다. Wide 라는 한 단어가 앞에 더 붙으면, 겹층 회전(Rw(r), Uw(u) 등등..)을 하는 셋업무브를 일컫는다.

3.1 엣지 파트

캔슬류 : A9, B9
순수 커뮤테이터 : Direct Insert, Toss up, Drop and Catch
나머지 케이스들은 특수 케이스이다.

3.1.1 A9

A9은 C A B A' B' C'의 형태를 띄고 있다.
이때, 처음 C A 부분에서 회전 캔슬(R2 R = R')이 일어난다.

예시)
L2 S2 L' F L S2 L' F' L'
L L S2 L' F L S2 L' F' L'
빨강, 파랑, 초록이 각각 A, B, C 파트를 의미한다. 여기서 처음 C파트와 A파트에서 L L 로 시작해 L2로 캔슬이 일어나 A9이라 적혀져 있다.

3.1.2 B9

B9도 A9과 같이 C A B A' B' C'의 형태를 띄고 있다.
단지, 이건 마지막 B' C' 에서 캔슬이 일어난다.

예시)
D2 M2 D R2 D' M2 D R2 D
D2 M2 D R2 D' M2 D R2 D' D2
역시 마찬가지로 빨강 파랑 초록이 각각 A B C 파트를 의미한다. 마지막 D' 와 D2가 캔슬되어 D 회전으로 되면서 B9이 되었다.

다만 보는 관점에 따라 B9이 A9이 될수도 있고 A9이 B9이 될 수도 있다.

3.1.3 Toss Up

A B A' B'의 형태를 띄고 있다.
자세한 설명은 커뮤테이터항목 참조

3.1.4 Drop and Catch

A B A' B'의 형태를 띄고 있다.
자세한 설명은 커뮤테이터항목 참조

3.1.5 Direct Insert

A B A' B'의 형태를 띄고 있다.
자세한 설명은 커뮤테이터항목 참조

다만 이 케이스는 조금 특이한점이 있다.
특이한점은 말로 설명하는것보다 직접 연구해보는 편이 훨씬 나으므로, 직접 해보기를 바란다.

3.1.6 (Half) Slice-Plane, SP~

Slice Plane.
직역하면 면을 자른다는 의미이다.
모두 같은 면(층, Layer)에 있는 조각들을 회전시킬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보통 8회전 커뮤테이터로 처리가 가능하나 3x3x3에서는 4회전까지 줄이는게 가능하다.

SP~도 Slice-Plane케이스인데 뒤에 숫자는 회전수를 나타낸다.

3.2 코너 파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