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21/로봇 정보

< C21

1 로봇 성능 스탯

  • 사이즈
XS, SS, S, M, L, LL, XL로 나뉘어진다. 로봇의 키에 따라 결정되며, XL 이상은 BD 수 제한이 아니더라도 더 이상 쌓는 게 불가. 다단 BD 로봇이 아닌 순정 조합의 로봇의 경우, 대개 S 사이즈는 고기동성, 높은 EN 회복량, 낮은 HP, EN, 적재 중량을 갖고 있으며 L 사이즈는 높은 HP와 EN, 풍부한 중량 제한과 느린 기동성, 나쁜 EN 연비를 갖는 게 특징. 특수한 미션, 유적의 경우 입장할 수 있는 로봇의 사이즈 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다. 깃발 등의 장식 파츠는 키 계산에 들어가지 않는다.
  • 잠재 능력
로봇마다 잠재능력이 알파벳으로 정해져 있다. 최저는 D에서 최고는 SS까지. 잠재 능력이 우수할수록 레벨업에 오랜 시간이 걸리며, 대체로 처음엔 성능이 약하지만 레벨을 높일수록 강해지는 경우가 많다. 단 어디까지나 잠재 능력 수치는 필요 경험치 합산에 의한 랭크 책정일 뿐, 강화되는 성능은 파츠마다 고정되어 정해져 있으며 강화되는 성능의 부문과 정도, 필요 경험치는 파츠마다 차이가 있다.
  • 코스트
로봇을 구성하는 파츠마다 코스트가 정해져 있다(무기는 해당하지 않는다). 파츠의 코스트의 합계가 곧 코스트 수치로 결정. 코스트 값 자체는 전투력과 무관하지만 사실상 그 기체의 능력을 나타내주는 지표로, 고성능 로봇의 경우 코스트가 높고, 잠재 능력이 높은 로봇은 코스트가 배로 상승한다. 또한 코스트가 높을수록 수리비는(...) 일반 필드 전투와는 무관하나 미션 등에서 출격부대의 총 코스트가 제한되는 경우가 있어, 레벨이 높아진 로봇의 경우 출격불가능하게 될 수 있으니 주의.
  • HP
기체의 내구도를 결정하는 수치. 여러 파츠에 나뉘어져 있으나 BD 파츠에 주로 분포하여 있으므로 HP 특화를 위해선 다단 BD 구성을 하는게 좋지만, 그 대가로 피격률도 증폭되는 부작용이 있다. 전투중 0이 되면 로봇이 사망, 출격 불가능하게 된다.
  • EN
기체의 에너지. BD, BS 등에 해당.전투 중 위쪽에 퍼센테이지 단위로 표시된다. 비행, 대쉬, 공중 대쉬, 무장 사용 등으로 소모되며 지상에서 멈추거나 걸을 때 EN 회복량 수치에 따라 조금씩 회복된다. EN이 0이 되면 오버히트되어 곧 40% 이상 충전될 때까지 아무 행동도 할 수 없게 된다. 최대 EN은 BD에 따라 결정되며 다단으로 무거운 BD를 쌓은 로봇의 경우 최대 EN이 만을 우습게 아는 경우가 다반사다.
  • EN 회복량
기체 EN이 자연 회복되는 양. 한국 서버는 게임 속도 향상 탓인지 일본 서버보다 EN 회복량이 훨씬 크게 조정되어 있다. 공중에서는 EN 회복이 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사실 EN 회복량이 적으면 공중 소모 EN이 많아진다=회복량보다 소모량이 더 많음. 커다랗고 무거운 BD를 막 쌓은 로봇의 경우 EN 통이 무식하게 높고 소모량은 더럽게 많은데 회복량은 적어서 고생인 경우가 많다.
  • 중량
기체의 중량. 튜닝 파츠 등을 제외한 모든 파츠는 중량을 갖고 있으며, 톤 단위로 센다. 큰 사이즈의 고성능 파츠일수록 중량이 무거운 것은 당연지사. 기본적으로 기체가 레벨업을 해도 중량은 증가하지 않지만, 예외도 있다(...). 공개되지 않지만 총 중량이 가벼우면 이동 속도에 추가 보정을 받는다.
  • 중량 제한
중량 제한은 보행 중량 제한과 비행 제한 중량의 2가지로 각각 LG와 BS마다 배정되어 있으며,[1] '중량 제한 보정'에 따라 늘어나기도. 기체의 중량이 중량 제한을 초과할 경우 이동 속도가 지극히 감소하고 점프력이 약화, 대쉬, 비행의 EN 소모량이 급격히 늘어난다. 추가로 중량 제한을 극심히 초과하면서 EN 회복량이 낮은 경우 보행 중량 제한 초과 시 가만히 서 있어도 EN이 감소하며 비행 중량 제한 초과 시 비행 도중 멋대로 실속 현상이 일어나고 수중에서 EN이 조금씩 떨어진다. 여담으로 중량 제한이 없던 고대의 C21에선 이런 어처구니 없는 조합도 충분히 사용 가능했다고 한다. 현재에도 저런 로봇을 제작하는건 가능하지만 느려터진데다가 EN먹는 하마라 써먹을 데가 없다.
  • 사격/격투
사격 능력과 격투 능력은 BD와 AM에 들어있으며 로봇이 소지 가능한 무기를 결정한다. 무기마다 사격 무기는 일정 수치 이상의 사격 능력이, 격투 무기는 격투 능력이 필요. 그 외 실질 공격력에 전투 능력도 보정이 되는데, 일부 무기는 해당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 보행/비행
기체의 기동성. 보행 능력과 비행 능력은 각각 LG와 BS에 배정되어 있으며(역시 예외가 존재), 필수 사양으로 튜닝 파츠 등을 제한 보행/비행 능력이 0인 기체는 출격이 불가능.[2] 실질적인 속도는 총 중량 보정 등을 받는다. 거의 모든 로봇들이 잘 성장하는 능력이지만 레벨 30 이후에는 대개 전혀 성장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점프력
기체의 상승 능력. LG 파츠에 배정되어 있으며 고도 상승의 속도를 결정한다. - 최대 고도는 모두 같으므로 무관. EN이 충분하고 점프력이 높아 상승 속도가 빠르고 키가 작아 언덕에 걸리지 않는 로봇이 유리한 것이다.
  • 방어력
물리 방어, 빔 방어, 화염 방어, 전격 방어가 있으며 1부터 32, 255로 971.9% ~ 0% ~ (-100)%의 대미지 반감 효과를 얻는다. (255는 구현은 불가. 220이 제한치. 어떻게 해도 이 이상으로는 올리수없다.) 방어력이 32 이하로 떨어지는 순간부터 그 해당 속성은 '약점'이 되어, 실제 위력 이상의 대미지를 입게 된다.
기체의 안정된 정도의 수치로, 두 가지 효과가 있다. 첫째는 주무기 반동의 억제로, 무기마다 배정되어 있는 일정 안전성 수치를 로봇의 안전성이 따르지 못하면 발사의 반동에 기체가 뒤로 밀려나고, 결국 명중률이 떨어진다. 반동에 밀려나는 정도는 중량이 가벼울 수록 더욱 심하다고 전해짐. 둘째는 스턴 내성으로, 안정성에 비례하는 스턴 내성 값 이상으로 스턴치가 쌓이면 기체가 오체분신(...)하며 빙빙 돌며 튀어나오거나 경직되게 된다. 충전 시간이 필요한 무기 등은 얄짤없이 캔슬되기 일쑤. 허나 이것은 안정성의 문제일뿐만 아니라 각 무기들의 스턴 능력과 자체 위력에도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 슬로우 내성/프리즈 내성
특수한 상태 이상인 슬로우와 프리즈에 대한 내성. 기체마다 마이너스거나 0인 경우도 있으며, 20% 정도만 되어도 대단히 높은 수치. 높을 수록 상태 이상 유발 공격에 잘 걸리지 않는다.

2 기타 용어

  • WUGS - 웨폰 업 그레이드 시스템
내장무기중 레벨에 의해서 성능이 변화하는 특수한 무기를 말한다
이러한 경우 코스트보단 레벨이 중요해진다는 특성이 있다.

3 무기 정보

C21/무기정보로.

4 기체목록

C21/기체목록으로.
  1. 게이더BD와 같은 극히 일부의 예외도 존재.
  2. 여담으로 이는 코즈믹 브레이크에서도 LG와 BS 기능을 갖는 파츠를 반드시 탑재해야 하는 것으로 계승.
  3. 코즈믹 브레이크에서거의 비슷한 역할을 하는 스탯으로 '내구력'(TGH인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