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BOCRAFT/부품/이온포

< ROBOCRAFT‎ | 부품

1 개요

로보크래프트의 무장 중 하나.

2 종류

2.1 Ion Destabilizer

600px
무기 이름Ion Destabilizer무기 분류이온포
CPU 소모145발당 파워 소모464.286
대미지148,500(13,500 x 11)초당 파워 소모371.4288/s(1개)|928.572/s(4개)
질량580 kg폭발 범위x
체력65,468프로토늄도?
연사력0.8(1개)/2.0(4개)제작 비용36,250 Robits
nominal count4희귀도Epic

2.2 Ion Distorter

600px
무기 이름Ion Distorter(IND)무기 분류이온포
CPU 소모245발당 파워 소모718.75
대미지247,500(약 13,026 x 19)초당 파워 소모718.75/s(1개)|1437.5/s(2개)
질량980 kg폭발 범위x
체력110,801프로토늄도?[1]
연사력1.0(1개)/2.0(2개)제작 비용122,500Robits
nominal count2희귀도Legendary

3 상세

샷건

Ghosts In The Machine 업데이트에서 처음 추가된 부품.
Ion Distorter 출시 이후 축소형인 Ion Distabilizer가 Smart Weapon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사거리는 매우 짧지만 사격 시 가공할 만한 대미지의 펠릿 무더기를[2] 발사한다. 펠릿들은 분산도가 크며, 일정 거리(사거리) 이상 날아갈 시 사라진다. 말 그대로 근접전에 특화된, 샷건 같은 무기이다. [3]

근접전은 최강이지만 중거리 이상은 공격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무기를 같이 사용하는게 좋다. 그래서 대개 근접할 때까지 포화를 버틸 수 있도록 맷집이 적당한 로봇에 장비하지만, 이온포만 달고 기습 위주의 플레이를 하는 유저들도 상당히 많다. 일단 접근만 하면 기체를 안 가리고 갈아버렸기 때문.
출시 이후 여러 업데이트에서 직접적으로 너프되고, 또 부품 체력 상향으로 인한 간접 너프로 인해서 입지가 좁아졌지만, 여전히 근거리에서는 강력하다.

3.1 밸런스 패치

2016년 7월 15일 패치에서 Destabilizer 와 Distorter의 피해량이 각각 14%,10% 상향되었다.

7월 18일 패치에서 대형부품들의 무게가 조정되면서 무게가 대폭 감소했다.

4 장점과 단점

4.1 장점

  • 강한 한 방 화력

당해 본 사람들은 공감하겠지만, 이온포의 강력한 한 방은 이동장비고 무기고 할 것 없이 모두 갈아버린다. Distorter 한 방이면 펠릿 몇 개가 새더라도 단일 체력만 15만 가량인 Aeroflak Guardian을 한 방에 삭제시킬 정도. 아무리 맷집이 강하더라도, 두 방 이상 적중당하면 로봇이 뭉텅이로 부서져나가 제대로 된 싸움이 불가능하다. 이런 강력한 한 방 데미지는 상대방의 단일 무장이나 갯수가 적은 이동장비(특히 Mech Leg)를 먼저 제거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만든다.

샷건 형태의 무기인 만큼, 상대방이 작으면 강력한 데미지로 차체가 조각나고 상대방이 크면 그 많은 펠릿이 모조리 적중하게 되어 정말 상대를 안 가리고 갈아버리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4.2 단점

  • 중거리에서 벌어지는 탄 분산도

이미 여러 번의 조정으로 탄 분산도가 커져 근접전이 아니면 딜로스가 많아지게 된 후, 중거리에서의 교전은 힘겨워지게 되었다. 여전히 펠릿은 강력하지만, 소모되는 에너지에 비해 딜로스가 너무 큰데다 연사력마저 느리다. 게다가 상대방이 적당히 먼 거리에서 레이저나 플라즈마로 긁어주는 플레이를 한다면 사거리가 닿지 않아 속수무책으로 당한다. 이는 소수를 제외한 이온 로봇들에게 추가적인 무장이 필요하게 만든다. 그리고 중원을 평정했다

장거리전엔 그냥 쓰지 마라. 전투력으로 따지면 나노 급이다

5 기타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ROBOCRAFT/부품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아직 정확한 정보가 없다.
  2. Distorter는 19발, Distabilizer는 11발
  3. 인게임 설명부터 'Shotgun-like cannon'이다. 처음부터 샷건을 모티브로 고안되었음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