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yvesant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Stuyvesant High School

Stuyvesant High School
스타이븐슨 고등학교
개교 1904
유형 특수 목적 과학 고등학교
성별 남녀공학
운영형태 공립
관할교육청 NYC Department of Education
홈페이지
The Spectator (학교신문) 홈페이지

1 개요

뉴욕의 명문 과학고등학교. 약칭은 Stuy. 언뜻 보면 평범한 미국의 고등학교로 보이나, 안은 사실상 아시안 들이 점령 했다고 봐도 무방(...). 3,000명이 넘는 학생들중에서 2012년 기준으로 72.5%가 아시안계로, 24%의 백인계나 2.4%(...)의 히스패닉, 1.2%(.....)의 흑인을 압도적으로 상회한다. 뉴욕의 과학고이기 때문에 많은 똑똑한 학생들이 몰리고, 이는 반대로 말하면 아시안계가 상대적으로 똑똑한 편에 속한다는 것을 뜻한다 (물론 예외는 있다). 아무튼 뉴욕에서 제일 명문인 고등학교를 뽑으면 십중팔구 스타이븐슨을 먼저 떠올린다. 같은 뉴욕시의 Bronx Science 와 라이벌 관계이지만, 사실 Stuyvesant이 넘어선지 오래다. 이를 인정하지 않는것은 오직 Bronx Science 학생들이나, 그보다 더 낮은 Brooklyn Tech 의 학생들 정도. 실제로 컷오프가 Stuyvesant에 비해서 월등히 낮다.

2 입학

Stuyvesant과 같은 특목고에 입학하려면 먼저 SHSAT라는 입학시험을 쳐야한다. 다만, LaGuardia High School of Arts는 예외[1]. 그리고 뉴욕 특목고는 입학시험 외로 내신 반영이 전혀 되지 않는다. 순수하게 입학시험만 쳐서 그 결과로 들어가는 것이다. SHSAT는 상대적으로, 매년 컷오프가 다르다. 일례로, 2014년도의 Stuyvesant 컷오프는 2015년보다 10점 정도 높았다. 적어보일지 몰라도 나처럼 턱걸이로 들어간 사람도 있으니... 나도..
SHSAT는 입학시험 치고는 꽤 쉬운 편이나, 뉴욕의 학생들이 질(...)이 아주 나쁜 관계로, 시험 점수는 잘 안나오는편. 그러니까 아시안들은 학원에 다니는 경우가 많다. Stuyvesant에 들어가려면 800점 만점에 570은 나와줘야한다[2]. Bronx Science는 이보다도 낮은 510점 사이, Brooklyn Tech는 아예 470대에서 놀고있다... 이꼴에 Stuyvesant 보다 자기네들이 더 낫다고 발광을 한다...

3 학교생활

지옥의 끝장판. 학교가 시작하자 마자 거의 반 이상의 학생들이 피곤에 쓸려나간다. 오죽하면 Stuyvesant에 다니려면 친구, 성적, 잠 중에서 두가지만 골라야 된다는 우스갯소리가 돌정도. 이렇게까지 학생들이 피곤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첫번째로, 일단 학교가 그냥 빡세다. 아직 중학교의 달콤한 꿈에서 깨지 못한 Freshmen들을 상대로 대학교 수준의 책을 던져주며 나몰라라 하는 공립학교는 미국에서 이학교밖에 없을것이다(...). 명색이 특목고이다 보니, Stuyvesant은 거의 커리큘럼을 앞서간다. 각 학과마다 정해진 요일에 시험을 낼 수 있게 했는데[3], 지키지 않는 선생님들이 많고, 시험 스케줄이 달라질 때가 많아서 어쩔 땐 하루에 시험을 두세개씩 보는 경우도 있다. 시험은 물론 격주로 볼 만큼 많다... 충분하다 못해 넘치고 흐르는 숙제는 덤. 그래서 가끔씩 기적적으로 숙제가 저녁 8시쯤에 끝날 때면 학생들은 놀란다..

두번째로, Stuyvesant은 남부 맨하탄 중심가, 그러니까 그 제1 세계무역센터 바로 앞에 있다.[4] 이게 힘에 부치는 이유는 다름아닌 통학 시간. 퀸즈에 사는 학생들은 거의 왕복 3시간을 기차와 지하철에서 버린다. 학교에 8시 까지 가야하니, 학생들은 거의 5시쯤에 일어나게 된다. 11시에 잠에 든다 해도, 6시간을 채 못잔다. 문제는, 그놈의 숙제 때문에 11시에 자는일이 거의 없다는것. 대부분 1시 혹은 2시까지 공부에 열중한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것이 합쳐저서 초래하는 유래없는 잠부족. 새벽 LIRR[5] 에서 반쯤 죽은 채 기차를 탄 학생이 있다면 그는 십중팔구 Stuyvesant 학생일 것이다. 시험이 있는 날에는 마지막 벼락치기 때문에 자지도 못한다..
잠부족 때문에 정작 학교에서 조는 학생들이 있기 때문에 마냥 웃어넘길 수만은 없는 문제.

이 외에는 아주 훌륭한 학교생활이 보장된다 저게 단데. 일단 위치상으로 대학교 바로 옆, 그리고 프리덤 타워 바로 옆블럭이기 때문에, 갈데가 아주 많다. 5분 거리에 음식점, 영화관, 운동장, 강, 공원 등 친구와 놀거나 데이트 할수 있을리가 없지 거리가 아주 많다. 이 외에도 지하철만 조금 타면 거의 어디든지 갈수있기 때문에 적어도 지루할 일은 없다. 뉴욕시 공립학교중 드물게 점심시간 외출을 허가한다는 것도 아주 큰 메리트. 또, 허드슨 강 바로 옆에 있어서 경치가 정말 끝내준다. 공부 하다가 밖을 내다보면 감탄이 나올 정도. 학교 바로 옆에는 Battery Park라는 공원이 있다. 그 외에도 Stuyvesant 후디나 셔츠를 입고 다니면 왠지 모르게 가오(...)가 살기도 한다.[6]

다만, 이 모든 것을 견뎌 내면, 뉴욕 공립학교중 최상의 시설에서 최고의 경쟁 환경속에서 마음껏 공부를 하며 지낼수 있다. 평균 2160점의 SAT 점수는 덤 실컷 까놓고서는.

4 기타

특별한 점으로는 학교가 10층짜리 건물이라서 학생들이 오고가기 편하게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해 놓았다는 점이 있다. 근데 항상 보면 멈춰있다.. 영고의 Stuy... 특히 2-3층 에스컬레이터.. 에스컬레이터는 홀수 층에 한대씩, 짝수 층에 한대씩 놓아져서[7], 짝수 층 에스컬레이터는 2-4층, 4-6층, 6-8층 이 있고, 홀수 층 에스컬레이터는 2-3층, 3-5층, 5-7층, 7-9층 으로 있다. 에스컬레이터 덕에 다음 교시 반으로 가기 수월하다고는 하지만, 가끔씩 이아니라 자주 멈춰있고, 특히 1교시 전에 9층에 있는 락커에 갔다가, 1교시에 밴드가 있어서 1층으로 온 뒤, 다음 교시에 10층에 있는 반에 가면 노력하지 않아도 다리근육이 저절로 발달한다. (...) [8]

그 외에 아무래도 과학 특목고이다 보니까 이과 관련 과목들이 많이 개설되어 있다. 특히 컴퓨터공학은 스타이븐슨 재학생이라면 반드시 배워야 할 과목 중 하나이다. 강제 공돌이행 그렇지만 문과 관련 선택 과목들도 꽤 많은 편이다.

학업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정식 과목 외의 부활동도 정말 많다. 이쯤 되면 어떻게 부활동까지 하는지 궁금해 질 지경이다. 뭘 어떻게야 자는걸 포기하는거지 선생님과 학교의 승인을 받으면 클럽을 만들 수도 있다. 특히, 학교의 연내 가장 큰 행사 중 하나인 SING!은 처음부터 끝까지 학생들의 힘으로 뮤지컬을 만들어서 각 학년끼리 겨루는거다.[9] 물론 그렇게 큰 행사 뒤에는 밤을 새우면서 학업과 부활동을 병행하는 학생들의 노력이 있다.

부활동 외로 미국 고등학교 하면 스포츠가 빠질 수 없는데, 팀도 많이 있다. 그리고 뉴욕시 공립학교 리그에서 많은 챔피언십을 따내는 편이다. 이쯤되면 초인수준
  1. 예술고이기 때문에 별도의 오디션을 봐야한다.
  2. 단, 2015년도 시험처럼 극히 일부는 제외.
  3. 월요일 과학, 화요일, 수요일 외국어, 목요일 수학, 금요일 사회
  4. 걸어서 5분거리
  5. Long Island Rail Road 의 줄임말
  6. 학교 안에 학교관련 의류나 물품을 파는 작은 상점이 있다. 거의 안연다는게 함정 2016년도 6월에는 재고 세일을 한답시고 학생들이 엄청 몰려와서 그 후 며칠은 거의 모두 스타이븐슨 옷을 입고 왔다..
  7. 2-3층 제외
  8. 엘레베이터가 있지만, 교직원 전용이다.
  9. 9, 10학년 제외. 9, 10학년은 Sophfrosh라고 같이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