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서버 호스팅

(VPS에서 넘어옴)

1 개요

가상 서버 호스팅은 가상 서버 (Virtual Private Server) 하나를 고객에게 통째로 제공해 주는 호스팅 방식이다. 아예 서버 자체를 가상화하는 KVM 방식과 커널과 시스템 자원을 공유하고 프로세스 등만 가상화하는 OpenVZ 방식이 있다.

2 특징

공유 호스팅(Shared Hosting)과는 다르게 서버를 가상화하는 것이 특징으로 보통 물리서버 한대에 여러 VPS를 입주시킨다. 업체에 따라서는 단독서버급의 쾌적한 사양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지만 오버셀링, 즉 한 서버에 VPS를 수용치 이상 초과해서 집어 넣는 짓을 하는 업체는 접속자 수가 몰릴 때 접속조차 힘들 정도의 불편함이 있기도 한다.

가상화에는 대표적으로 OpenVZ 방식과 KVM 방식이 존재한다.

OpenVZ 방식은 커널이나 CPU, 메모리 등 시스템 자원은 공유하고 그 위의 사용자가 추가로 지정한 커널 모듈, apache 등의 사용자 프로세스를 가상화하는 컨테이너를 올려 구동하는 방식이다. 가상화를 덜 거치기에 이론적으로는 KVM 방식보다 빠르며, 커널을 공유하기에 사용자가 추가로 불러오는 커널 프로세스나 시스템 프로세스를 제외하면 나머지 메모리를 아파치 등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메모리나 CPU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일정 부분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 주는 형태기 때문에 잠깐 부하가 높게 올라가도 타 사용자의 남는 자원을 이용해 더 높은 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 특징 때문에 서버내 한 이용자의 부하가 높아지면 타 이용자의 서버까지 같이 느려지는 현상이 생기기도 한다. 또한 커널을 공유하는 특성상 docker 등의 가상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KVM 방식은 아예 하드웨어를 통째로 가상화하는 방식이다. OpenVZ 방식과는 다르게 커널부터 가상화를 할 수 있기에, 원한다면 윈도우 등의 타 OS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커널 업데이트 등 시스템 업그레이드도 OpenVZ 방식에 비해 자유로운 편이다. 하지만 KVM 방식은 서버를 통째로 가상화하는 특성상 가상화에 자원이 소모되기에 OpenVZ 방식에 비해 한 서버에 넣을 수 있는 VPS 수가 적다. 이 때문에 KVM 방식과 OpenVZ 방식을 모두 제공하는 업체의 경우 OpenVZ 방식의 가격이 KVM 방식의 가격에 비해 매우 싼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가상 서버 호스팅을 제공하는 업체

3.1 국내 서비스

이외 추가바람

3.2 국외 서비스

이외 추가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