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405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101(-1)156204234240300304306309323(-1)
349356401403405410(-1)413425449503
509518523524527564600609618623
649650651653655706708719724726
730750805808814836840849(-1)909937
939980
† : 경산시 시내버스와 공동 배차를 하는 노선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05번
기점대구 달성군 가창면 삼산리
(삼산리회관)
종점대구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방천리공영차고지, 경신교통)
종점행첫차05:30기점행첫차05:30
막차22:20막차22:12
평일배차13분주말배차16분
운수사명세왕교통인가대수22대
노선
(주요경유지)
삼산리 - 대일리 - 수성못오거리 - 남구청 - 반월당 - 큰장네거리 - 서도초교 - 삼익뉴타운 - 이곡역 - 계대동문 - 방천리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삼산리 삼산리회관(4)에서 중구 봉산동 반월당역(0)를 거쳐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5)까지 운행하는 세왕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간선버스이다.

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

1998년 개편 전에는 달서구 파호동[1]에서 파동을 운행하던 일반버스 6번[2]이었으며 6-1번이 보조 운행을 했었다. 두 노선의 차이는 서구 일대에서 6번은 반고개네거리를 경유했다는 것과 수성구 지역에서 정화여고[3]를 경유했다는 것이다. 또 6-1번은 반고개네거리 대신 대구의료원, 서도초교를 경유했다는 것과 수성구 지역에서 신천동로를 경유했다는 점이었다.
두 노선은 개편 전에 매곡리까지 연장했었다가 1998년 개편 이후 방천리로 돌렸다. [4]

두 노선이 한 번호인 405번을 쓰면서 1/2 분리운행 방식으로 공존하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개편 전 6-1번에 해당되던 노선이 405-1번으로 분리되었으며, 신천동로는 지나지 않게 되었다. 1999년 1월 3일 405-1번이 435번으로 번호가 변경된다. 하지만 405번과 435번은 중복 구간이 많았고 결국 2006년 개편 때 적자 노선이었던 435번이 폐선되면서 435번의 단독구간인 서도초등학교 구간을 이어받으며 반고개로 더 이상 오지 않게 됐다. 하지만 435번과 달리 대구의료원을 경유하지 않고 퀸스로드에서 서부공고를 거쳐 감삼역으로 돌렸다.[5][6]

2010년 4월 4일 종점으로 쓰던 세왕교통 차고지가 4차순환도로 공사 부지에 편입되어 삼산리로 이전함에 따라 파동에서 가창면 삼산리로 연장되었다. 그러나 405번이 우록리 입구에 있는 삼산리차고지로 풀타임 운행해서 그런지 이 때 하루 2회 운행하던 가창2번 범골행이 사라졌다. 2012년 2월 18일 개편으로 서재리, 방천리 지역의 계명대역 환승을 위해 계명대역, 성서산업단지역, 성서초교 경유로 노선이 변경되었으며 가창2번의 감차로 인해 지원 운행하는 격으로 1일 10회 우록리까지 연장 운행했었다.[7] 그러나 공기수송으로 우록리행은 2012년 3월 14일 단 한 달도 안 되어 소리소문없이 폐선되었다. 2013년 5월 방천리공영차고지가 완공되면서 6월 5일 시종점이 방천환경자원사업소에서 경신교통이 있는 방천공영차고지로 변경되었고, 이에 앞서 방천리종점 북쪽에 상리동CNG충전소가 완공되어 천연가스 충전은 상리동 충전소에서 한다.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계명대역~대백창신한라타운~성서네거리~성서초교~이곡역(보람타운) 구간이 성서종합시장~성서우방타운~조달청~이곡역(보람타운) 구간으로 조정된다. 본래 운행 중이었던 구간으로 환원되며, 계대역 U턴 구간이 새로 생겼다. U턴 구간이 새로 생김으로 인해 앞 유리에 조그맣게 방면 보조행선판[8]이 새로 생겼는데 계명대학교 동문 앞, 건너편 정류장은 양 방향 모두 경유하니 전면 보조행선판을 잘 보고 타도록 하자.

4 특징

서재 방천리 지역에서 유일하게 계명대역을 경유하는 일반 간선노선이다.[9] 그리고 계명대역 유턴을 하지만, 양방향 모두 계명대학교 동문 앞, 건너 정류소 모두 정차한다.

여담이지만 일부 행선판에는 한 때 산삼 라고 오타가 쳐져 있었다.[10] 산삼 캐러 많이 가겠구먼 다행히 현재는 행선판을 수정해서 사라졌다. 과거에는 527번두류네거리, 401번에는 대구공항이 각각 두리네거리와 대구공황으로 잘못 표기되기도 했었다.(...)

특이한 점은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중에서 655번과 더불어 기종점이 모두 달성군 지역이다. 대신 생활권 차이가 너무 크다. 달성군 동남쪽의 가창면 삼산리에서 수성구, 중구, 서구, 성서 구간을 지나 북서쪽 다사읍 방천리로 들어가는 노선이다.

2015년 8월 1일 노선 개편 이후로 방천리~서구 구간의 수요가 매우 증가했다.[11]

5 연계 철도역

  1. 현재의 강창역이 있는 강창교 일대
  2. 1980년대 고정배차 당시 6번 노선은 일신교통, 현대교통에서 운행했다.
  3. 현 정화우방팔레스. 정화여고는 2000년 범어4동 산 깊숙한 곳으로 이전했다.
  4. 이와는 반대로 37번의 후신인 655번이 방천리에서 매곡리로 돌렸던 사유가 된다.
  5. 다사 방면 한정으로 대구의료원을 지난 후 대구의료원 네거리 앞에 있는 정말 좁디 좁은 도로로 꾸역꾸역 그 큰 몸집을 집어 넣으며 죽전동(죽전초교)으로 진입해서 달구벌대로로 나왔는데, 이 선형은 운전 환경도 제법 불편하고 도로 폭이 좁아 불법주정차와 보행자와의 사고 위험, 편도운행에 해당돼서 발생하는 불편 등으로 인해 서부공고를 거쳐서 달구벌대로로 나오는 것. 정류장명은 "죽전성당"과 "연지무도관"이었다. 2004년 지하철 공사 당시에 죽전네거리 좌회전이 일시적으로 금지되어 435번이 한동안 양방향으로 연지무도관 골목으로 운행했는데 두대가 겨우겨우 교행할 정도로 무척 좁다.
  6. 이와 동시에 2006년 개편 때 435번을 비롯한 대부분의 노선이 도로 폭이 15미터 이하인 도로에서 철수하였고, 큰 도로 위주로만 다니게 됐다. 하지만 이런 도로를 커버해야할 마을버스인 지선버스들마저 큰 도로로 다녀 담당부서는 역시 시민들에게 까이고 있다(...)
  7. 우록리에서 차량을 돌린 후 삼산리 차고지에서 인계하는 방식이었다. 단, 아침 첫차는 제외한다.
  8. 시내방면, 서재방면으로 각각 표기되어 있다.
  9. 또 다른 노선은 급행7번이 있다.
  10. 달성3번 등 구지면을 전담하는 지선 버스들은 구지농공단지를 경유하는데 왠지 경유판에는 구지논공단지라고 오기되어 있었다. 논공과 농공을 헷갈린 듯 하다.
  11. 305번의 폐지와 달서5번의 느린 배차간격으로 인해 405로 몰리고 있는 것. 509도 비슷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