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천과해

삼십육계
승전계(勝戰計)만천과해위위구조차도살인이일대로진화타겁성동격서
적전계(敵戰計)무중생유암도진창격안관화소리장도이대도강순수견양
공전계(攻戰計)타초경사차시환혼조호리산욕금고종포투인옥금적금왕
혼전계(混戰計)부저추신혼수탁어금선탈각관문착적원교근공가도멸괵
병전계(幷戰計)투량환주지상매괴가치부전상옥추제수상개화반객위주
패전계(敗戰計)미인계공성계반간계고육계연환계주위상


瞞天過海

병법 삼십육계 중 승전계의 제1계이다.

한자 그대로 해석하면 "하늘을 가리고 바다를 건넌다."라는 뜻이다. 풀이하자면 적의 눈을 속여서 예상치 못한 방법으로 승리를 쟁취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해당 어휘가 맨 처음 나왔던 곳은 명나라 때 쓰여진 백과사전의 일종인 "영락대전"에서 나왔던 말이다.

1차 여당전쟁 당시 당태종은 30만 대군을 일으켰으나 고구려를 치러 가는 길에 있는 보하이 해쫄아서 못 건너고 있었다. 이에 제장들이 근심에 빠져있을 때 설인귀가 계책을 내게 되었다. 며칠 후 장수들이 태종을 알현하여 지방의 한 호족이 30만 군대를 위해 양식을 마련해 놓았다고 하자 이에 그 양식을 점검하러 갔다. 호족의 안내에 따라 비단 장막이 깔린 방안으로 들어갔고, 호족은 그곳에서 주연을 베풀었다. 한참을 즐기는 사이 태종은 자버리게 되었으나 이후 방안이 요동치는 느낌에 잠에서 깨어 나가보니 이미 자신과 30만 대군은 망망대해 한가운데에 있었다. 혹시나 군사를 무를까 염려하여 속이고 바다를 건넜던 것이다.

여기서 "천자(天子)를 속이고 바다(발해)를 건넜다"고 하여 만천과해가 되었다. 하지만 해당 일화는 역사적 사실과는 동떨어진 허구에 불과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역사적인 사례 중에 가장 유명한 것으로는 삼국지에서의 태사자를 꼽는다.

태사자가 북해 태수 공융의 휘하에 잠시 머물렀을 때 관해가 이끄는 황건적 잔당에게 포위된 적이 있었다. 비록 태사자는 공융의 수하는 아니었지만 공융의 도움을 받았던 어머니의 부탁으로 북해성 밖으로 원군을 청하러 가야만했다. 이에 태사자는 활과 과녁을 휘하에게 들리고 성 밖으로 나가니 성안의 군사나 성 밖의 적병 모두 크게 놀랐다. 하지만 태사자는 아무 일도 아니라는 듯이 말을 끌고 성 가까이에 있는 언덕에 과녁을 세우고 활쏘기 연습을 시작했다. 연습이 끝나자 그는 다시 성안으로 돌아왔고, 다음 날도 똑같은 자세로 아무 일이 없다는 듯 활쏘기 연습을 했다.

그러자 성 밖에 있는 적병 가운데 이를 신기해하며 구경하는 자도 있고, 드러누워 낮잠을 자는 자도 생겼다. 며칠 동안 활쏘기를 계속하자 황건적은 이제 그에게 아무런 관심조차 갖지 않게 되었다. 이를 틈타 태사자는 갑자기 말 위에 올라서 포위망을 뚫고 나갔고, 황건적들이 속은 것을 알고 손을 쓰려 했을 때는 이미 그가 멀리 가버린 뒤였다. 그리고 태사자는 당시 평원현이었던 유비에게 3천의 군사를 받아서 북해의 포위를 푸는데 성공했다.

만천과해의 요지를 살펴보면 같은 행동을 반복하여 상대의 의심을 완전히 풀어버리는 것이 가장 주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만천과해는 그 범용성이 굉장히 높아서 전쟁뿐만 아니라 스포츠, 심지어 사기 도박에서도(!) 그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1]

상대를 속인다는 것에서 성동격서암도진창, 소리장도와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지만 구체적인 실행 형태는 다른 전략이다. 자세한 내용은 각각 문서 참조.
  1. 초반에는 계속 잃어주면서 상대의 방심을 유도하다가 단 한 판에 잃어버린 것의 몇 배를 되돌려서 따버리는 수법등이 이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