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도진창

삼십육계
승전계(勝戰計)만천과해위위구조차도살인이일대로진화타겁성동격서
적전계(敵戰計)무중생유암도진창격안관화소리장도이대도강순수견양
공전계(攻戰計)타초경사차시환혼조호리산욕금고종포투인옥금적금왕
혼전계(混戰計)부저추신혼수탁어금선탈각관문착적원교근공가도멸괵
병전계(幷戰計)투량환주지상매괴가치부전상옥추제수상개화반객위주
패전계(敗戰計)미인계공성계반간계고육계연환계주위상


暗渡陳倉

병법 삼십육계 중 적전계의 제8계.

한자 그대로 해석하자면 "은밀히 진창을 건넌다."라는 말이다. 여기서의 진창은 삼국지연의에서 학소제갈량의 대군을 격퇴한 그 진창이 맞다. 초한쟁패기 시절에 한신이 삼진을 점령하기 위해 파촉에서 나올 때에 생긴 말로, 원래 말은 명수잔도(明修棧道) 암도진창(暗度陳倉)이다. 겉으로는 잔도를 고치면서 은밀하게 진창을 건넌다는 말.

홍문연 이후 항우의 명에 따라 파촉으로 들어가게 된 유방장량의 조언에 따라 들어가고 나서 자신들이 지나왔던 잔도를 모두 불태웠다. 파촉에 있는 동안 소하의 천거로 한신을 얻게되고 그를 대장군으로 삼아 동진을 개시했다. 하지만 관중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장한(章邯), 사마흔(司馬欣), 동예(董翳)가 지키고 있는 삼진을 점령해야 했다. 이에 한신은 6월~7월 사이 자신들이 태웠던 포사도(褒斜道)에 있던 잔도를 병사와 백성들을 대거 동원하여 복구하는 작업을 거하게 펼치며 장한의 주의을 포사도 쪽으로 집중시켰다.[1] 하여 장한은 군을 사곡 쪽에 집중시켰으나 잔도 복구의 시일과 유방의 세력 안정, 복구 후에도 피로에 한군은 지쳐있을거라 생각하여 크게 신경쓰지 않았다. 결국 그 해 8월, 한신은 충분한 시간차를 두어 장한을 안심시킨 후 몰래 진창고도(陳倉故道)를 통해 군을 이끌고 진창을 기습하였고, 한군은 그 기세를 타 어렵지 않게 삼진을 장악할 수 있었다.
사실상 성동격서와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이는 전략이지만 미묘한 차이점이 있는 것이, 성동격서는 여러 목표에 대한 공격을 통해 진짜 공격 목표를 노출시키지 않는 것이 목적인 반면, 암도진창은 위장 공작에 해당하는 "명수잔도"를 통해 공격의 시작 자체를 적에게 들키지 않는 것이 주 목적이다.
  1. 일단 포사도의 잔도 수리가 장한을 속이기 위한 수단이긴 하였으나 관중을 점령하고 난 이후에도 군을 움직이고 물자를 나르는 등 보급을 위해서는 반드시 잔도를 복구해야만 했기에 착실하게 행하였고 이것이 장한을 더욱더 쉽게 속일 수 있는 요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