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혼도법

마교(魔敎)의 비전인 섭혼대구식(攝魂大九式)에서 파생된 육혼도(戮魂刀)를 격파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정종의 도법이 바로 섭혼도법(攝魂刀法)으로, 풍종호의 무협소설 『일대마도(一代魔刀)』에 비룡도(飛龍刀) 육천개의 도법으로 처음 나온다. 이후 『광혼록(狂魂錄)』의 비호도(飛虎刀) 육풍목에게로, 『호접몽(胡蝶夢)』에서는 육대세가 중 육씨세가의 가전도법으로 이어진다.[1]

섭혼도법은 대도(大刀)를 이용해 펼쳐지면 중압(重壓)으로 상대를 억누르며, 기혈(氣血)을 뒤흔드는 음파가 발생한다. 도법을 펼치는 자신도 이 음파의 영향에서는 벗어날 수가 없기에 섭혼도법을 익히기 위해서는 매우 독특한 폐혈법(閉穴法)을 먼저 익힐 필요가 있고, 이것을 익히게 되면 어지간한 내가수법(內家手法)에는 끄덕도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뛰어난 폐혈법을 익히고 있다고 해도 섭혼도법이 결국은 섭혼대구식에서 태어났기 때문인지 심각한 문제가 있음이 드러난다. 최후 초식인 유마섭혼(幽魔攝魂)에 그 문제점이 있음이 밝혀지는데, 이때문에 『광혼록』에서 육풍목이 도법의 비급서를 찢어버리고 가문을 뛰쳐나가게 된다.[2] 덕분에 육씨가문은 섭혼도법의 비결을 되찾기 위해서 온갖 가시밭길을 걷다가 오랜 세월에 걸쳐 힘을 회복하여 『호접몽』에서 육씨세가가 된다.[3]

육풍목은 오랜 노력 끝에 이 섭혼도법의 한계를 극복하여 새로운 도법을 창안해내고, 그것이 『호접몽』에 나오는 모용세가의 유씨가문[4]유마구절도(幽魔九絶刀)이다. 당시의 육씨세가의 가주인 육모화는 육풍목처럼 섭혼도법의 완성을 바라보고 있었기에 그 문제점에 대해서 누구보다 더 실감하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모용세가의 논검회(論劍會)에 참여하여 유마구절도에서 섭혼도법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고자 한다.

참고로 『화정냉월(花情冷月)』에서는 육씨도 유씨도 세가는 없어지고, 섭혼도법도 사라졌다고 한다.
  1. 그런데 정작 내력은 『검신무(劍神舞)』에서 밝혀진다···.
  2. 아마도 유마섭혼을 완성하게 되면 섭혼검법(攝魂劍法)처럼 환롱진(幻籠陣)의 영향으로 마장(魔障)에 빠지게 되는 것 같다. // 같은 '섭혼'이라는 이름을 달고 있고 폐해도 비슷하지만, 섭혼검법과 섭혼도법은 관련이 없다.
  3. 이전에 육씨세가의 선조 중 한 사람이 섭혼도법의 비급을 한 부 더 만들어 다른 곳에 맡겨둬서 무가로 이어질 수 있었다고 한다.
  4. 녹림삼가 중 유가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