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백당

1 개요

풍종호의 무협소설 『호접몽(胡蝶夢)』에 등장하는 육대세가 중 모용세가에 속한 유씨가문의 장자로, 도성(刀聖) 유장룡의 아들이다. 성격은 호쾌하며 장난끼가 많고, 여자를 좋아해서 셋째 부인까지 있다. 모용호, 냉천휘, 고소월과는 말 그대로 죽마고우(竹馬故友)로 어렸을 때부터 같이 커 온 사이인 만큼 매우 절친하다.

육대세가의 논검회(論劍會)는 십 년을 주기로 열리는데, 이들 네 명이 처음 논검회에 나타나 파란을 일으킨 것은 이십 년 전 논검회 때이다. 제비뽑기를 통해서 제일 먼저 나서게 된 유백당은 육가의 자제와 겨룬다. 제 실력도 모르고 설쳐대던 그의 목을 날려버리려던 유백당은 기겁하여 끼어든 아버지 유장룡 때문에 무승부로 마치고 내려온다. 그런데 육가의 자제는 오히려 유장룡 때문에 이길 수 있던 비무를 비기게 됐다고 멋대로 행동하는 바람에 유백당은 노발대발한다.[1] 이어서 냉천휘는 황보가의 자제의 얼굴을 발로 뭉개버리고, 고소월도 상관금을 물리친다. 마지막 차례였던 모용호는 남궁가의 뛰어난 인재라는 남궁기를 상대로 불패검(不敗劍)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이로써 이들 네 명은 모용세가를 빛낼 사룡(四龍)이라 불리워진다.

호사다마(好事多魔) 였을까? 이러한 영광의 논검회가 끝나고 삼 년 만에 모용가는 내분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후계자였던 모용호가 죽으면서 가문의 갈등은 도를 넘어서고 만다. 다만 노가주인 모용성이 버티고 있었기 때문에 더 이상 표면화가 되지 않을 뿐이었다. 이런 암울한 상황 속에서도 시간은 흘러 칠 년 뒤에 다시금 논검회가 열리게 된다. 그런데 유백당은 무슨 이유에선가 논검회에 참석치 않고 가족들을 데리고 유람에 나선다.[2] 그래도 남아 있던 냉천휘와 고소월의 활약으로 이 두 번째 논검회도 모용세가는 무사히 끝마친다. 그러나 두 번째 논검회 이후 육 년 만에 가문을 억지로라도 지탱해오던 노가주가 더는 병을 이기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면서 이제는 모용세가의 직계들은 아무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결국, 모용세가는 냉씨가문과 유씨가문으로 나누어질 상황에 직면하고 만다.

모용세가의 세도 급격히 약화되어 가면서 어느덧 세 번재 논검회가 열릴 시기가 다가오고, 대체로 이번이 모용세가라는 이름이 마지막으로 쓰일 자리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그런데도 유백당은 여전히 세가의 일에는 관심을 두지 않고 나서지 않으려 했지만, 고소월이 묵린영(墨燐影)을 모용호로 착각하여 죽는 일이 일어나면서 마음을 바꾸고, 모용세가를 지속시키려는 냉천휘를 돕고자 한다. 냉천휘는 잠력을 격발시키는 위험한 방법을 동원하면서까지 수라섬혼검법(修羅閃魂劍法)을 펼쳐 논검회에서 막강한 위용을 뽐내며 모용세가의 힘이 아직 건재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그러나 냉천휘의 바람과는 달리 모용세가의 진정한 후예인 묵린영은 더 이상 모용세가를 지속시킬 생각이 없었다. 마혈방(魔血幇)의 화계(火計)를 틈타 묵린영은 냉천휘에게 혜광섬혼(慧光閃魂)의 인증을 청하여 대결을 벌인다. 이 대결에서 냉천휘는 패하여 죽게 되는데, 이를 본 냉서한이 분노하여 묵린영을 죽이려 하나 오히려 당하면서 난곡에는 모용가문도 냉씨가문도 남지 않게 되고, 유씨가문만이 남아 난곡의 백성들을 지켜나가게 된다.

2 무공

  1. 이때 유백당과 겨루었던 육가의 자제가 작금의 육가의 가주인 육모화의 동생이다.
  2. 늙고 병든 몸으로 가독검(家督劍)을 쥐고 나서야 했던 모용성의 모습이 냉천휘에게는 상처로 남는다. 냉천휘는 유백당도 자신과 같은 마음이었기에 모용성을 볼 수 없어서 유람을 간 것이 아닐까 짐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