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게이트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인디게이트 (Indy[1]-Gate)
2005년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에서 열린 포뮬러 1 미국그랑프리에서 있었던 사건. 크래쉬 게이트와 함께 2000년대 들어 생긴 F1의 흑역사로 꼽힌다. 2000년대에 미국이 F1에서 발을 뺀 이유중 하나로 작용했다. 그러나 2010년대에 다시 돌아왔다

1 배경

1.1 부활한 미국그랑프리와 서킷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 참조.

1.2 타이어

당시 포뮬러 1의 타이어 규정은 대략 이렇다.
- 각 팀은 해당 시즌에 공급받을 타이어제조사를 자유롭게 선택할수 있다.
- 타이어의 교체는 1) 타이어에 펑쳐가 나거나, 2) 타이어에 펑쳐가 나기 직전까지 마모상태가 위험할때만 허용된다.[2] 그 외에는 타이어교체를 할수 없다.[3][4]

이에 따라 타이어제조사는 미쉐린(미슐랭), 브릿지스톤이 경쟁에 참여했고, 각 팀은 두 타이어제조사중 한곳을 선택해서 경기에 참가했는데, 르노, 맥라렌, 토요타, 윌리엄즈, BAR혼다[5], 레드불 레이싱, 자우버는 미쉐린을 선택했고, 페라리, 조던[6], 미나르디[7]는 브릿지스톤을 선택했다. 이는 마치 미쉐린이 브릿지스톤보다 우위를 가진것처럼 보였다. 더 많은 팀이 선택했고, 실제로 컨스트럭터 포인트도 미쉐린팀들이 더 좋았다. (브릿지스톤을 선택한 페라리는 3위, 조던과 미나르디는 9위와 10위로 최하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2005년 미국그랑프리에서 미쉐린팀들은 큰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2 전개

여느때와 마찬가지로 각 팀들은 예선에 참여하고 있었는데, 금요일 연습세션에서 토요타 소속의 랄프 슈마허[8]가 뱅크구간에서 타이어에 펑쳐가 생기면서 큰 사고를 당한다. 다행히 부상을 당하지는 않았고, 이때까지 '운이 좀 안 좋았나 보다"'고 생각하려는 찰나, 전 해엔 결승당일 같은 구간에서 펑쳐로인한 벽 추돌로 등골 부러져놓고 운타령? 미쉐린 측에서 ' 펑쳐가 생긴 원인을 분석할수 없었으며 본사의 트랙에서 재현하지도 못했다.'라고 발표를 해버린다. 즉, 타이어가 왜 터졌는지 원인이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대략적인 추측은 가능했다. 오벌트랙 구간에서 사고가 났기 때문에, 뱅크가 있는 고속코너 구간에서 타이어가 견디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것.

이에 따라 미쉐린 타이어와 미쉐린 타이어를 쓰는 팀들은 다음의 두가지를 요구한다.

1. 오벌트랙 코너가 위험하니 해당 구간에 임시로 시케인을 설치해달라.
2. (미쉐린측이) 본사에서 급하게 새로운 타이어를 가져올테니 이걸 사용하게 해달라.

하지만 FIA의 반응을 요약하자면,

1. 코너에서 위험하다고? 그럼 속도를 줄여라.
2. 타이어를 바꿔달라고? 안되는거 알잖아. 타이어 상태가 위험하면 매 랩 피트로 가서 확인하고 교체를 하던가 리타이어해라.

정도였다. 딱히 FIA를 비난할수 없는 것이, 앞서 말했다시피 당시 규정상 타이어 컴파운드의 교체는 금지였고, 미쉐린 팀들의 요구를 들어주면 브릿지스톤 팀들이 불리해지기 때문에 반발할것이 뻔했다. 서킷의 수정도 결승이 코앞인 상황에서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었다.

분명 협상이 불가능한 상황은 아니었다. 앞서 말했듯이 규정이나 법적인 문제로 다른 컴파운드의 타이어를 가져오거나 서킷의 레이아웃을 급하게 수정하는 것은 불가능했지만, 몇가지의 아이디어는 나왔다. 뱅크구간에서 속도제한을 두자는 말도 있었고, 모든 랩에서 피트인하는 대신 핏레인의 속도제한을 완화하자는 방안도 제시되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협상은 결렬되었다.

결국, 미쉐린은 뱅크구간에서 타이어의 안정성을 보장하지 못하며, 경기에 참여하지 말것을 권한다고 발표했다. 미쉐린팀은 이에 따라 경기를 보이콧하겠다고 발표했다. FIA는 경기에 불참하면 7개 팀뿐만 아니라 미쉐린도 응당한 벌칙이 있을것이라고 으름장을 놨다. 이런 조마조마한 상황에서 어쨌든 결승날은 다가왔다.

3 결승 당일, 그리고 그 후

3.1 결승

미쉐린팀이 보이콧을 선언하면서 결승이 취소되나 싶었던 순간, 다행히도 미쉐린타이어를 쓰는 팀들이 그리드에 나타났다.[9] 인디애나폴리스에 운집한 관중과 시청자들은 다행히 경기가 정상적으로 열리겠구나 하고 마음을 놓았고, 포메이션랩이 진행되나 싶었지만, 당시 포인트 선두를 달리던 페르난도 알론소를 비롯한 모든 미쉐린 팀들이 포메이션랩 도중 피트에 들어가서 경기를 포기해 버리면서 그리드에는 브릿지스톤 3개팀의 6명만 돌아온 채로 경기가 시작되었고, 무슨일이 일어난 건지 뒤늦게 알아차린 관중들은 일제히 야유를 보냈다.

미국 관중의 야유는 엄청났으며 쓰레기를 트랙으로 던지는 일도 일어났다. 완주한 세 팀의 6명은 사이좋게 포인트를 분배받았지만, 1, 2위를 차지한 페라리의 미하엘 슈마허루벤스 바리첼로는 포디움에서 표정이 그닥 좋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트로피를 받자마자 샴페인 세레모니를 하지 않고 들어가버렸다.

반면 3위를 한 조던의 티아구 몬테이로는 열정적으로 세레모니를 하고 돌아갔다. 이때는 다들 넌씨눈이라 생각을 했지 1년 뒤의 인터뷰에서 밝힌 바로는 어차피 자기도 상황은 다 알고 이해하고 있었으나, 어차피 생애 한번 올라갈까 말까한 자리라 올라온 김에 세레모니를 했다고.현명하게도 그게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은전 한 닢 여러모로 최악의 경기중 하나였다.

4 그 후

FIA는 결국 7개팀과 미쉐린을 청문회에 세우기로 했다. 몇몇 관계자는 7팀이 출장금지를 받을수도 있다고 말했다. 7개팀은 이에 반발했고, 만약 처벌받는다면 F1에서 떠나겠다는 발언도 나왔다. 선수들도 만약 처벌받는다면 파업할수도 있다는 말이 나왔다. 미쉐린도 강하게 반발했다.

당시 가장 권위있는 F1 관련 사이트중 하나였던 ITV F1에서 있었던 온라인 설문에서는 52.32%가 이 사태는 FIA가 책임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반면, 7개팀이 잘못했다는 응답은 2.66%에 불과했다. 대다수의 F1 팬들은 FIA가 자신에 대해서만 생각하고 스포츠를 정치적으로 가지고 놀았다는 의견을 표출했다. 당시 FIA와 이를 둘러싼 정치적인 싸움은 도를 넘어있었고, 몇몇 집단은 이 파벌싸움에서 밀리는 형국이었다.

결국 FIA의 세계 모터스포츠 평의회는 7개팀과 미쉐린에 대해 유죄판결을 내렸지만, FIA의 이사회는 이들의 면책결정을 내렸다.

미쉐린은 도의적인 책임을 진다며 모든 관중의 티켓값을 지불해주는 것은 물론, 2006년 미국 그랑프리 티켓중 2만장을 구매해서 배포하기로 했다. 2005년 미국그랑프리의 티켓을 구매한 사람은 IMS 웹사이트, 매표소 또는 전화를 통해 환불을 받을수 있었다.

미쉐린 타이어는 결국 2006년을 끝으로 F1에서 철수하였고,[10] 2007년부터 F1의 타이어 공급체제는 브릿지스톤 독점 공급 체제로 바뀌었다. 이러한 독점공급체제는 2011년 타이어 공급사만 피렐리로 바뀐 채 계속 유지되고 있다.

1991년을 끝으로 캘린더에서 사라졌다가 2000년에 복귀했던 미국그랑프리는 이 사건때문에 F1의 이미지에 치명타를 입었고, 결국 2007년을 끝으로 캘린더에서 사라졌다. 이후 미국그랑프리는 2012년에야 텍사스 오스틴에 신설 서킷인 서킷 오브 아메리카에서 부활되었다.
  1. 인디애나폴리스를 줄이면 y가 붙는다.
  2. 참고로 이걸 확인하기 위해서는 피트인해서 크루들이 타이어를 열심히 살펴(…)보다가 괜찮다 싶으면 내보내고 아니다 싶으면 교체하는 식이었다.
  3. 이는 미하엘 슈마허의 독주를 막기 위해 FIA가 만들어낸 규정중 하나이다. 심하게는 4~5스탑까지 일어나는 2013년에는 이때를 상상도 할수 없을정도.
  4. 이 규정은 2005시즌 도중에 약간 변경되었는데, 키미 라이코넨뉘르부르크링에서 플랫스팟으로 인해 서스펜션이 파손돼서 리타이어하게 되자 플랫스팟이 생기면 타이어를 교체해도 페널티를 받지 않게 바뀌었다
  5. 오늘날의 메르세데스 GP
  6. 오늘날의 포스인디아
  7. 오늘날의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8. 알다시피 F1의 전설중 한명인 미하엘 슈마허의 동생이다.
  9. 당시 규정상 모든 차량이 그리드에 서지 않으면 경기가 시작되지 않았다.
  10. 원래는 2007년까지는 경쟁체제를 유지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이때문에 2007년은 졸지에 갑자기 독점체제가 되어버렸다.